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위험관리] 환노출의 개념과 종류, 환위험의 관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위험관리] 환노출의 개념과 종류, 환위험의 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환노출의 개념
1. 환노출과 환위험
2. 환노출의 종류
1) 환산적 환노출
2) 경제적 환노출
3) 거래적 환노출

Ⅱ. 환위험의 관리
1. 환산적 환노출의 측정과 관리
1) 현행환율법
2) 유동성/비유동성법
3) 화폐성/비화폐성법
4) 시제법
5) 상황접근법
2. 경제적 환노출의 관리
3. 거래적 환노출의 관리
1) 대외적 관리기법
(1) 선물환시장헷징
(2) 자금시장헷징
(3) 스왑거래
2) 대내적 관리기법
(1) 매칭
(2) 선불 및 지연
(3) 상계
(4) 가격정책
(5) 자산, 부채관리

본문내용

자금조치가 이미 되어 있거나 자금조
치가 확실한 것으로 보이는 경우의 선물환거래를 커버드 포지션(covered
position)이라고 하며, 계약을 이행하는 데 필요한 해담 자금의 준비가 안
되어 있어 이 자금을 계약의 이행시점에서 현물환율에 의하여 지금을 매입
해야 하는 경우의 선물환거래를 오픈 포지션(open position) 또는 언커버드
포지션(uncovered position)이라고 한다. 친자의 경우에는 환리스크의 추가
부담이 없는 완전한 헷징인 데 비하여, 후자는 미래의 불확실한 현물환율에 의하여 자금을 구입해야 하므로 환리스크의 추가부담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커버드 헷징(covered hedging)은 거래부담에 대한 대응책으로, 언커버프 헷징(uncovered hedging)은 환산부담에 대한 대응책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2/ 자금시장헷징
자금시장헷징은 금융계약에 의해 환위험을 제거 내지 완화한다는 점에
서 원칙적으로 선물시장을 통한 관리기법과 차이가 없으나 이용시장이 국내
금융시장과 국제외환시장이라는 점에서 서로 다르다. 즉, 이 방업은 국내금
응시장에서 자금을 차입, 이를 외화로 환전하여 외환시장에서 운용함으로써
환리스크에 대응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선물환시장을 통하는 방법보다
장기계약 체결이 가능하며, 외환선물시장이 발달하지 못한 지역과의 거래에
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자금시장헷징은 외환시장과 자금시장을 동시
에 이용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든다.
3/ 스왑거래
일반적으로 스왑거래라 함은 외환매매의 두 당사자간에 헌물환의 매매
와 동시에 이에 대응하는 선물환의 반대거래를 행하는 것을 지칭한다. 스왑
거래는 현물환시장에서의 외국통화매입(매출)거래와 선물환시장에서의 외국
통화매출(매입)거래가 같은 금액으로 동시에 발생하므로 환포지션을 발생시
키지 않는다. 따라서 스왑거래는 헌물환율이 변동하더라도 이에 따른 환노
출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환위험관리기법의 하나로서 이용된다.
스왑거래에는 금리재정거래(covered interest arbitrage), 대체 또는 평
행대출(back-to-back or parallel loan), 통화스왑(currency swap), 신용
스왑(credit swap) 등의 형태가 있다. 스왑거래에 의한 환위험관리방법은
장기적인 환위험을 예방하는 데 주로 이용되는데, 기업들이 많이 사용하는
스왑거래는 통화스왑이다. 이 방법은 비용이 적게 들고 부채비율을 유지하
기가 용이하며, 환산위험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데 있어서도 효율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법적으로도 간편하기 때문이다.
2) 대내적 관리기법
1/ 매칭 (matching)
매칭은 외화자금의 유입과 유출을 통화별 만기별로 일치시킴으로써 환
위험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즉, 통화별로 자금수입(cash inflow)
과 자금지출(cash outflow)의 금액과 시기를 의도적으로 일치시킴으로써 환
위험을 본원적으로 회피한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호간에
동일 통화표시 자금수급(two-way cash flow)이 상존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호간 거래가 빈번한 다국적기업, 무역회사의 본 지점간에 주로 이용된다.
매칭의 방법에는 통화별로 자금의 수급을 일치시키는 자연매칭(natural
matching)과 환율변동의 추세가 유사한 통화군(群)의 현금수지를 일치시키
는 평행적 매칭(parallel matching)이 있다.
2/ 선불 및 지연(leading and lagging)
선불과 지연은 환율변동에 대비하여 외화자금의 결제시기를 앞당기거나
(leading), 지연(lading)시킴으로써 환위험을 감축시키는 방법으로서 다국
적기업의 모회사와 자회사간 또는 자회사 상호간에 이용된다. 기업은 지급
의 시기를 앞당기거나 늦춤으로써 기업의 자산 및 부채에 영향을 미치게 되
며 상대기업에 대해서도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선불과 지연은 대차대조
표 구성항목의 포지션변화를 통하여 외환부담을 방어하는 환위험관리기법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기업 간에는 일국기업의 이익은 곧 상대국 기업의 손실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용하기 어렵다.
3/ 상계(netting)
상계는 상호간에 발생하는 채권 채무를 감한 후 차액만을 결제하는 방
험이다. 즉, 일정 시점에 상호간의 순채권 또는 순채무만을 결제함으로써 환
위험에 노출되는 금액을 줄이는 방법이다. 상계에는 두 거래자간에 이루어
지는 양자간 상계(bilateral netting)와 여러 거래당사자간에 이루어지는 다
자간 상계(multilateral netting)가 있다.
4/ 가격정책(pricing policy)
가격정책은 기업이 판매관리와 구매관리전략의 일환으로 판매수익의 극대화 또는 매매비용의 극소화를 위한 가격결정 및 가격선택을 통하여 환위험을 회피하는 전략이다. 여기에는 가격조정방법과 가격표시 통화의 선택방법이 있다. 가격조정(Price variation)방법은 자국통화의 평가절하가 예상되는 경우 그만큼의 상품가격을 인상시킴으로써 환율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판매이익에서 만회하는 방법이다. 가격표시 통화의 선택(currency of involving)방법은 거래상품의 가격표시 통화로 자국통화를 선택하거나 환율변화 없는 통화를 선택함으로써 환위험을 회피하는 방법이다.
5/ 자산 부채관리(asset/liability management: ALM)
환율변화의 전망에 따라 기업의 보유하고 있는 자산과 부채의 포지션을
신축적으로 조정함으로써 환위험에 대비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방어적
인 환위험관리전략을 추구하는 경우에는 거래통화의 강세 또는 약세에 관계
없이 자산과 부채, 수익과 비용, 자금수입과 자금지출을 통화별로 일치시킴
으로써 환위험을 회피한다. 반면에 공격적인 환위험관리전략을 추구하는 펀
우, 거래통화의 강세가 예상되면 자산 수익 자금수입 등을 증대시켜 배입
초과 포지션(long position)을 유지하고 거래통화의 약세가 예상되면 부채
비용 자금지출을 증대시켜 매출초과 포지션(short position)을 조정함으로
써 적극적으로 환차익을 얻고자 하는 관리기법이다.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04.26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50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