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M과 지속가능한건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BIM과 지속가능한건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대의 건설산업이 지식정보화 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건설업의 패러다임을 혁신할
강력한 무기로 부상 중이고 이제 디자인(설계사) 차원에서의 BIM에서 공사(건설사) 차원의 활용이
요구됨.
- 건설자재(강재, 철근 등) 가격의 폭등에 따른 최적설계 및 시공도로 활용.(BIM을 통한 시공도,
RE-BAR 도면 등의 생성 및 현장관리 가능)
- 친환경 건축을 위한 도구로 이용 (에너지, 채광 등의 해석 DATA로 활용가능)
- 건설산업 개방 및 해외공사, 정부(발주자)의 BIM 적용요청에 대한 준비가 필요.
- Pilot Project 적용 / 분석 보다는 확실한 신뢰를 바탕으로 소규모 실제 Project에 적용하여 순차적인
정착의 노력이 필요함.
- BIM이란 수평적으로 의장 설계, 구조, 설비등과 수직적으로 기획 설계, 실시설계, 건설, 유지 관리 등
건축 전반의 Process이지만 특히 구조 분야의 적용은 즉각적으로 실효를 얻을 수 있는 분야 임.
2. 지속가능한 건축
2.1 지속가능 에너지 기술
2.1.1 Wind Turbine System
- 현재 옥상 지붕 또는 건물 중간에 Wind Turbine을 설치하여 바람에 순응하는 형태로 추진되어
주요한 대체 에너지로도 활용
- 최근에는 중심부, 하부로부터의 상승기류를 이용하는 시스템 개발
2.1.2 BIPV System(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 BIPV Systems 초고층건축물에 태양 에너지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
- 초고층 건물은 PV panel 설치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
- 초고층 건축물에 쉽게 이용됨
2.1.3 Double Skin System
- 자연환기 : 에너지 효율성 증대 / 건강에 유의
- 경제적 효과 : 최초 공사비 8.5% 증가 / 에너지 소비 40% 감소
2.2 지속가능도시 / 마스다르
2.2.1 아부다비 2030 프로젝트
- 향후 5년간 2,000억 달러 투입(2008.0105 발표) : 원자력 발전을 통한 에너지 확보
2.2.2 마스다르 시티 추진
- 세계 최초의 “Carbon-Free City" : 자동차 없는 도시
- 220억 달러 투입, 2016년 준공예정
2.3 지속가능건축 발전 방향
2.3.1 [기술] 독창적 친환경 건축 기술 개발
- 녹색 성장 관점에서의 기존 건축 기술의 개념 및 방향 설정
- 한국 독자적 지속가능 원천기술 개발 : 지속가능 건축 원천기술
- 전 생애 관점에서의 건축의 환경성능 평가 기술 확보
2.3.2 [정책] 친환경 관점에서의 건축 정부 정책 변경
- 녹색 산업화를 위한 구체적인 건축 분야의 정부 제도 및 정책 필요
- 건축(건축물 인허가시 적용)단지지역국가 CO2 총량제, 탄소제 등
- 환경부하 CO2 평가사 전문제도 도입
- 인허가 평가기준 : 기존(안전 + 아름다움) / 신기준(안전 +아름다움 + 환경부하)
2.3.3 [산업] 지속가능건축 과학 산업 구축
- 두 가지 접근 : 기존 건축의 지속가능한 환경 산업화, 새로운 지속가능한 건축 도출 및 개발
- 지속가능 산업 모델 도시를 위한 Test Bed 및 확산 거점 도시 개발 필요
2.3.4 [교육] 지속가능건축 교육 시스템 보급 및 활성화
- 교육을 통한 거주자의 친환경 생활화로 자발적 CO2절감 효과
- 건축실무자에게 지속적인 지속가능건축 기술 교육 시스템 확립 필요
- 지속가능 전문학위 제도(1단계 : 석사, 2단계 : 학사)
- 국제연계 공동학위 및 교육 시스템 구축 필요
2.3.5 [확산] 지속가능건축 맞춤형 표준모델 개발
- 지속가능 건축의 맞춤형 표준모델 개발 → 지속가능 건축 개발기술 수출
- 지방혁신도시 연계
3. 마무리
현재 저 탄소 녹색성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지구환경보호와 인간의 삶의 질 향상에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지속가능 건축의 개발은 선택이 아니라 의무가 되어야한다. 그리고 현재 사용되어 지고 있는 BIM이 아직까지는 완벽단계라고 할 수는 없지만, 현 수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최신의 Tools을 이용하여 실제로 적용하는 모델을 만들고, 그 바탕으로 4D,5D시스템까지 시도되어지고 있다. 소규모의 작업이라도 실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면서 여러 내재되어 있는 문제들을 발견하고 그것을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진정한 BIM 구축을 위한 시작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4. 참고문헌
사진출처
구글사이트 이미지
참고문헌(자료)
제 317회 학/연/산 연구성과 교류회 - 한양대학교 친환경건축연구센터
(주)NEC회사자료 - 이병해교수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7.09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77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