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시대 한국의 외교 및 국방전략 평가 {박정희 시대 한국의 안보 환경 , 박정희 정권의 국가 목표, 국가 전략과 외교 군사 전략의 성격, 박정희 정권의 외교 안보 역량 강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박정희 시대 한국의 외교 및 국방전략 평가 {박정희 시대 한국의 안보 환경 , 박정희 정권의 국가 목표, 국가 전략과 외교 군사 전략의 성격, 박정희 정권의 외교 안보 역량 강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박정희 시대 한국의 안보 환경
  1) 1960년대 한국의 안보환경
   (1) 미국의 전략 변화
   (2) 월남 전쟁의 확전
   (3) 북한의 게릴라 준동

 2. 박정희 정권의 국가 목표 -국가 전략과 외교 군사 전략의 성격
  1) 박정희 정권의 외교안보정책
  2) 국방정책
  3) 박정희 정권 외교 안보 정책의 특징 ; 경제우선 주의
   (1) 경제발전이 결과로서의 국가안보 추구
   (2) 명확한 이념적 목표 : 반공과 자유주의
   (3) 실용주의적, 현실주의적 외교 및 안보 목표
   (4) 확대지향적 국가 목표

 3. 박정희 정권의 외교 안보 역량 강화
  1) 군사구테타 이전 한국의 외교안보 능력
  2) 국군 현대화
  3) 율곡 사업
  4) 북한의 안보 경쟁에서 승리한 박정희

Ⅲ. 맺는말

본문내용

는 것이었다. 북한보다 휠씬 약했던 한국은, 북한보다 강하게 만들어 놓았다는 사실은 박정희 체제가 비록 독재정치, 인권유린으로 인해 그 공이 희석되고 있지만 업적 평가의 측면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 할 수 밖에 없는 가장 중요한 근거가 된다. 박정희는 경제의 싸움, 안보의 싸움에서 북한을 꺾은 것이 분명했다.
박정희가 북한과의 외교 안보 경쟁에서 승리 했기 때문에, 박정희가 목표로 내세운 국가 안보, 외교의 목표는 일단 성공적으로 달성되었다고 말 할 수 있는 것이다. 박정희는 궁극적으로 한국을 제 2의 일본과 같은 나라로 만들고 싶어 했지만, 당장의 목표는 북한을 추월하는 것이었다. 박정희는 그 자신 살아 있는 동안 자신이 이끈 남한이 안보와 경제 면에서 북한을 확실히 앞서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1970년대 초반 한국의 군사비 지출은 북한의 절반도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장비 면에서도 북한은 남한을 월등히 압도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던 것이 1976년 극적인 역전을 하게 된다. 한국의 국방비 지출이 처음으로 북한의 국방비 지출 보다 많아진 것이며, 그 이후 박정희가 죽을 때 까지 한국이 국방비는 북한의 국방비를 크게 상회하기 시작했다. 언급했던 대로 1978년 한국은 처음으로 군사비 총액을 자체의 국내 재원에 기반한 국방예산으로 100% 충당했다는 감격스러운 상황을 맞이했던 것이었다
Ⅲ. 맺는말
박정희 정권은 논란이 많은 정권이다. 그러나 한국 국민들은 다른 정권과 비교할 경우 박정희 정권이 휠씬 우수한 정권이었다고 칭찬하는 데 인색하지 않다. 각종 여론 조사 결과가 이를 입증하고 있다. 박정희의 업적은 분석적으로 연구해 보더라도 한국 국민들이 평가하는 대로 다른 정권에 비해 압도적으로 우수했다는 점이 드러난다.
박정희 정권은 역대 어느 정권보다 국제정세가 급변하는 와중에 있었던 정권이었다. 특히 국력이 아프리카 3류 국가 수준인 상황에서 내전이 종국국인 미국의 대외전략이 변동하는데 따라 한국 정부는 이에 적응하기 위해 무진 애를 쓰지 않을 수 없었다. 박정희는 미국에 애걸하기도 하고, 미국의 뒤통수를 치기도 하며, 한국 안보의 최대 변수인 미국을 한국의 안보에 지속적으로 개입시키기 위해 노력 했다.
이 같은 과정에서 박정희는 한미 동맹을 유지하면서도 자주성을 잃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박정희의 미국에 대한 입장이 감정적인 것이 아니라 실리적인 것이었다는 점은 박정희 대미외교의 가장 중요한 성공 요인이라고 말 할 수 있다. 분명한 외교 및 안보노선이 제시, 실용주의이 추구는 박정희가 부국과 강병의 인과관계를 정확히 알고 그대로 집행했다는 점이다. 흔히 다수의 국가 지도자들은 국가 안보에 치중한 나머지 경제보다는 군사력 증강에 열을 올리다가 일을 그르치고 마는 경우가 왕왕 있지만 박정희는 40대의 젊은 군인이었지만 국가안보는 경제발전의 결과물이라는 신념을 잃지 않았고, 이를 관철했다.
박정희 정권이 외교안보 정책이 성공한 정책이라고 평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근거는 북한과의 안보 능력 비교에서 찾을 수 있다. 박정희 정권은 1970년 대 초반 북한의 절반도 되지 못하던 국방비를 1979년에는 북한 국방비의 두배 정도로 올려 놓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1978년에는 사상 최초로 국방 예산을 순수하게 한국의 재원으로 100% 충당했다는 기록도 세웠다. 21세기 세계 10대 경제대국으로 오늘의 상황에서 보면 대수로운 일이 아닐수 있겠지만 박정희 시대의 자주국방 목표가 부분적으로 달성되는 순간이었다. 물론 오늘이 경제발전의 초석도 박정희의 공적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없다. 박정희 시대는 한국의 격량을 헤쳐 나가는 조각배와 같았다. 국제적으로 격변의 시대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국제적 격변은 대부분 한국의 국가 안보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들이었다. 1960년대 초반 미국의 군사전략 변화, 월남 전쟁의 격화, 닉슨 독트린을 통한 아시아 에서의 미군철수, 데탕트의 전개. 미국과 중국이 화해 및 수교, 카터 대통력의 도덕 외교, 카터 대통령의 주한 미군 전면 철수론 등 다양한 요인들은 박정희 정권에게 큰 도전이었다. 박정희 정권은 이러한 도전을 헤쳐나갔다. 박정희가 이러한 도전을 헤쳐 나간것은 그가 역경에서도 살아 남았던 혁명가 였다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박정희의 외교 및 안보정책 과정에서 나타난 인권 유린, 독재정치등은 박정희 정권의 최대 과오이지만, 박정희가 이룩한 외교안보적 측면에서의 성취는 그의 과오를 능가하는 것으로 보아야 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8.24
  • 저작시기201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96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