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은][수은 개념][수은 오염원][수은 분석방법][수은 피해][수은 잘못된 오해]수은의 개념, 수은의 오염원, 수은의 분석방법, 수은의 피해, 수은의 잘못된 오해 분석(수은, 수은 개념, 수은 오염원, 수은 분석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은][수은 개념][수은 오염원][수은 분석방법][수은 피해][수은 잘못된 오해]수은의 개념, 수은의 오염원, 수은의 분석방법, 수은의 피해, 수은의 잘못된 오해 분석(수은, 수은 개념, 수은 오염원, 수은 분석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수은의 개념

Ⅲ. 수은의 오염원

Ⅳ. 수은의 분석방법
1. 총수은의 분석 방법
2. 메틸수은의 분석 방법

Ⅴ. 수은의 피해

Ⅵ. 수은의 잘못된 오해
1. 수은은 한번 몸속에 들어가면 체외로 배출되지 않고 계속 축적 된다
2. 수은은 어류 중 참치에만 들어 있다
3. 참치에는 수은이 들어 있어 먹으면 해롭다
4. 수은 때문에 임산부에게는 무조건 참치가 해롭다
5. 임산부는 참치 섭취를 제한해야 한다
6. 참치는 수은 위험이 높은 어종에 속한다
7. 참치의 수은 기준치가 없기 때문에 일반어류 기준치를 적용하면 된다
8. 총 수은과 메틸수은은 같은 것이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해서는 적용해서는 안 된다(…“심해성 어류 및 참치류 제외”…)고 명시해 놓고 있습니다.
국내에 개별 기준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을 경우 CODEX(국제식품규격)나 개별 기준이 마련된 다른 나라의 기준치와 비교해 안전성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통상의 예이다.
CODEX의 경우 어류(일반어류)는 메틸수은 0.5PPM이하로 안전기준치를 설정한 반면 참치를 포함한 육식성 어류(상어, 황새치, 참치)는 메틸수은 1PPM이하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의 경우 일반어류 안전기준치를 총 수은 0.5PPM이하로 정했으나‘상어 등 어류’는 총 수은 1PPM이하로 높게 설정해 관리하고 있다. 호주 및 뉴질랜드도 유럽연합과 마찬가지이다. 다만 미국의 경우 참치 등 심해성 어류를 별도 구분하지 않는 대신 CODEX의 심해성 어종 기준에 맞춰 전체 어류 안전기준치를 메틸수은 1PPM이하로 높게 정해놓고 있다.
따라서 참치에 대한 개별기준이 없는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CODEX 기준(메틸수은 1PPM이하) 등과 비교해 안전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옳다.
일반 어류는 연안 오염 등에 의해 수은이 체내에 축척되기 쉬운 반면 참치 및 심해성 어류는 천연 상태에서 먹이사슬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수은 함량이 생기므로 일반어류에 비해 기준치를 상대적으로 높게 정해 별도 관리하는 것이 세계적 경향이다. 여기에는 심해성 어류는 일반 어류와 달리 자주 섭취하지 않는다는 특성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8. 총 수은과 메틸수은은 같은 것이다
수은은 흔히 유기수은(메틸수은)과 무기수은으로 나뉘는데 인체에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유기수은(메틸수은)이다.
어떤 음식물이나 어류를 대상으로 수은 함량을 조사했을 때 전체적으로 검출된 수은 함량이 총 수은이며 이중 그 일부분이 유기수은(메틸수은)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참치 등 어류에 들어 있는 수은은 다른 음식물에 비해 무기수은의 함유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어류의 수은은 그 유해성이 같은 수은량의 다른 음식물보다는 위험성이 덜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The Chemical Form of Mercury in Fish\"/Stanford Synchrotron Radiation Laboratory, Dr.Grahan N Georg/Science VOL 301 29 Aug 2003).
통상적으로 총 수은 속의 유기수은(메틸수은) 비율은 30-70% 정도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 김천흠(2011), 외부 온도 변화가 수은 흡수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 백미화(2008), 수은의 독성과 중독 처치에 관한 고찰, 영남대학교
◇ 이치훈(2009)주요 배출원 지역에서의 대기 중 수은의 화학종별 특성, 연세대학교
◇ 장은실(2011), 수은의 물질흐름분석 및 인체 위해성평가, 건국대학교
◇ 정종수 외 1명(2009), 국내 수은 연구 동향 및 관리 현황, 한국대기환경학회
◇ 정종수(2008), 수은 제어기술 국내.외 연구 동향, 한국대기환경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1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