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밀꽃 필 무렵》의 공간적 특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메밀꽃 필 무렵》의 공간적 특성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소설에서의 공간
 2)《메밀꽃 필 무렵》의 공간적 흐름
 3) 도시적 공간과 자연적 공간의 대립
 4) 구심적 공간 지향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의 끝에는 육친의 되찾음과 가족의 형성이라는 자아동일성 공간이 기다리고 있다.
3. 결론
본고에서는 《메밀꽃 필 무렵》의 공간적 흐름을 살피고 그 공간을 도시적 공간과 자연적 공간으로 나누어 그 차이를 알아본 뒤, 전체적인 공간적 특성에 대해서 분석해보았다. 정리해보자면 이효석 작품에 나타나는 자연적 공간에서는 일체의 갈등이 나타나지 않으며, 오히려 갈등이 해소되는 자아동일성의 공간이다. 또한 자연적 공간은 인물이 구체적으로 행위하는 공간적 배경을 이루는 동시에 하나의 전경으로서 작품의 인과적 구성에도 참여한다.《메밀꽃 필 무렵》에서 메밀꽃, 달빛, 개울물 등이 어우러진 자연적인 공간은 작가에 의해 설정된, 자아동일성 확보의 공간으로 가는 통로였다.
작품의 사건이나 인물에 작가의 의식이 투영된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객관적인 요소라고 생각했던 공간적 배경에마저도 작가의 의식이 철저하게 투영된다는 것이 신선했다. 이렇듯 작가의 내면의식이 어떤가에 따라 작품의 시간적, 공간적 배경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작품의 전체적인 분위기도 달라진다.《메밀꽃 필 무렵》을 지배하는 서정적인 분위기도 결국 그 뒤에 숨어있는 단단한 공간적 구조에 의해서 결정된 것이었다. 작품에 어느 요소 하나도 소홀히 하지 않는 작가의 치밀함과 섬세함에 감탄하며 보고서를 마친다.
4. 참고문헌
1) 강연서, <소설의 공간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학위논문(석사), 2009)
2) 권정호,《 李孝石 文學 硏究 》(월인, 2003)
3) 김우종, <현대소설의 이해> (이우출반차, 1980)
4) 네이버 백과사전
5) 신지숙, <이효석 소설 연구 :《메밀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원광대학교 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08)
6) 유기룡, <이효석론, 현대작가론> (형설출판사, 1979)
7) 임화, <시문학의 정도> (문장 제 1권, 제 9호)
8) 이-푸 투안(구동희 옮김), <공간과 장소> (대윤, 1995)
9) 이효석,《 메밀꽃 필 무렵 》(뉴턴코리아, 2003)
10) 전미영, <한국 현대소설의 공간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논문(석사), 2000)
11) 전혜자, <소설의 배경>,《한국 현대 소설론》(학연사, 1993)
12) 정한모, <현대작가연구> (1959)
13) 조연현, <한국현대작가연구> (새문사, 1981)
14) 홍경표, <서정적 리얼리즘 소설과 상징성, 한국근대소설 작가의식 연구> (형설출판사, 1984)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9.15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74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