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평생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서론

제 2 장. 평생교육
 Ⅰ. 평생교육의 개념
 Ⅱ. 평생교육(평생학습)의 목표
 Ⅲ. 평생교육(평생학습)의 특성
 Ⅳ. 평생교육의 필요성
  1. 평생교육 기회의 확대
  2. 평생교육-교육의 형평성
  3. 국제화 시대와 평생교육의 필요
  4. 인생주기의 변화
 Ⅴ. 평생교육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부작용
  1. 사회체제 유지 대 기존생산관계의 재생산
  2. 지식의 전수 대 의식의 재생산
  3. 개인의 지위향상 촉진 대 선택적 선발
  4. 제2의 교육기회 제공 대 교육의 불평등
  5. 여가시간 추구 대 여가시간 소모
 Ⅵ. 우리나라의 평생교육법
  1. 평생교육법의 제정취지
  2. 평생교육법의 주요 내용
  3. 평생교육법과 시행령에 대한 문제점
  4. 평생교육법의 개정방향과 방안
 Ⅶ. 해외의 평생교육 현황
  1. 뉴질랜드의 평생교육
  2. 일본의 평생교육 -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를 중심으로
  3. 영국의 평생교육
  4. 미국의 평생교육
  5. 캐나다의 평생교육
 Ⅷ. 향후 평생교육(평생학습)의 정책 과제

제 3 장. 대학평생교육의 전개
 Ⅰ. 대학평생교육의 개념
 Ⅱ. 대학평생교육의 배경
 Ⅲ. 우리나라 대학의 평생교육 사례 및 외국의 현황
  1. 우리나라 대학교의 사례
  2. 외국대학의 평생교육기관
 Ⅳ. 대학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발전과제
  1. 대학 사회교육이 제공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 프로그램의 특화와 차별성 확보를 위한 전략을 강구해야 한다.
  2.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을 위한 전략적 변화가 필요하다.
  3. 성인학습자의 특성과 성인 교수학습 원리에 적합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4. 교·강사 및 시설확보 등의 교육여건 충실지수를 높이기 위한 전략이 강구되어야 한다.
  5. 대학 평생교육의 활성화와 특화, 그리고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획기적인 방안을 다각적으로 강구해야 한다.

제 4장. 사이버대학
 Ⅰ.사이버대학의 현황
 Ⅱ.개별 대학의 운영 상황
  1.한양사이버대학
  2. 서울사이버대학
  3.경희사이버대학
 Ⅲ.사이버대학의 긍정적인 측면
  1. 경제적 효율성
  2. 시간과 공간의 효율성
  3. 개별화 학습의 가능성
  4. 평생학습과 고등교육의 가능성
  5. 소통의 가능성
 IV. 사이버 대학의 문제점
  1. 재정상의 문제점
  2. 차별화된 전략의 부족
  3. 학습 운영상 문제점
  4. 학습자 측면의 문제점 - 개인과 사회적 인식의 문제점
 Ⅴ. 사이버 대학의 발전을 위한 과제
  1. 법 및 제도 정비의 필요성
  2. 구조조정 및 정체성 확립의 필요성
  3. 운영체제 및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
  4. 상호작용 촉진의 필요성

