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박업] 숙박업의 개념과 분류 및 발전과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숙박업

Ⅰ. 숙박업의 발전

1. 최초의 숙박시설
2. 근대 숙박업의 발전
3. 우리나라 숙박업의 발전

Ⅱ. 숙박업의 개념과 분류

1. 숙박업의 개념
2. 숙박업의 분류

본문내용

이 가운데서도 의복은 숙박업에서의 매매와는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다. 숙박업은 본래 거주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며, 거기에다 생활의 또 하나의 기본적 요건인 음식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영어에서는 숙박시설을 보드 앤드 로징(board and lodging)이라고 말한다. board는 식탁을, lodging은 숙박을 의미한다. 숙박업은 기본적으로 이 두 가지의 기능을 갖추어, 오늘날에 와서 다른 시설이 더해진 것이다.
2. 숙박업의 분류
관광 사업에 있어서 그 기간산업은 수송, 알선, 숙박의 세 가지 사업이라고 말해진다. 따라서 숙박업이 관광에서 담당하는 역할은 대단히 큰 것이다. 지금까지 이 삼자가 서로 음 양으로 인과관계를 맺으면서 관광 사업을 발전시켜 왔다. 앞으로도 이와 같은 과정은 더욱 깊은 관계를 맺으면서 발전해 나갈 것으로 본다.
더욱이 근래에 와서 숙박업은 단지 사람을 숙박시키고, 음식을 제공하는 장소에 그치지 않고, 비즈니스 활동의 장(場), 사교의 장, 레저 오락의 장, 레크리에이션의 장, 교육의 장 등으로서, 그리고 그에 부수되는 여러 가지 다른 인적 물적 정보적 서비스 공급의 장으로 변모되고 있다.
먼저 숙박업의 유형으로서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는 도시에 위치하는 것과 관광지에 위치하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이용자는 (1) 상용(商用)여행자, (2) 관광여행자, (3) 그 도시의 주민 등 세 가지로 구성되고, 후자의 경우는 전적으로 관광여행자가 이용자가 된다. 따라서 사업 활동의 내용도 분명히 달라서, 전자는 도시호텔(city hotel)과 도시에 위치한 여관의 성격을, 후자는 관광지호텔(resoet hotel)과 관광지에 위치한 여관의 성격을 가진다.
여관과 호텔은 기본적으로 사람을 숙박시키는 영업으로서 아무런 다른 점이 없는 것 같이 보이나, 구조 및 설비, 서비스방식이 한식이냐, 양식이냐 하는 점에서 달라진다. 역사적으로 여관은 한국인의 숙소이고, 호텔은 외국인의 숙소라는 관념에서 한식의 구조 및 설비를 갖추어 1박2식의 실료를 받는 곳은 여관이고, 양식 구조와 설비를 갖추어 식료(食料)는 실료와 따로 구분하여 받는 곳은 호텔이라고 생각되어 왔었다. 이러한 습관은 아직도 남아 있으나, 오늘날에 와서는 이 양자의 구조 및 설비와 서비스 방식에도 그 차이가 적어져 그 구분과 판단이 어렵게 되었다.
다만, 이에 대한 구분은 시설기준에 의해서만 구분할 수 있게 되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1.22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58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