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분만 case [산부인과 실습 자연분만 컨퍼런스 문헌고찰 / 과거력 / 약물 /간호진단등]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연분만 case [산부인과 실습 자연분만 컨퍼런스 문헌고찰 / 과거력 / 약물 /간호진단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자료수집(Assessment)
1.간호력
2.신체검진(Physica examination)
3.입원시 분만진행 사정
4.분만진행 과정

Ⅱ 분만곡선 그리기

Ⅲ 분만과정 기록지
1.신생아 간호
2.분만관련 정서적 상태 및 요구도 사정
3.임상검사
4.사용약물

Ⅳ 간호진단

Ⅴ 간호과정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 “모유수유 동영상 보여주세요.”
객관적 자료
- 규칙적인 수유를 한다.
- 유두의 모양이 정상이다.
간호목표
- 산모는 아기에게 효과적으로 모유수유를 한다.
- 산모는 자신감을 가지고 성공적인 모유수유를 한다.
간호계획
- 모유수유를 하기 위한 초기 시도시 편안함과 프라이버시를 유지한다.
- 수유기간 중 균형 잡힌 식이에 관해 산모에게 교육한다.
- 직장 여성도 수유를 계속하도록 격려한다.
- 모유수유 동영상을 보여준다.
- 가정에서 모유수유를 잘할 수 있도록 서면자료를 제공한다.
간호수행
- 모유수유를 하기 전에 편안하게 해주었으며 프라이버시를 지켰다.
- 균형 잡힌 식이에 관해 산모에게 교육했다.
- 직장 여성이라도 모유수유를 잘 할 수 있다고 격려했다.
- 모유수유 동영상을 보여주었다.
- 효과적인 모유수유와 관련된 모유수유 서면자료를 제공했다.
합리적 근거
- 유방은 여성의 중요한 신체 부위 중 하나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볼 수 없게 프라이버시가 필요하다.
- 산모의 식이는 아기에게도 영향을 미치므로 균형 잡힌 식이가 중요하다.
- 직장 여성이라도 계획만 잘 세운다면 효과적인 모유수유를 할 수 있다.
- 말로만 듣는 것보다는 실제로 시범을 보이는 영상을 보면 도움이 많이 된다.
- 서면자료는 궁금할 때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자료효과가 있다.
간호평가
- 산모는 아기에게 효과적인 모유수유를 했다.
- 산모는 자신감을 가지고 성공적인 모유수유를 했다.
참고 문헌
자연 분만 (normal delivery)
1. 정의
분만은 크게 제왕절개와 자연 분만으로 나눌 수 있으며 수술하지 않고 질을 통해 태아가 만출되면 자연 분만이다. 자연 분만은 진통이 시작되고 나서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게 되는 1기,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고 나서 태아가 만출되기까지의 2기, 태아 만출 후 태반이 나올 때까지의 3기, 태반이 만출까지 이루어진 뒤 분만 후 1시간 동안을 4기로 나누게 되고, 양막 파열이나 혈성 이슬 등은 분만 진통 중 혹은 진통이 시작되기 전에도 나타날 수 있다.
2. 종류
대개는 자궁 수축과 산모의 힘주기에 의해 태아가 만출되지만, 진공 흡입기를 태아 머리에 부착하여 태아가 빠져 나오는 것을 도와주는 흡입 분만, 기구를 이용해 태아가 나오는 것을 도와주는 겸자 분만 등도 자연 분만에 포함된다.
3. 준비 사항
규칙적이고 간격이 점점 짧아지면서 강도가 점점 세지는 진통이 발생하거나 양막 파수가 된 경우 병원에 내원해야 하며 내진 및 초음파 검사 등을 시행한 뒤 분만이 임박한 경우 입원하게 된다. 입원 후에는 회음절개 부위의 털을 제거하는 피부 준비, 관장 등을 시행한다. 분만 진통이 진행되는 동안 자궁경부가 얼마나 얇아지고 얼마나 열렸는지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중간 중간 내진을 시행하게 되며 태아 심음이 정상적인지를 전자 감시 장치를 통해 모니터한다. 자궁경부가 3cm 이상 열리고 다른 문제가 없는 경우 진통 중 무통 분만을 시행하여 분만 통증을 경감시켜 줄 수 있다.
