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수 시스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서 론
 • 중수도의 필요성
◉ 본 론
 • 중수도의 정의
 • 중수도의 분류
 • 중수처리 단계별 구분
 • 중수처리 신기술
 • 중수도 도입 시 효과
 • 중수도 관련 정부 지원책
 • 중수도 적용 사례
◉ 결 론

본문내용

중수 시스템




서 론

◉ 중수도의 필요성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물 수요량은 급격한 증가추세에 있다. 건교부가 작성한 용수사용 용도별 용수 수요 현황 및 전망을 보면 1978년 용수 수요총량이 159억 톤/년이던 것이 1994년 301억 톤으로 약 2배 가량 증가했으며 오는 2011년에는 366.5억 톤으로 다시 20%가 넘는 증가율을 보인다. 특히 용수를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유지용수 등으로 구분한다고 할 때 생활용수와 공업용수의 경우 각각 40%와 80%의 증가율을 나타내 대책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환경부에서 작성한 시 ,도별 공업용수 수요전망을 봐도 1996년 15.4억 톤/년의 공업용수 수요량이 2001년엔 22.9억 톤으로 50%가 넘는 증가율을 보였다.




한편 1997년 기준 수돗물 공급능력은 2,396만 톤으로 과거에 비해 크게 증가했으며, 1963년 18%이던 상수도보급률은 84.5%, 1인당 급수 량은 409L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0년 전에 비해 수돗물 사용량은 38배, 1인당 하루 물 사용량은 3.9배 증가한 것이다. 이러한 물사용량의 급증과 물 부족 현상들이 합쳐져 중수 시스템을 활용하여 물 부족 현상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필요성이 대두되어지고 있다.




본 론

◉ 중수도의 정의
-일반적으로 알려진 중수라는 말은 개별주택, 공동주택, 상업용 건물에서 필요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재 이용수를 일반적으로 칭하는데 중수도는 상하수도의 중간개념을 가진 것으로 정의.

  ≪ 그 림 ≫

  < 공 정 표 >
  • 가격13,86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2.09.23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7582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