제 5장. 결론


참고문헌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교육, 경제, 정치, 노동 등 모든 부문이 21세기를 학습시대, 학습사회로 표현하고 있다. 5.31 교육개혁 보고서에서 보듯이 평생교육이 총체적 교육개혁의 원리로서 작용한지 이미 오래다. 이윤 추구를 업으로 하는 기업은 스스로 공부하는 회사(Learning Organization)를 표방하고 있다. 노조는 노사 협상의 중요 안건으로서 사내 교육을 상정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 교육 분담의 주체로 나서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들은 평생학습도시를 만들어 가고 있다. 김 대통령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정치가들은 약속이나 한 듯 평생교육의 전도사를 자임하고 평생교육헌장을 선포하기까지 한다. 21세기는 가히 평생교육의 세기라고 할 수 있다.
사회 각 부문에서 평생교육이 유행처럼 받아들여지게 된 것은, 평생교육이 주창되었던 시대적 배경인 급속한 변화와 인구의 증대 및 노령화, 과학기술과 매스컴의 발달로 인한 정보의 증대 및 정보화의 가속화, 여가의 증대 및 생활양식과 인간관계의 변화, 민주화와 이데올로기에 있어서의 위기 등이 심화발전된 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즉, 이러한 요인들이 글로벌화, 정보화, 민주화의 추세에 따라 한층 더 정교화, 체계화되어 하나의 입장으로서 설득력을 더하고 있다. 지식기반경제의 도래로 인하여 만인을 위한 평생학습은 누구나 누려야 하는 보편적 접근권으로서 확인되기에 이르렀다. 지난 개발 연대의 국가발전론 에서는 학교교육이 구원의 복음처럼 받아들여졌듯이 지식기반경제의 신 국가발전론의 시대에서는 평생교육이 그 자리를 대신한다. 지식기반경제의 도래에 따라 인간에게 체화된 지식과 기술의 관리, 인적 자본 개발의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약의 효능을 입증하는 엄정한 데이터는 없지만 많은 사람들이 평생교육을 만병통치약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그러한 믿음은 지식경제론, 변화속도론, 생애주기상의 역할 배분론, 생산적 복지론, 사회 결속론으로서 체계화되어 평생교육의 필요성을 한층 더 정당화한다. 평생교육에 대한 믿음이 혹세무민하는 현대판 유토피아 인지 신화 인지는 알 수 없으나 정치가, 사업주, 노조, 교육자 등 다양한 집단들간에 평생교육에 대한 이해관계의 제휴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은 평생교육이 현재의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서도 평생교육 체제 구축이 가시화되고 있다. 평생교육법의 시행으로 평생교육법에 의거한 새로운 평생교육 체제 구축의 원년을 맞이하고 있다. 평생교육에 대한 논의도 이념적 수준에서 평생교육 체제 구축 쪽으로 발전하고 있다. 정치적으로는 창조적 지식기반 국가 건설, 지식정보 10대 강국 건설, 교육 인적자원부 설치 논의와 맞물려 생애에 걸친 인적 자원개발 관리를 위한 평생교육이 각광을 받고 있다. 김 대통령도 여느 정치 지도자 못지 않게 주요 연설 때마다 평생교육을 강조한다. 생애에 걸친 인적 자원개발 관리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평생직업교육 체제 구축 등 평생을 덧붙이는 것이 유행이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모든 데에 평생교육을 접목시켜 논의하다보니 평생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진 것 못지 않게 평생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사회적 약자를 위하여 민주화와 사회정의를 실현하겠다고 어두 침침한 교회 지하실에서 출발한 평생교육이 대기업 간부의 화려한 회의실로 옮김에 따라 순환교육 또는 HRD에 예인되고 있으니 조심하라는 경고의 소리도 들린다. 평생교육이라는 말보다는 인적 자원 개발이라는 말이 더 자주 들린다. 어떠한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평생교육인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경제 결정론적 접근이 평생교육 담론과 정책을 주도하고 있는 것도 부인키 어렵다. 인적 자본, 지적 자본, 사회적 자본, 인적 자원 회계 등 사람과 지식이 돈으로 환산되는 자본주의 지배 시대에 인적 자원개발 관리라는 시대적 수요까지 겹치고 있다. 이러한 때에 삶의 질 제고를 위한 평생교육, 민주화와 사회적 포용을 위한 평생교육을 주창하는 것은 광야의 소리 내지 철모르는 낭만으로 들릴지 모른다. 그러나 21세기 평생교육 체제 구축을 위한 발전 방향과 과제의 탐색은 평생교육이라는 개념을 다시 생각하고 확대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평생교육이 추구하는 학습사회가 과연 어떤 사회이어야 하는 가부터 따져보아야 한다. 추구하는 학습사회의 유형은 추구하는 평생교육의 이념을 말해주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김도수(1994). 평생교육, 서울: 양서원
권이종(1996). 사회교육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김찬수(1997). 평생학습 이념실현을 위한 지역사회학교의 방향모색에 관한 연구, 홍익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신현득이희수(2000).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수원: 경기개발연구원
이정표(2000). 평생학습 평가인정제도의 구축 방향과 과제 탐색,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최돈민 외(1998). 평생학습 실현을 위한 열린교육체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한준상 외(1998). 평생교육의 21세기 장기 발전과 비젼을 위한 전략 모형 연구, 교육부
김승한, 평생교육입문, 서울 : 정민사, 1981.
권두승, 평생교육론, 서울 : 교육과학사, 1995.
권혁인,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사회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연세대, 1987.
정한열,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대학의 사회교육역할 : 계명대, 1987.
최운실, 한국의 평생교육, 서울 : 교학사, 1990.
서울시교육연구원, 평생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선일문화사, 1995.
서울시교육연구원, 학교에서의 평생교육, 서울 : 지은문화사, 1996.
(김인아, 권두승, 최운실의 초등, 중등, 대학에서의 평생교육)
서울시교육청, 특기적성 교육활동 운영 지침, 1999.
참고사이트
한국교육개발원 평생교육센터 홈페이지 http://ncle.kedi.re.kr
학점은행 http://edubank.kedi.re.kr
교육과학기술부 http://www.mest.go.kr/
평생교육 진흥원 http://www.nile.or.kr/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평생교육실천포럼 http://cafe.naver.com/lifelong
  • 가격5,000
  • 페이지수93페이지
  • 등록일2013.01.08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82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