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구조와 기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물의 구조와 기능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

**광합성 산물
-포도당 : 광합성을 통해 최초로 만들어지는 유기 양분(대부분의 식물은 포도당을 녹말로 전환하여 저장)
- 산소: 일부는 자신의 호흡에 이용, 남은것은 기공을 통해 공기 중으로 방출

2. 포도당의 이동과 저장
이동 시간
주로 밤
이동 통로
체관
이동 형태
낮 포도당→녹말(잎에 잠시 저장) 밤 녹말→포도당→
(체관을 따라 이동)
(저장 기관)→녹말
(오랫동안 저장)
양분의 이용
-에너지원 : 식물체의 생장이나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원
-식물체의 구성 성분
-저장 물질 : 뿌리, 줄기, 열매 등 저장 기관에 저장

3. 광합성의 의의
-무기물로부터 유기물을 생성 한다.
-생물의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생성한다.
-태양의 빛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저장한다.

4.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빛의 세기 : 빛의 세기가 강할수록 어느 정도까지는 광합성량이 증가
-이산화탄소의 농도 :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어느 정도까지는 광합성량이 증가
-온도 : 온도가 을수록 광합성량도 증가한지마 약 40도 이상이 되면 광합성량이 급격히 감소





2. 식물의 호흡
1. 식물의 호흡 : 산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분해하여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은 작용(항상일어남)
포도당 + 산소 → 물 + 이산화탄소 + 에너지
2. 식물의 기체교환
낮아침.저녁밤
광합성량>호흡량 광합성량=호흡량 호흡만일어남
산소를방출,이산화탄소흡수외관상 기체의 출입 없음산소흡수, 이산화탄소 방출

구분
광합성
호흡
일어나는 장소
엽록체
모든 세포
일어나는 시간
낮(빛이 있을 때)
항상
기체의 출입
이산화탄소 흡수, 산소 방출
항상
물질의 변화
무기물 → 유기물
유기물 → 무기물
에너지 관계
에너지 저장(흡수)
에너지 발생
3. 광합성과 호흡의 비교
꽃과 열매

1. 꽃의 구조
1. 꽃의 4 요소:암술, 수술, 꽃잎, 꽃받침
2. 꽃의 구조
-수술(꽃밥+수술대)
꽃밥 : 화분이 만들어진다.
수술대 : 수술 지지
-꽃입 : 암술과 수술, 씨방을 싸서 보호
-꽃받침 :꽃의 가장 바깥 부분으로 꽃을 받치고 보호
-암술(암술머리+암술대+씨방)
알술머리 : 화분이 달라 붙는 부분
암술대 : 암술 지지, 화분관의 이동 통로
씨방 : 밑씨가 들어 있다.

2.꽃의 종류
분류기준
명치


구조에 따른
갖춘꽃
암술. 수술. 꽃입, 꽃받침(꽃의 4요소)을 모두 가지고 있는 꽃
복숭아나무, 진달래, 개나리
안갖춘꽃
암술, 수술, 꽃잎, 꽃받침(꽃의 4요소)중 어느 한 가지라도 없는 꽃
보리, 소나무, 호박, 튤립
한 꽃에 암술과 수술을 포함하는지에 따른 분루
양성화
한 꽃 안에 암술과 수술이 모두 있는 꽃
봉선화, 백합, 민들레, 진달래
단성화
암술과 수술이 각각 다른 꽃에 떨여져 있는 꽃→암꽃, 수꽃이 따로 존재
소나무, 옥수수, 은행나무, 호박
꽃잎 모양에 따른 분류
통꽃
꽃잎이 서로 붙어 있는 꽃
나팔꽃, 호박, 민들레, 오이
갈래꽃
꽃잎이 따로따로 떨어져 있는 꽃
장미, 복숭아나무
수분
방법에
따른 분류
충매화
곤충(벌, 나비)에 의해 수분이 일어나는 꽃
복숭아나무, 민들레
풍매화
바람에 의해 수분이 일어나는 꽃
소나무, 보리, 옥수수
조매화
새에 의해 수분이 일어나는 꽃
동백나무
수매화
물에 의해 수분이 일어나는 꽃
물수세미, 거머리말
*분류 기준은 한 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3. 꽃의 기능 : 꽃은 씨와 열매를 만들어 번식하는 식물의 생식기관 이다.
-수분 :수술의 꽃밥에서 만들어진 화분이 암술머리로 옮겨지는 현상
-수정 :화분에서 만들어진 정핵이 씨방 속의 씨와 결합하는 현상
열매와 씨
1. 열매
(1)
열매의 종류

