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상품 현황, 대형마트, 편의점, 백화점 장단점 및 향후 전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B상품 현황, 대형마트, 편의점, 백화점 장단점 및 향후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PB상품 [private brand goods] 이란?
1) 정의
2) 종류
3) PB의 전개단계
4) PB의 장단점

2. PB 상품 종류
1) 대형마트 PB 브랜드
2) 백화점 PB 브랜드
3) 편의점 PB 브랜드

3. PB 상품 매출

4. 관련자료
1) 대형마트
2) 백화점
3) 편의점

5. PB제품 향후 전망
1) 대형마트
2) 백화점
3) 편의점

* 참고자료

본문내용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것이 편의점 업계의 공통된 전략이다.
◆편의점에 부는 PB바람… 프리미엄 제품으로 고객몰이 나서
편의점업계 PB상품은 기존의 삼각 김밥 샌드위치 등 식품군을 벗어나 다양한 제품군으로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웰빙 트렌드의 영향과 먹을거리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식이 높아지면서 프리미엄 제품이 각광받는 것도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1990년대 초반에 등장한 편의점 PB상품은 도시락 샌드위치 김밥 등 먹을거리 류가 주를 이뤘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진화를 거듭한다. 라면 아이스크림 등 가공식품에서 잡화류 생활용품 등으로 급속히 확산되는 양상이다. 제조업체뿐 아니라 외식업체 등과 손잡고 출시한 프리미엄급 PB상품도 잇달아 등장하고 있다. 일부 PB상품은 이미 대중화된 제조업체의 내셔널브랜드(NB)의 인기를 넘어서고 있다. PB상품이 편의점 매출의 효자상품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CU는 PB상품 중에서 베이커리상품과 유제품을 특화하고 있다. 트랜스 지방을 최소화한 프리미엄 베이커리 '후라만도르'(소보로빵ㆍ60gㆍ600원)와 최고급 우유로 만든 '자연이 보내온 숲골 요구르트'(140mlㆍ1200원) 등 프리미엄급 웰빙 상품을 내놓았다. GS25는 일반 종이컵보다 11%가량 비싼 '녹차 종이컵'(50개ㆍ2000원)을 내놓았다. 보성녹차 성분이 들어간 녹차 종이컵의 판매량은 웰빙 바람을 타고 종이컵 류 중 판매 비중이 30%에서 50%로 뛰어올랐다. 패밀리레스토랑 베니건스 및 국내 최초로 자장면을 판매한 곳으로 유명한 중국음식점 공화춘 등과 손잡고 내놓은 '베니건스 스파게티'(228gㆍ2600원),'공화춘'(200gㆍ1000원) 등의 프리미엄 먹거리 PB상품과 '탠디 우산'(1만3000원),'박준 헤어용품' 등 프리미엄 생활용품도 인기를 끌고 있다. 세븐일레븐도 지난해 4월 PB상품 컵 커피 '엔제리너스 라떼와 모카'(180mlㆍ1000원)를 출시해 하루 평균 8000개를 판매했고, 밀크티 제품인 '런던의 오후'(270mlㆍ1200원)도 지난해 10월 출시 이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지난해 10월 고급 쌀 브랜드인 '대왕님표 여주쌀'로 만든 프리미엄 삼각 김밥을 내놓은 바이더웨이는 지난 1월 삼각 김밥에 한우고기를 넣은 '명품 삼각 김밥'(100gㆍ700원)을 출시했다.
미니스톱은 아이스크림 PB상품을 특화시켜 지난달 28일 일본 본사ㆍ롯데삼강 등과 기술을 제휴해 개발한 1500원짜리 프리미엄 소프트아이스크림을 출시했다. 바닐라ㆍ딸기맛과 혼합 3종으로 패스트푸드점에서 판매하는 500원대 제품과 차별화하기 위해 고급 우유와 생과일을 사용하는 등 '웰빙'을 컨셉트로 잡았다.
◆PB제품 확대로 경쟁력 제고
편의점 업계는 PB상품이 전체 상품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이 현재 10% 안팎이지만 연말까지 최대 2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업계는 이를 위해 PB상품의 △가격경쟁력 극대화 △상품차별화 강화 △마케팅비용 최소화를 추구할 방침이다. 현재 450여개의 PB상품을 판매하는 CU는 올해 얼리버드족을 겨냥한 간편식,두유 상품 등을 중점 개발하고 샐러드,반찬류 등 특화상품을 비롯한 370개의 PB상품을 추가로 내놓아 매출 비중을 20% 수준으로 높일 계획이다. 2006년 35개였던 세븐일레븐의 PB상품 수는 지난해 PB전담팀을 구성한 이후 1년 만에 222개로 7배가량 증가했다. 올해는 PB상품을 400개까지 늘리고 매출 비중도 15%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미니스톱도 비식품을 비롯한 음료 등 PB브랜드를 지난해 121개에서 올해 137개로 늘릴 계획이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
5. PB제품 향후 전망
1) 대형마트
최저가 이미지를 고수해온 할인점은 고급화 바람이 불고 있다. 그 이유는패션 상품이 가 장 경쟁력있는 가치 상품으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기존 가격과 실용성 위 주의 PB에서 벗어나 품질과 프리미엄을 강조하는 PB개발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브랜드 개념의 차별화된 이미지를 구축하고 고객들의 구매를 유도할 방침이다. 또한 패션층을 각 복종에 따라 나누고 매장 인테리어도 백화점 못지 않게 한층 정돈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 로 변화시키고 있다. 패션 부문을 세분화, 전문화하는데 주력하면서 할인점에서의 패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제품의 개성을 살린 차별화만이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고 생존할 수 있는 요소가 될 것이다.
PB 상품의 확대는 지속될 것이다. 신세계 유통산업연구소가 100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0%가 저렴한 가격 때문에 PB제품을 구매한다 고 밝혔으며 46%가 가계형편이 나빠질수록 PB제품 구매를 늘리겠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 타났다. 이 같은 소비자들의 구매태도는 가격지향 구매가 더욱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PB제품 선호도로 이어지고, 대형마트들은 가격과 품질을 강화한 PB상품 확대에 더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2) 백화점
백화점은 성숙기에 진입했다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백화 점은 복합쇼핑몰 내 출점이 백화점 업계 시장 확대를 위한 모델로 될 수 있을 것이다. 백 화점은 쇼핑몰 부문 MD와의 브랜드 차별화 구성이 관건일 것으로 예상된다. 보통 백화점 은 브랜드와 제품이 거의 비슷하니, 각 백화점에 독자적으로 유치하는 브랜드로 차별화를 할 것이다.
3) 편의점
편의점은 이제 성장기를 지나서 성숙기에 진입했다. 소비트렌드가 빠르게 반영되는 편의 점의 특성상 PB상품도 경기불황이 반영된 저가격 식품위주의 상품들을 중심으로 강화되 고, 소비침체기 매출 증가를 위해 덤행사, 에누리 등 고객 유인을 위한 다양한 프로모션 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프리미엄 제품도 함께 출시되어 소비자를 공략할 것 이다.
[출처]
* 할인점 의류 PB 동향 |작성자 gudshim * 사단법인 한국 편의점 협회
* 최윤식 “비교구매상황에서 유통업체 브랜드(PB) 및 제조업체 브랜드(NB) 태도와 구매의도간의 경쟁효과 분석” 숭실대 석사학위논문
* GS25, 그랜드 백화점, 이마트,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11.30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30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