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경영론과제(20100409)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쏘나타의 성공배경

1. 쏘나타의 탄생

2. 새로운 도전 및 북미시장 진출

3. 시련 및 과제

4. 해결방안 모색

5. 국내시장에서의 위기

6. 현재 상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과제후기

본문내용

모델 이어를 실시하는 이유는 고객들이 기존 모델에 대해 싫증을 내지 않도록 해주며 신 모델 출시 이후 제기된 문제점 등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델이어를 자주했다는 것은 그 만큼 고객의 목소리를 듣는데 집중했다는 이야기도 된다.
2001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쏘나타와 SM5의 경쟁은 근래 보기 드문 난타전이었다. 매월 판매대수 선두 자리를 놓고 박빙의 승부를 벌였다.
이 경쟁은 SM5가 기존 모델 중 6기통 고급 사양 모델을 분리해서 SM7으로 출시하는 브랜드 전략을 펴면서 막을 내렸다. 고급형 모델이 빠진 SM5는 더 이상 쏘나타의 경쟁상대가 되지 못했다. 라이벌과의 치열한 경쟁을 통해 쏘나타의 브랜드 파워도 한 단계 상승하는 계기가 되었다.
6. 현재 상황
2010년 현재 쏘나타는 2004년 26개월 동안 2900억원을 투입한 5세대 쏘나타 프로젝트명 NF(Never ending Fame/Faith)을 넘어 2005년부터 4년여의 연구개발기간동안 4500억원을 투입한 6세대 쏘나타 프로젝트명 YF가 출시되어 또 한 번 그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지속적인 품질 및 성능에 대한 노력의 결과로서 JD파워의 소비자 신뢰도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판매시작 6개월 만에 미국 시장 판매 차종 176개중에서 7위를 차지하는 성과를 달성하기도 했다.
현대자동차는 2004년 미국 알라바마에 자동차 공장을 세웠다. 미국 현지의 첫 번째 공장이며 1993년 캐나다에서 쫓겨나듯이 철수했던 1993년에 이은 두 번째 북미지역 공장이기도 하다. 쏘나타는 미국을 제외한 신흥 시장에서도 눈부신 성과를 거두고 있다.
2002년 중국에 진출한 현대자동차는 2003년 EF쏘나타 5만 2000대를 판매, 시장 점유율 2.4%를 달성했으며 베이징 공무원들의 관용차 및 택시로도 판매됐다. 2005년부터는 ‘NF 위샹’이라는 중국 이름으로 NF 쏘나타를 공급하고 있다.
인도 시장에서 쏘나타는 최고급 등급의 차량으로서 포지셔닝, 벤츠 E-클래스나 도요타 캠리와 경쟁하고 있으며 NF 쏘나타는 ‘쏘나타 엠베라’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러시아 시장에서는 타가즈사와 합장으로 2001년부터 베르나와 함께 EF 쏘나타를 반제품 형식으로 생산하고 있다. 2004년 러시아 수입차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단일 제품으로 20년을 넘긴 국내 최장수 중형차 쏘나타의 도전은 계속된다.
Ⅲ. 결론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쏘나타의 성공 비결은 다음과 같다. 쏘나타의 성공 비결은 한마디로 요약하면, ‘시장을 리드하는 상품성과 브랜드 파워의 조화’로 요약할 수 있다. 쏘나타 시리즈는 매번 새로운 기술과 콘셉트로 소비자 의 요구를 한 발 앞서 반영했다. 국내외 시장 환경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트렌드에 맞게 소비자의 요구가 무엇인가를 파악하였다. 소비자와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소비자가 원하는 자동차를 개발했고, 시장에서의 독점적인 지위 확보만을 가지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품질향상을 통해 한 번 출시로 끝나는 차가 아닌 앞으로도 계속 탈 수 있는 차라는 인식을 주어 충성 고객을 만들었다. 자료에 의하면, 쏘나타를 타는 사람들의 대다수가 이전 제품에 대한 믿음이 있기 때문에 다시 쏘나타를 탄다고 한다. 또한 국내에서의 지리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해외시장 개척이라는 새로운 도전을 통해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확고한 이미지를 만드는데 성공하였다. 현대하면 쏘나타, 쏘나타 하면 현대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연상되는 의미이기도 하다. 현대자동차의 뛰어난 제품 경쟁력은 브랜드에 대한 신뢰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쌓인 브랜드 파워가 끊임없는 제품 혁신과 맞물려 상승효과를 내면서 쏘나타를 성공 신화로 이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1. 김병욱, 상품개발전략, 킴스정보 전략연구소, 2004년
2. 김승범, 한국최고의 브랜드, 흐름출판, 2005년
3. 장박원, 세계가 주목하는 현대자동차 왜 강한가 ?, 채움출판, 2005
4. 디지털 내일, 현대자동차 글로벌 리더쉽, 휴먼 앤 북스, 2005
5. KMAC, 대한민국 브랜드파워 10년을 통해본 KOREA Best BRAND
STORY, 인터넷비즈니스 총람/연감, 2008년
Ⅴ. 과제후기
장수제품에 대한 과제를 받았을 때, 어떤 제품을 선택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말만 들어도 ‘아 ~ 그거’ 하는 제품은 너무 보편화 되어 식상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으면서도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제품을 찾으려 했습니다. 그런데 그게 말처럼 쉽지가 않았습니다. 그 와중에 스친 생각이 나한테 가장 가까이에 있으면서 오랜 사랑을 받아온 제품을 선택하면 어떨가 하는 생각에 찾은 것이 바로 자동차였습니다. 집에 있으면서 가족들의 편안한 발이 되어주고, 가장 밀접하게 되어버린 것 중 하나가 자동차였습니다. 그리고 저 또한 자동차에 대한 충성도가 많이 형성되어 있던 터라, 주저 없이 쏘나타를 주제로 잡았습니다. 실제로 쏘나타를 타고 다니면서도 쏘나타에 대해서 아는 것이 별로 없었습니다. 그냥 현대자동차의 주 모델이라는 사실정도 밖에는 아는 게 없었습니다. 도서관에서 현대자동차와 쏘나타에 관련된 책들을 찾아서 읽었습니다. 단지 쏘나타에 대해서만 알고자 했지만, 자료를 찾으면 찾을수록 쏘나타뿐만 아니라 현대자동차 및 연관된 경제상황, 시장환경 등 이외의 다양한 내용들도 접 할 수 있었습니다. 너무 광범위해지는 것 같았지만, 다 도움이 되는 내용이었습니다. 내용을 떠나서 과제양식 또한 지금까지 해왔던 과제랑은 다르게 공문서 형식의 짜임이 있는 레포트를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고민 좀 했습니다. 기존에는 단순히 레포트의 내용에만 치우쳐 형식자체는 거의 무시하고 들어갔기 때문에 이번 과제를 통해서 새롭게 글을 쓰는 형식에 대해서 배우게 된 것 같습니다. 그리고 과제를 하면서 가장 크게 느낌 점은 품질에 대한 내용을 위주로 시작했지만, 어느 시점에 가서는 마케팅 쪽으로 치우치고 있지 않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는 점입니다. 과제를 하면서 생각 없이 하던 사고방식에 조금의 변화가 찾아온 것 같았습니다. 이번 과제를 통해서 많은 것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 가격1,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4.30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32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