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80건

방언(지역어, 사투리) Ⅳ. 무주 방언(지역어, 사투리) 1. ‘-지’ 2. ‘-냐’ 계열의 어미 3. ‘-(으)깨미’ 계열의 어미 4. ‘-다냐’ 계열의 어미 5. -장 6. -게2 7. ‘-장게’ 계열의 어미 Ⅴ. 부산 방언(지역어, 사투리) 1. 어휘의 됨됨이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부산 지역 방언 의문형 어미의 교육 방안 - ‘-가/-나’, ‘-고/-노’를 중심으로-.우리말연구,(53),313-338. 최진근.(1989).대구지역어의 발음 실태 연구.우리말글,(),29-54. 국어국문 선행연구 5편 요약 1페이지 실험계획 1페이지 선행연구 양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22.09.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보여. <부산방언> 선희는 너무 몸이 얘비가꼬, 연약해 보인다. 7) 새거럽다 "새거럽다"라는 말은, 부산에서는 "시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표준어> 이 귤, 정말 시다. 눈물이 다 나올려고 그래. <부산방언> 이 귤, 진짜로 새거럽다.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5.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부산의 방언어휘 1. 어휘의 됨됨이 부산방언의 어휘를 살펴보면 그 속에는 서울 방언과 현저히 다른 것이 나타나는데, 말의 됨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파생말 서울 방언과 현저히 다른 것에 <애이>로 끝나는 말때가 발견되는데,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경상남도 음운 특징 가. 모음체계 나. 자음체계 다. 성조 라. 경상남도 방언에서 ‘ㅊ’음절말음을 가진 명사가 사라지는 현상 마. 동사어간과 부사형어미 ‘-아’ 가 합쳐질 때의 현상 사. 동사 어간과 ‘-아’가 합쳐질 때의 음운현상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논문 1건

부산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원 권연정(2004), “통신언어가 국어교육에 통신언어가 국어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지도방안” 1. 서론 ‥‥‥‥‥‥‥‥‥‥‥‥‥‥‥‥‥‥‥‥‥‥‥‥‥1 1.1. 연구 배경과 목적 1.2. 연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발행일 2023.08.06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