참열매 : 씨방 부분이 자라서 된 열매. (예) 감, 복숭아, 귤, 포도 등

헛열매 : 씨방 이외의 꽃받기나 꽃받침 등이 자라서 된 열매
·
꽃받기로 이루어지는 열매 : 씨방은 거의 자라지 않고 꽃받기가 비대해져 열매가 된다. (예) 사과, 딸기 등
·
꽃받침으로 이루어지는 열매 : 꽃받침과 그 외의 부분이 함께 자라서 열매가 된다. (예) 석류, 수유나무 등
·
꽃대로 이루어지는 열매 : 작은 꽃이 많이 붙어 있는 꽃대가 비대해져서 열매가 된다. (예) 파인애플, 무화과 등
(2)
열매의 구조

외과피 : 열매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껍질 부분이다. 사과나 감의 껍질, 귤이나 레몬의 노란 껍질은 모두 외과피이다.

중과피 : 우리가 주로 먹는 부분이다. 그러나 귤의 경우는 외과피 안쪽의 흰 부분이 중과피에 해당한다.

내과피 : 열매의 속껍질 부분으로, 감은 씨를 둘러싸고 있는 연한 부분, 사과는 씨방을 싸고 있는 부분, 귤은 우리가 먹는 부분이 내과피이다.

(1)
씨의 구조

씨 껍질 : 밑씨의 껍질이 변한 것으로 비교적 딱딱하다. 배를 보호하고, 싹이 틀 때 수분을 통과시킨다.

배와 배젖
·
배 : 자라서 어린 식물이 될 부분으로, 떡잎, 어린눈, 어린줄기, 어린뿌리로 구성되어 있다.
·
배젖 : 배가 싹틀 때 필요한 양분이 들어 있다. 배젖이 없는 식물은 떡잎에 양분을 저장한다.

- 배젖이 있는 씨 : 벼, 보리, 감, 복숭아 등

- 배젖이 없는 씨 : 밤, 강낭콩, 호두, 완두 등
(2)
씨의 퍼짐

바람에 의하여 퍼지는 식물
·
털을 가진 것 : 민들레, 버드나무, 목화 등
·
날개를 가진 것 : 단풍나무, 소나무 등

동물에 의하여 퍼지는 식물
·
동물의 먹이가 되는 것 : 귤, 포도, 딸기, 사과 등
·
동물의 몸에 붙어 퍼지는 것 : 도꼬마리, 도둑놈의갈고리 등

물의 흐름에 의하여 퍼지는 것 : 야자, 가래, 수련 등

씨 껍질이 터지는 힘에 의하여 퍼지는 것 : 봉선화, 콩, 제비꽃 등
(3)
씨의 발아 조건 : 씨는 환경이 적당하면 발아하여 어린 식물로 자란다.

물 : 식물체는 약 90% 이상이 물로 되어 있지만, 건조한 씨에는 물이 10∼20%밖에 없으므로 발아를 위하여 물을 충분히 흡수해야 한다.

온도 : 보통 20℃ 정도가 적당하다.

공기 : 발아에 필요한 에너지는 호흡을 통하여 얻어지므로 산소가 필요하다.

키워드

식물,   기능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95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