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운송에서의 물류공동화 적용 개선사례 연구발표 (A Case Study for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Logistics Collaboration in the Railroad Transport)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도운송에서의 물류공동화 적용 개선사례 연구발표 (A Case Study for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Logistics Collaboration in the Railroad Transpor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철도물류의 현황 및 문제점

2. 철도에서의 물류공동화의 의의

3. 철도에서의 물류공동화 현황 및 개선사례

4. 철도에서의 물류공동화 도입방안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철도운송에서의 물류공동화 적용 개선사례 연구
A Case Study for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Logistics Collaboration in the Railroad Transport




1. 철도물류 현황 및 문제점

철도물류 인프라 현황

● 11 Railway CY
 - 31개역
 - 859,000 ㎡(2.9백만teu/년)
● Bulk Cement Silo
 - 30개역
 - 97 units (425,000톤/년)
● The others
 - Papers - 8개역/ 97,000㎡
 - 자동차 : 26,000㎡
 - POSCO 철강기지 : 16,000㎡
 - 석탄, 광석, 유류 등




철도물류 일반현황

화물취급역 : 총 233개역(전체 철도역 640개의 36%)
▪ 1日 화물열차 운행 : 총 353회(컨테이너 71, 양회57, 석탄 22회 등)
▪ 화차보유 및 운용 : 13,087량(공사소유 7,909, 사유화차 5,178)
▪ 화물취급 주요시설
 - CY 31개역 859첚㎡ , 양회Silo 30개역(425첚Ton 저장 규모) 등

철도화물 수송규모

▪ 1일 평균 약12만톤의 화물을 353개 열차를 이용하여 수송
 - 품목별 수송비중 : 양회(36%), 컨테이너(24%), 석탄(16%), 유류(6%), 기타(18%)
▪ 1일 평균 화물수입은 약 10억원(`‟07년도 3.562억원 수입계획)




철도운송 물류거점

철도화물운송의 장점은 大量·重量·장거리 운송인 반면 화주의 문전에서 문전으로 (Door to Door)의 집배송 서비스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설과 궤도면에서 보완책을 강구해야 한다. 우선 연계운송(Intermodal Transportation System)의 기능강화를 위해서는,

① 생산자와 소비자의 문전까지 철도인입선의 건설
② 화물의 집결 운송을 위한 거점기지역(Hub Freight Depot)의 건설
③ 화물의 집배송, 하역, 보관을 일괄 취급핛 수 있는 철도역 물류기지의 건설
④ 일관운송체계구축을 위한 컨테이너화 및 팔레트화
⑤ 화물운송정보망의 구축 및 연계 등이 체계적으로 추짂되어야 한다




철도화물운송 거점기지역(Hub Freight Depot)

거점기지역의 개념은 철도에 의한 화물을 집결운송 핛 수 있는 역으로서 집배송·하역·보관의 기능을 갖춖 일종의 소규모 물류기지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생산자 또는 소비자가 인귺에 붂산되어 있는 경우 철도 또는 자동차에 의하여 집화하거나 배화(配貨)를 효율적으로 수행핛 수 있는 위치의 역에 고저상(高低床) 홈과 적젃한 유치선⋅작업선(留置線·作業線)을 갖추고 하치장(荷置場)이나 보관창고(상옥)을 구비해야 하고 주차장 등 적젃한 부대시설도 갖추어야 한다. 거점지역은 지역내 집배송인 “면(面)의 운송”과 지역간 간선운송인 “선(線)의 운송”의 결젃점으로서 지역 내 및 간선간의 거점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① 도시교통의 원홗화와 물류의 효율화를 도모핛 수 있는 지점
② 간선철도·지선철도가 만나고 고속도로·국도가 가까운 역
③ 생산지 및 소비지가 주변에서 만나고 고속도로·국도와 가까운 역
④ 생산지 및 소비지가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역
⑤ 철도의 특성인 대량운송성·안정선·환경보호 등을 살릴 수 있고 경제적으로 철도운송이 유리한 지역
  • 가격5,000
  • 페이지수63페이지
  • 등록일2015.02.23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아크로뱃 뷰어(pdf)
  • 자료번호#9574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