KB국민은행의 핵심역량과 나아갈 방향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KB국민은행 소개
(1) 연혁
(2) 컨셉
(3) 주요 전략

2. 환경 분석
(1) 금융시장 분석
(2) 경쟁사 분석

3.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KB국민은행 핵심역량
(1) 마케팅
(2) 인재경영
(3) 리스크 관리
(4) 사회공헌
(5) 락스타

5. 나아갈 방향

본문내용

홍보를 하게 된다면 친근감 있게 고객들의 요구사항을 알 수 있고 또 이 상품이 제대로 활용되고 시장에서 평가를 받느냐를 상품 생산자가 feedback을 통해서 알 수 있다. 또한 현제 SNS 서비스가 광범위하게 퍼져 있기에 이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② 오프라인 홍보
KB 락스타는 이제 막 학교에 들어온 신입생 같은 존재이다. 이렇게 처음 본 사람과 친해지려면 교류하려면 정말 다른 사람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는 것이 필요하다.(국민은행은 친구를 구하는 입장이니까) 그리고 오래전에 만난 사람처럼 편안해야 한다. 그래서 국민은행은 대학에서 각종 행사를 펼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잠실야구장에서 락스타 고객과 우수고객 등 1000여 명을 초청해 '2011프로야구와 함께하는 KB 금융데이' 행사를 진행했다. 경기 중 진행된 이벤트에 당첨된 고객 10명에게는 KB기프트카드 10만 원 권도 경품으로 증정했다. 또한 MT 지원금, 대학생 서포터즈, 신입생 멘토링, 취업선배와의 만남, 개강파티 습격 방문 등과 같은 이벤트도 하고 있다. 지속적인 오프라인 홍보 활동을 통해서 20대에게 더욱더 친근한 이미지와 좋은 이미지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③ 광고
락스타 광고는 20대에게 인기 있는 이승기를 내세우면서 20대에게 어필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4) 락스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
① KB국민은행의 젊은층의 고객들의 확보
대부분의 어린 대학생들은 돈을 많이 저축하거나 하기보다는 쓰기를 좋아 한다. 그러다보니 은행관련 업무나 은행에 대해서 무관심한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이렇게 락스타라는 신개념공간을 접하면서 덜 딱딱하게 느낄 것이다. 은행이 이렇게 쉽게 접할 수가 잇는 곳인가? 이렇게 안 딱딱한 곳이었나? 라는 생각이 들게 할 것이다. 이렇게 락스타를 이용한 고객들이 사회에 처음 진출했을 때 은행을 선택 할 때 국민은행을 선택하게 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항상 접하던 것을 사람들은 변화 시키지 않고 사용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② 대학생들의 가난한 주머니를 이해해 준다는 느낌을 준다.
장학금을 받으면 우대 혜택을 주고, 수수료 하나도 아낄 수 있도록 수수료 자체도 면제를 해주니 똑같은 체크카드라도 자신을 이해해주는 대학생을 이해해주는 카드를 쓰게 될 것이다.
③ 국민은행이 학교 주변에 생겼다는 것
학교에 덩그러니 ATM기 하나만 있고 끝인 곳이 많았는데 기타 은행업무도 볼 수 있게 되어 국민은행에 대해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다는 것이다.
④ 재미가 있다
락스타는 대학생을 배려해 두었다. 그렇기 때문에 무엇인가 재미있는 놀이를 할 수 있는 아이패드 등을 빌려서 활용하면서 시간을 보낼 수가 있다. 한번 재미있는 곳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 금방 소문은 퍼져나가 입소문을 타게 된다.
⑤ 상식파괴
기존의 은행의 틀을 깼다. 은행 안에 카페가 있고, 쉴 수 있고, 놀수 있는 공간으로 기존의 상식을 깬 은행이 되었다. KB는 젊은 이미지로 기업 이미지의 제고가 예상된다.
5. 나아갈 방향
'자본시장과 금융 투자 업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었다. 더불어 방카슈랑스의 도입 등 우리나라의 금융시장은 서서히 변화해 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변화는 계속 진행될 것이다. 또한 기업들의 자금 조달방식이 은행을 통한 간접금융시장에서 주식이나 회사채 발행을 통하여 자금 조달을 하는 직접금융시장으로 가고 있다. 고객들의 투자행태도 예금투자에서 펀드나 주식 등 자본시장 쪽으로 움직이고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해 은행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미래의 은행은 전통적인 예대업무뿐만 아니라 증권업무 등 자본시장 관련업을 영위할 수 있는 종합 금융업이 돼야 한다. 은행 영업점에서 고객이 예금이나 대출 업무를 보는 것뿐만 아니라 주식 투자도 하고 펀드에도 가입하며 투자자문도 받는 등 one-stop-service를 제공하는 은행의 영업점이 되어야 한다.
둘째로, 우리나라 은행의 미래 모습은 선진화되고 수준 높은 위험관리 체계를 갖춘 은행이어야 한다. 철저한 위험관리 체계 없이 위험성이 높은 투자은행 업무를 영위한다는 것은 생각할 수 없다. 법, 제도적인 기반 마련 이전에 은행 스스로 위험관리 수준을 높이는 일을 지금부터 계획하고 실행하여 준비할 필요가 있다.
셋째로, 앞으로의 은행은 전 세계적인 영업망을 갖춘 은행이 되어야 한다. 미국 현지에 서울 본사 핵심부서의 우수한 직원들로 구성된 드림팀을 현지에 파견, 미국 소매 금융시장에서 승부수를 띄우고 은행 내 핵심인재를 미국 현지 법인에 파견해야 한다. 이런 점은 양적 확장보다 질적 확장을 꾀한 것으로 다른 은행들의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우수한 금융전문 인력을 갖추어야 한다. 서비스 산업인 금융 산업의 성패는 우수한 전문 인력의 확보 여부에 달려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자체적인 연수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통해 우수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우선이다. 이와 더불어 우수한 인재를 채용하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 예를 들어 은행의 전문가들이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대학은 은행이 필요로 하는 강의를 개설하여 바로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전문가를 키어내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고, 현재의 은행 인턴들의 불만인 시간 때우기 식의 업무를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 인턴들에게도 세부적인 사항을 가르쳐주고 체계적인 훈련을 시킨다면 정규 직원으로 채용 시 드는 돈을 줄일 뿐만 아니라 업무능력도 향상 시킬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의 수행 여부에 따라 국민은행뿐 아니라 국내 은행들도 세계 굴지의 은행들과의 세력다툼에서 뒤쳐지지 않으며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참고자료>
www.kbstar.com
www.shinhan.com
www.bok.or.kr
www.kfb.or.kr
www.fss.or.kr
www.ncsi.or.kr
www.kostat.go.kr
www.seri.org
www.lgeri.com
www.fnnews.com
www.etoday.co.kr
www.dt.co.kr
www.hankyung.com
www.munhwa.com
www.mk.co.kr
www.edaily.co.kr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1.12.15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06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