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관][유교관 성격][유교관과 효사상][유교관과 인권][정산종사 유교관][유교관과 조선시대 유교관]유교관의 성격, 유교관과 효사상, 유교관과 인권, 유교관과 정산종사의 유교관, 유교관과 조선시대의 유교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교관][유교관 성격][유교관과 효사상][유교관과 인권][정산종사 유교관][유교관과 조선시대 유교관]유교관의 성격, 유교관과 효사상, 유교관과 인권, 유교관과 정산종사의 유교관, 유교관과 조선시대의 유교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유교관의 성격
1. 유교사상은 현세적 삶, 그 자체를 가장 중시하고 있다는 점
2. 유교에서는 사람 각 개개인의 주체적 역량을 실천이론의 기본으로 삼고 있다는 점
3. 유교에서는 인륜도덕성의 확충을 한결같은 궁극적 과제로 간주하고 있었다는 점
4. 유교사상은 개인의 인생문제에서부터 정치 사회의 국가문제에 이르기까지 유기적 연계성의 논리로 전개되고 있다는 점

Ⅲ. 유교관과 효사상
1. 효의 방법
2. 불효
3. 효의 의무

Ⅳ. 유교관과 인권
1. 인사상을 통해서 본 인간의 권리관 유가에서 그리는 이상적인 인간상은 군자이다
2. 유교의 민본사상을 통해 본 인간의 권리관 인간의 권리(인권) 혹은 백성의 권리에 대한 유교사상의 입장은 민본사상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