4. 시술방법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고 태아가 질의 입구까지 내려와 태아 머리가 보이게 되면 분만을 위한 자세를 잡고 회음부를 소독한다. 태아가 나오기 직전에 의사는 안전한 방향으로 회음절개를 시행하여 분만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회음부의 열상이나 요도 손상을 방지한다. 아기의 머리가 나온 뒤에는 산모는 온몸에 힘을 빼고 몸을 이완시켜야 아기의 어깨 분만이 잘 될 수 있다. 아기가 완전히 빠져나오면 탯줄을 자르고 태반의 분만을 기다리게 된다. 태반까지 완전히 분만되고 나면 회음절개 했던 부위를 실로 꿰매주고 마무리한다.
5. 소요시간
진통 시간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으나 분만 시간은 별 다른 문제가 없는 경우 30분 내외가 된다.
6. 주의사항
아기의 머리가 나오기 전까지 자궁수축이 있을 때 산모가 동시에 아래쪽으로 힘을 주면 태아의 하강을 도와줄 수 있다. 힘은 지속적으로 지그시 주는 것이 중요하며 마치 대변 볼 때와 비슷한 느낌을 주면 된다. 아기의 머리가 나오고 난 다음에는 산모는 온몸의 힘을 빼고 이완시켜야 어깨 분만이 잘 될 수 있다.
7. 통증
무통 분만을 시행한 경우 분만 통증은 거의 없으며 무통 분만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회음부에 국소 마취를 시행하여 통증을 경감시켜 주게 된다.
8. 경과
대개의 경우 분만 후 2시간이 지나면 먹을 수 있고, 소변 보는데 문제가 없고 출혈이 없으면 분만 후 하루 이틀 뒤에 퇴원하게 된다. 회음절개 부위가 회복될 때까지는 집에서도 좌욕을 계속한다.
9. 부작용 후유증
자궁 수축이 잘 되지 않는 경우 출혈이 지속될 수 있으며 태반의 일부가 자궁 내에 남아서 출혈을 유발하기도 한다. 산후 출혈이 심했던 경우에는 빈혈이 초래되어 어지러움이나 실신을 유발할 위험이 있으며 심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에는 수혈을 할 수도 있다. 회음절개 부위에 통증, 불편한 느낌이 지속될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 호전된다. 드물게 회음절개 후 봉합한 부위가 벌어지거나 감염될 수 있으므로 통증이나 불편감이 호전되는 추세가 아니고 시간이 지날수록 심해진다면 병원에 방문하여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자연 분만 후에 일시적으로 배뇨 장애가 있을 수 있으나 대개는 자연적으로 회복된다.
10. 식이요법
산후 출혈에 대비하여 임신 20주 이후부터는 평소에 철분제를 잘 복용하고 음식은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다. 비만인 경우 난산의 위험이 커지므로 체중이 너무 많이 늘어나지 않도록 음식 섭취를 적당히 한다. 임신 중 적절한 체중 증가의 정도는 임신 전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에 따라 다르다. BMI가 19.8 미만이면 12.5~18kg, BMI가 19.8~26.0이면 11.5~16kg, BMI가 26 이상이면 7~11.5kg이 임신 전 기간 동안의 적당한 체중 증가이다.
우리나라에서 출산 후 미역국을 많이 먹는데 이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찾자면 미역에 요오드가 많이 들어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요오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갑상선 호르몬인 ‘티록신’을 만드는 데 필요한 성분이므로 신진대사가 왕성한 임산부에게 미역국이 도움이 된다.
  • 가격5,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6.01.27
  • 저작시기201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33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