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개론 과제] 상징 분석 : 정지용의 ‘향수’ & 정지용의 ‘바다1 & 문태준의 ‘흘러넘치네’ & 윤동주의 ‘소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학 개론 과제] 상징 분석 : 정지용의 ‘향수’ & 정지용의 ‘바다1 & 문태준의 ‘흘러넘치네’ & 윤동주의 ‘소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각적 상징
1) 선정시 : 정지용 - ‘향수’
2) 시 분석

2. 청각적 상징
1) 선정 시 : 정지용 - ‘바다1’
2) 시 분석

3. 후각적 상징
1) 시 선정 : 문태준 - ‘흘러넘치네’
2) 시 분석

4. 촉각적 상징
1) 시 선정 : 윤동주 - ‘소년’
2) 시 분석

본문내용

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4. 촉각적 상징
1) 시 선정 : 윤동주 - ‘소년’
소년
윤동주
여기저기서 단풍잎 같은 슬픈 가을이 뚝뚝 떨어진다.
단풍잎 떨어져 나온 자리마다 봄을 마련해 놓고
나뭇가지 위에 하늘이 펼쳐 있다.
가만히 하늘을 들여다보려면 눈썹에 파란 물감이 든다.
두 손으로 따듯한 볼을 씻어 보면
손바닥에도 파란 물감이 묻어난다.
다시 손바닥을 들여다본다.
소금에는 맑은 강물이 흐르고, 맑은 강물이 흐르고,
강물 속에는 사랑처럼 슬픈 얼굴 - 아름다운 순이의 얼굴이 어린다.
소년은 황홀히 눈을 감아 본다.
그래도 맑은 강물은 흘러 사랑처럼 슬픈 얼굴 - 아름다운 순이의 얼굴은 어린다.
2) 시 분석
이 시에서는 주로 시각적 심상으로 이 시를 전개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이 시에서는 촉각적 심상을 사용함으로써, 이 시의 묘미를 살리고 있다. 바로 ‘따듯한 볼’이라는 표현이다. 3행에서는 파란 물감이라는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차가운 느낌을 연출하고 있다. 이 시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보자면 파란 물감이라는 표현은 순이라는 여인을 그리워하는 소년의 심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두 손으로 따듯한 볼을 씻어 보면’이라는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따듯한 느낌이라는 촉각적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파란 물감이라는 차가운 이미지와 대조되는 것으로써, 차가운 이미지를 더욱 더 강조하기 위해서 이 표현을 사용하였다. 또한 따듯한 볼 자체로도 소년이 그리워하는 순이라는 여성을 유추할 수 있는 것으로서, 순이라는 여성의 존재가 소년에게 따뜻하게 다가오고 있다는 것도 나타내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12.01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56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