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근대주택의 변천과정에 미친 전통적, 사회적 영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근대주택의 변천과정에 미친 전통적, 사회적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우리나라 건축의 사상적 배경
1. 유교사상
2. 풍수지리설
3. 제국주의
4. 민주주의

시대별 주택의 특징
1. 전통주택
① 공간의 위계 ② 공간의 개방성과 폐쇄성
③ 공간의 가변성 ④ 생활구성
⑤ 마당과 중정 ⑥ 사당과 조당
⑦ 대청마루 ⑧ 방과 실
⑨ 주방
2. 근대주택(도시형 한옥)
① 공간구성 및 배치 ② 마당과 청정
③ 대청마루와 객당 ④ 방
⑤ 주방
3. 현대주택
① 현관 ② 거실
③ 침실 ④ 발코니
⑤ 주방 ⑥ 식사실

총평
1. 생활환경요인이 미치는 영향
① 공간배치
② 동선체계
③ 자연환경요인
④ 사상적 요인
2. 느낀 점
3.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구성은 자연스럽게 일부 침실이 입구에 근접하게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구성은 현대의 거실 중심형 단위평면에서도 보여주며 그에 맞는 동선체계 또한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또한 서울의 아파트는 발코니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보인다. 중심 동선 외에 또 하나의 동선을 만들어 주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들어 발코니 확장이 합법화 되면서 이러한 발코니를 실의 확장용도로 이용되면서 발코니에서 형성되는 동선은 사라져 가는 추세이다. 하지만 근본적인 기능으로 볼 때 전통주택과 도시형 한옥에서 볼 수 있는 툇마루와 흡사한 형태와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간은 세대내의 생활환경에서 동선과 공간 활용의 다양성을 줄 수 있는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된다. 도시형 한옥의 지속과 변화에 관한 연구 1950년대 서울시 마포구 개량한옥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송동순(2008)
전통주택
근대주택
현대주택
마당
중심형
③ 자연환경요인
- 봄·가을보다 여름과 겨울이 길며,3면이 바다로 둘려 쌓여 있고 주요도시들은 강이 도시의 중앙을 가로지르기 때문에 습한 기후를 보인다. 위도상 북쪽에 위치하며 습윤 대륙성 기후조건과 겨울의 한랭한 서북풍의 영향으로 추운 기후조건을 보인다. 이러한 자연환경은 인간의 안락(安樂)한 생활에 제약조건을 가져다주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조건들로 인한 더위와 추위에 적응해 오면서 오랜 세월동안 채광, 통풍에 유리한 남향을 선호하는 관습이 내려오고 있다. 이러한 관습은 현대 공동주택에서도 잘 보이고 있다. 발코니는 요철이 적거나 없는 직선형 발코니의 특성을 보이며, 하나의 발코니에 여러 실들이 연결되어 있는 특성을 보인다. 전통한옥의 공간구성에 관한 특성과 현대한옥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윤영일(2010)
통풍과 채광
관념의 차이
자연
환경
④ 사상적 요인
- 남향을 주 채광 방향으로 계획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특별한 제약조건을 제외한 보편적인 계획론적 관점에서 주침실과 거실을 남향으로 계획하고, 주방·식사실, 부 침실은 북향으로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계획은 오랜 세월동안 생활에서 축척된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된 규범일 것이다. 이러한 실의 배치는 거주자의 남향선호의식과 가부장적인 생활양식에 의해 형성된 특성일 것이다. 이는 유교의 삼강오륜(三綱五倫)에 의해 형성된 암시적인 상하관계에서 생겨난 위계에 의해 공간의 사용이 결정되면서 공간의 위계도 함께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즉, 집안의 가장이 사용하는 주침실과 온 가족이 함께 사용하는 거실은 가장 많은 면적을 점유하며 채광, 통풍에 유리한 남향에 배치되고, 주부가 사용하는 주방과 식사실은 상대적으로 환경이 불리한 북향에 배치되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시대가 변함에 따라 이러한 규범도 변화가 일어난다. 최근 단위평면에서는 주방이 남향 또는 남동 향에 배치되어 있는 단위평면을 볼 수 있다. 이는 사회적으로 여성의 지위가 높아짐에 의해 여성의 공간이라 일컬어지는 주방이 거실과 연계되어 하나의 가족중심의 공간으로 인식된 결과일 것이다. 이렇듯 오랜 세월 내려오는 사상적 배경을 근거로 현대에서 유지되거나 변형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는 유교사상의 세대 간의 상하관계의 위계를 중요성이 전통주택의 공간구성에서는 사랑채와 안채의 공간구성으로 나뉘는 남, 여의 공간분리를 명확히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은 도시형한옥에서 사라져 흔적만 안채와 바깥채로 구분되는 흔적만이 남게 되고, 현대의 공동주택으로 변화해오면서 찾아보기 힘든 공간구성이 되었다. 하지만 자녀세대와 부모세대의 공간분리는 거실과 주방/식사실로 암시적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 도시주거의 변천과정에서 나타난 주거사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김용범(2001)
사상적 요인에 의한 단위평면
영역구분의 유지와 변화
남향선호
관념의 변화
전통주택
현대주택
2. 느낀 점
- 이제 과제를 시작하였을 때에는 도시형 한옥의 변천과정을 통하여 설명을 하려고 하였으나, 현재는 주거 환경을 보면 한옥보다 집합주택, 아파트 등으로 주거환경이 변화하였기 때문에 과거의 전통적, 사회적 상황들이 전통주택과 근대주택 그리고 현대 주택에서 평면 또는 단위주호에서 나타나는 형태를 통하여 비교하고 정의 해보려고 했다. 이 과제를 통하여 우리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주택공간들이 단순하고 경제적인 기능적인 공간분활을 통하여 형성되었던 공간이 아니었다. 이는 과거의 전통과 유교사상을 통해서 형성되었던 공간과 실들이 현재에는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한 형태를 통하여 함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공간이 단순히 필요한 실의 규격과 형태를 통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현대를 함축하여야 좋은 공간, 좋은 건축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참고문헌
- 사회적 배경에 따른 주거건축의 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최문규(2010)
- 전통건축의 배치에 관한 지리 체계적 해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이원교(1993)
- 한국전통건축의 외부공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홍배(1986)
- 한·중 전통주택에 나타난 생활환경요인에 따른 공동주택 단위평면 특성비교, 건국대학교, 배용성(2005)
- 한, 중, 일 ‘ㅁ 자형 전통주택’에 나타난 실내공간의 동질적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배용성(2005)
- 한옥, 전통에서 현대로 : 한옥의 구성요소, 주택문화사, 조선환(2008)
- 한·중 집합주거의 공간구성에 관한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김민규(2005)
- 한·중 근대화 과정에서의 전통주택 공간 특성 비교 분석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양비 외 2명(2009)
- 한국 도시주거의 변천과정에서 나타난 주거사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김용범(2001)
- 전통한옥의 공간구성에 관한 특성과 현대한옥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윤영일(2010)
- 도시형 한옥의 지속과 변화에 관한 연구 1950년대 서울시 마포구 개량한옥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송동순(2008)
- 1930~1980년대 길음동, 북아현동의 서민주택의 현황 및 공간구성방식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이효진(2010)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10.05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34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