Ⅴ. 유교관과 정산종사의 유교관
1. 정산종사의 전통 유교사상 편린
2. 정산의 성리학과 실학에 대한 인식
3. 선유 인식에 있어서의 정산종사

Ⅵ. 유교관과 조선시대의 유교관

참고문헌

본문내용

결집을 통해 유가적 수제치평의 經世的 실학사상을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 불법시생활 생활시불법, 영육쌍전, 이사병행의 교리가 이러한 실학성을 띠고 있다. 이에 대해 윤사순 교수는 말하기를, 원불교의 實際 지향의 정신은 유학 중에도 실리 실용 실효 실증을 추구하는 實際 지향의 의지로서 성리학의 實學 차원마저 넘어서던 후기실학의 정신과 같은 것이라고 하였다. 현실 중시의 종교성을 원불교는 이처럼 유교의 사상에서 실리적으로 추구하고 있다.
3. 선유 인식에 있어서의 정산종사
정산종사는 과거 諸家의 先聖을 추모하는 마음을 사업 추진의 원동력으로 보았으며, 이들을 비판하기 보다는 칭송 수용하는 측면이 더 많았다. 그는 이에 다음과 같이 말한다. 先聖을 추모하는 마음이 사업의 원동력이다. 사업을 전개해 나감에 있어 과거 제가의 성현 정신을 체 받아서 접근하려는 의도는 孔子의 ‘述而不作’이라는 정신과 그 맥이 통한다. 공자 스스로 과거 성현의 숭고한 정신을 이을 뿐 改作하지 않는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아울러 정산종사는 先天이 열리는 때에 三皇 五帝가 차례로 나와, 개벽의 역사를 맡아 하시었다고 하며 삼황오제를 선천시대 선지자로 인정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한 세상 한 판국이 짜이려면 三皇 五帝가 출현한다. 앞으로 금강산에 三皇殿을 지으리라라고 하였다. 개벽의 시기에 즈음하여 오늘날 금강산을 유람할 수 있는 국가적 여건이 갖추어진 마당에 그의 언급은 시사성 있는 법어이다. 아울러 그는 유촉편 34장에서도 先天이 열리는 때에 三皇 五帝가 차례로 나와, 개벽의 역사를 맡아 동서양을 망라한 개벽의 큰 공사를 주제할 것이라 하였다. 이처럼 그는 先聖들의 정신을 그대로 체 받으려는 모습을 日月相照하듯이 그대로 드러내놓고 있다.
또한 정산종사는 한 제자에 의해 옛날 요, 순, 우, 탕, 문, 무, 주공은 부처인지 보살인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말하기를 부처의 후신인지는 모르겠으나, 불생불멸의 도와 인과보응의 도를 밝히지 아니하였으니 부처는 아니요 현군이며 위대한 정치가이다고 하며 복희, 신농, 황제, 요, 순, 우, 탕, 문, 무, 주공, 공자, 안자, 증자, 자사, 맹자, 정자(형제), 주자의 순으로 유교의 법통이 이어졌다고 하였다. 이처럼 유교 선성들의 업적을 기린 정산종사는 도운편 27장에서도 ‘요순은 천하를 서로 사양하고, 제후는 아홉 고을을 서로 사양하매’라 하여 和氣 충만한 先賢들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나아가 정산종사는 은나라 탕왕의 글에 修道養德日新又日新(응기편 43장)이라는 글을 더하여 道德 회상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는 옛날 은나라 폭군인 紂를 비판하면서 말하기를 우리는 보다 멀리 보고 깊이 생각해야 할 것이다고 훈계하기도 하였다. 공자에 대한 그의 견해 역시 ‘송백의 절개’ ‘공부의 참된 힘’ ‘하늘 사람의 무리’(국운편 31장)라고 하며 칭송하는데 인색하지 않았다. 그는 마치 공자의 제자인 듯, 유학자인 듯 유교 성자들의 칭송에 인색하지 않았다.
이처럼 先儒들에 대한 평가를 다음의 비유적 언급으로 그는 분명히 밝히고 있다. 즉 그는 도운편 24장에서 초왕은 나라를, 공자는 인류를, 대종사는 우주 만물을 한 집안 삼으셨나니, 이가 곧 세계주의요 일원주의니라고 하며 선지자의 정신적 유훈을 소태산 대종사에게 잇는 것을 잊지 않았다. 나아가 그는 맹자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도 자기의 인격을 귀하고 존중히 여김으로 평가하고 있다. 孔孟의 성자 정신도 결국 대종사의 경륜으로 귀결됨을 그는 간파하고 있다.
정산종사는 공자와 안연간의 師弟 사이를 소태산과 팔산으로 비유하기도 하였다. 그는 원기 24년 1월에 ‘팔산 선생 열반을 지내고’라는 제목으로 글을 쓴 것이 이것이다. 안연이 죽자 공자가 매우 슬피 운 것을 보고 정산종사는 묵연히 이를 명상으로 觀照하면서 말하기를 나는 이 글을 읽을 때에 한참 동안 묵연히 앉아서 공자와 안연 사이에 맺힌 정곡과 또는, 안연이 그 회상에 어떠한 인물인 것을 마음 깊이 생각해 본 바가 있었다고 하며 이제 우리 회상에 팔산 선생이 열반에 드시니 종사주께옵서 성루 방방하옵시고 실성 통곡 하시기를 여러 번 하셨은 즉 여기에서도 종사주와 팔산 사이에 맺힌 정곡과······라고 하였다. 정산종사는 이처럼 공자의 제자 사랑의 정신을 소태산의 師弟之情과 연결시키고 있다.
그는 또한 분서갱유에 앞장선 진시황을 비판하고 있으면서도 소강절의 싯구에 즐겨하는 것을 보면, 선유들에 대한 비판과 칭송을 분명히 선별적으로 하고 있다. 정산종사는 진시황의 교훈을 통해 ‘사람같이 약한 것이 없고 사람같이 허망한 것이 없고 사람같이 위대한 것이 없으니, 언제나 수도에 전념하고 상생으로 선업을 짓기에 노력하라’(한울안 한이치에, 2장심은 대로 거둠 49장)고 하였다. 이처럼 진시황을 비판함은 중국의 先賢 모두를 칭송한 것이 아니라 교판적으로 正邪 비판을 통해 칭송과 비판을 아우르고 있음을 알게 해준다.
Ⅵ. 유교관과 조선시대의 유교관
유교의 영향이 가장 컸던 조선 시대에는 유교의 원리에 대한 해석의 차이로 논란이 있었지만, 그런 논의 과정을 통해 유교의 전성기를 가져오게 되었다.
유교의 이념은 교육, 의식, 공공 행정 체계에 잘 나타나 있다. 10세기경 중국에서 들어온 인재 등용 시험인 과거 제도는 유교의 학문과 유교적인 가치관을 한국인의 마음 속 깊이 새기는 데 커다란 역할을 했다. 오늘날에도 유교의 가르침에서 나온 사고방식이나 관습 등이 한국 사회에 남아 있다.
①나라에 충성한다.
②부모에 효도한다.
③인간의 도리를 지킨다.
④항상 어진 마음을 가지고 생활한다.
⑤한문학의 발전을 가져온다.
⑥조상을 정성껏 모시도록 가르친다.
⑦사회 질서 생활의 본보기가 된다.
참고문헌
김용재(2005) - 조선시대의 유교 교육기관과 교육방법,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류성태(1998) - 정산종사의 유교관,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박홍규(2007) - 유교와 인권,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심도희(2008) - 유교의 사생관과 효의 종교적 성격, 순천대학교남도문화연구소
오석원(2000) - 유교의 효사상과 현대사회, 한국유교학회
이재운(1996) - 최치원의 유교관, 백산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4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