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데코 양식] 아르데코 양식의 배경, 특징 및 사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르데코 양식] 아르데코 양식의 배경, 특징 및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아르데코(ART DECO)란?
2. 아르데코의 양식적 배경
3. 아르데코 양식의 형성 과정
1) 아르누보의 영향
2) 모더니즘의 영향
4. 아르데코의 디자인 특징
1) 단순함과 이국적 요소
2) 대중성 및 절충주의
5. 아르데코 양식의 사례
1) 건축
2) 회화
3) 공예

참고자료

본문내용

한 것은 미술가가 자연의 형태를 수학적 형태의 요소로 처음 분석한 초기 르네상스의 일이며 그것을 실제로 활용하여 나타내는 새로운 미술은 입체주의(Cubism)였다.
입체주의는 자연의 재해석이라는 방법에서 벗어나 형태와 공간에 절대적인 양식을 성립시키고자 한 일종의 형식주의가 본질이다. 즉, 그림 6와 같이 2차원의 평면위에서 3차원의 공간감각을 추구하였다. 그들의 창작 대상은 단순한 기하하학적인 형태로 변형되어 그림 7과 같이 그 대상의 변형과 왜곡, 재조합을 거쳐 그로테우스를 창출하였고 기존의 미의식을 전복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그림 6> 큐비즘, 피카소 <그림 7> 큐비즘, 피카소
아르데코 회화가 이러한 입체주의에서 받아들인 것은 기하학적 분석과 본질적 요소로의 축소이며 아르데코 회화의 색채는 절대적으로 야수주의에 그 기원을 둔다. 즉, 강렬하면서도 단조로운 색면(色面)과 심한 굴곡을 보이는 윤곽선이 특징을 이루며 그림 8처럼 무엇보다도 철저한 단순화에서 야수주의의 정신을 보여주고 있다.
입체주의는 그 후 칸딘스키로 대표되는 추상예술(Abstract Art)<그림 9>로 발전하였다.
회화적 기법이 실용적인 목적으로 사용된 응용예술에는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과 포스터(Poster), 책 표지화(Book binding)를 들 수 있다. 아르데코 시대에는 많은 화가들이 실용적 예술 영역에서 활동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분야에서도 아르데코의 특성을 보여주는 작품들은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그림 8> 야수주의, 마티스 <그림 9> 추상예술, 간딘스키
아르데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야수주의, 입체주의, 아프리카의 흑인 미술과 조각의 단일하고 강한 이미지를 이용하였으며, 바우하우스의 기능성과 합리성, 단순성, 현대성을 추구하는 미적 정신을 표현하였다. 또한 아르데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아우트라인(Out-line)을 사용하여 원근법, 평면법을 자유롭게 선택하였으며 여백과 공간을 이용하여. 모델, 의상, 배경을 조화롭게 구사하거나, 강렬한 대비를 통해서 대담한 모드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패션 일러스트레이터들은 이제까지의 기법과는 다른 기법으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표현하였다. 즉, 기존의 일러스트레이션은 흐림 윤곽선과 내부의 디테일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지만 야수주의의 영향으로 뽀솨르 기법(Pochoir Method)을 응용한 라인<그림 10>와 강렬한 색채배합, 섬세한 배경처리<그림 11>로 많은 의상디자이너들에게도 자극을 주었다.
<그림 10>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그림 11>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3) 공예
아르데코에서도 그 양식의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미술 장르(Genre)는 공예이다. 특히 공예의 어떤 분야보다도 가구는 유행과 스타일에서의 변화를 민감하게 반영한다. 가구 디자인의 혁신주의자들은 가구를 하나의 실내건축요소로 보았는데 기능적 의자<그림 12>과 유선형 의자<그림 13>와 같이 선과 볼륨과 장식을 단순화 시켰으며 이국적인 천연 목재와 가죽이 갖고 있는 어두운 색상을 전체적으로 사용하면서 비교적 밝은 색을 대비시켜 조화롭게 활용하였다. 그들은 자개, 거북이, 암보이아나부, 상아, 겔루쳇, 뱀가죽, 고급피지 등 희귀하고 값비싼 재료를 사용하였다.
<그림 12> 기능적인 의자 <그림 13> 유선형의 의자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는 대중성을 추구하여 대량생산 될 수 있는 금속과 특히 속이 빈 철을 많이 사용하였다. 이는 합리주의와 기능주의를 충분히 구현하고 아르데코가 선호하는 유선형의 형태가 기능성을 돋보이게 하였다.
도자기 공예에서는 <그림 14>과 같이 기하학적인 문양이나 유형화된 식물 형태로 겉면을 장식하거나, 도자기 전체를 유선형 또는 기하학적 형태를 이룸으로써 아르데코의 특성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유약을 바르는 파이앙스(Faience) 도자기에서부터 금이나 은으로 강조된 밝은 색채를 사용한 자기, 부드러운 납유리, 칙칙하고 윤이 나지 않는 모래로 만든 도자기 등의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아르데코 특성을 반영하였다.
아르데코 예술가들은 이외 에도 보석공예, 금속공예, 유리공예 등에서도 기하학적구조나 양식화된 식물형태, <그림 15>에서의 태양광선 문양 등의 아르데코 특성을 보여주는 작품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림 14> 밝은 색채를 사용한 자기 <그림 15> 태양광선을 양식화 시킨 유리컵
이상으로 살펴본 것과 같이 아르데코는 모든 대상을 입방체로 분석하여 기하학적 형태로 재구성하는 입체주의와 강렬한 색채, 형상의 변조와 단순 소박한 양식을 사용하면서 본질적인 핵심을 표출하고자 한 야수주의로부터 미학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아르데코는 대상의 본질적 요소를 표현하기 위해 기하학적 축소를 시도하였으며, 이를 위해 추상화와 유선형화 과정을 도입하여 대상을 기하학적으로 양식화 시켰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아르데코는 건축과 회화, 공예뿐만 아니라 패션, 자동차, 라이터, 케이스<그림 16>, 콤팩트, 향수병<그림 17> 등 생활 디자인의 다양한 분야에 파급되었다. 그 때문에 아르데코는 아르누보보다 종합적이며 광범위한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으며 바우하우스의 심플한 요소와 공통하는 것으로, 장식주의에 의해 화려하게 되었다. 아르데코의 기하학적 요소는 영국 그리스 코파의 맥킨토쉬, 오스트리아의 J. 호프만 등의 작품, 폴 푸아레의 1910년대의 의상 등에서 볼 수 있다.
<그림 16> 케이스 및 유리병 <그림 17> 향수병
참고자료
김문덕, 아르데코의 과거와 현재, 건축과 환경, 1987.
김민수, 모던 디자인 비평, 안그라픽스, 1994.
김선아, 슈즈디자인 개론, 디자인뱅크, 2008.
김성우, 관념-상황, 동서양의 세계관과 건축관, C3 Korea 191호, 2000.
김영인 외, 현대패션과 액세서리 디자인, 2001.
신상옥, 서양복식사, 수학사, 2000.
양숙향 외, 패션 20세기, 교학연구사, 2006.
이안, 상해 근대도시와 건축, 미건사, 2003.
정흥숙, 복식문화사, 교보사, 1988.
조규화 외, 패션미학, 수학사, 2004.
패션큰사전위원회, 패션큰사전, 교문사, 1999.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7.01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48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