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패션 LF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LG패션 마케팅전략분석과 생산 SCM전략분석및 LG패션 향후전략제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LG패션 LF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LG패션 마케팅전략분석과 생산 SCM전략분석및 LG패션 향후전략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LG패션(LF) 기업소개

2.LG패션(LF) 주요브랜드 소개

3. LG패션(LF)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LG패션(LF) 주요브랜드 마케팅전략
(1) 해지스 HAZZYS 마케팅전략
(2) 닥스 DAKS 마케팅전략
(3) 질스튜어트 마케팅전략

5. LG패션(LF) 생산전략 (SCM분석)

6. LG패션(LF) 향후전략 아이디어 제시
(1) 여성타겟 브랜드 강화
(2) 남성복과 캐쥬얼 브랜드 경쟁우위전략 제시
(3) 해외진출전략
(4) SPA브랜드의 성장에 대응전략
(5) 수익성높은 브랜드에 집중

본문내용

별날씨별요일별 판매경향을 파악하여 추후 계절별날씨별요일별 판매량을 예측
- 고객 중심의 새로운 서비스 개발 및 유통구조 개선을 통한 경영합리화 달성
(1) POS시스템을 통한 SCM 구축
LG패션은 1994년부터 POS전용 장비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이것이 POS→QR→SCM으로 가게 되는 시발점이 되었다. LG패션은 정보를 활용하여 상품이동 의사결정, 재생산계획, 재 출하계획을 효율적으로 수립하고 매장 자체 및 전 고객의 판매성향 분석을 통해 고객 성향별, 지역별, 계층별로 구체적인 영업전략 수립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수요예측과 판매 타이밍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2) LG-EDS 시스템
LG-EDS 시스템과 함께 전국 650여 매장에서 발생하는 정보(판매, 수불, 재고, 고객)를 즉시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를 실질적인 영업 및 물류활동과 연결 관리하는 종합시스템 구축을 추진했다.
이 시스템은 LG-EDS 시스템의 중앙컴퓨터인 IBM-3090을 이용하고, 매장에서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해 전국 650여 매장과 본사의 통신은 온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매장에서 본사로 보내지는 즉각적인 판매정보는 일괄작업으로 처리되어 본사에서 그 다음날 오전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제품판매시 매장에서 본사에 요청하는 각종 제품정보는 본사에서 온라인을 이용해 즉시 매장으로 전송해 고객에게 신속한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6. LG패션(LF) 향후전략 아이디어 제시
(1) 여성타겟 브랜드 강화
현재 엘지패션은 여성브랜드에서 취약함을 가지고 있다. 브랜드의 수적인 측면에서도 다른 라인에 비해 적을뿐 아니라 현재 진행되고있는 브랜드의 수익성도 열악하다. 따라서 양사모두 여성브랜드의 강화가 필요하다.
현재로서 취약한 여성복 부문을 강화하기 위해 해외 브랜드 수입 전략에 집중하고 있다. LG패션은 보다 대중적이고 인기가 검증된 '브리지(bridge, 명품과 매스티지 중간)' 브랜드에 집중하고 있는 양상이다. LG패션은 이태리 브랜드인 막스마라의 국내 독점 판매 계약을 추진 중이다. 독점수입권을 가진 브랜드는 현재‘ 닐바렛’ ‘안나 몰리나리’, ‘블루마린’, ‘블루걸’등이다. 제일모직은 ‘나인웨스트’를 인수해 액세서리 라인을 보강했다.
그러나 단순히 라이센스 브랜드의 수입에서 머무를게 아니라 자체 여성복 브랜드의 디자인과 소재 경쟁력 강화에도 주력해야 한다. 현재로서는 여성복에 대한 충분한 디자인력과 브랜드 파워를 가지기가 힘들겠지만, 패션업계의 리더로서 장기적인 안목에서 꾸준히자체 여성브랜드 론칭의 역량을 키워놓아야 한다.
(2) 남성복과 캐쥬얼 브랜드 경쟁우위전략 제시
“남성복과 캐쥬얼 브랜드의 상대열위극복”
LG패션은 닥스와 헤지스를 주축으로 하여 신사복/캐쥬얼 라인을 구가하고 있는데 시장상황에서는 제일모직의 로가티스 지방시 빨질레리 빈폴 등에 비해 비교열위에 있다.
규모차원에서의 문제일 수도 있으나, 결과적으로는 엘지패션이 넘어야 할 산이다.
근본적으로 전략의 방향은 Market Coverage를 늘리는 것이다. 소비자를 좀더 세분화하고 좀더 꿰뚫어서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브랜드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시장포괄력을 높여야 한다. 빈폴의 경우 현재 진행하고 있는 하위브랜드만 8개다. 그러나 헤지스의 경우 그 범위가 협소하고 타겟층 또한 20-30대 뉴써티 층에 국한되어있다. TNGT, TOWNGENT, DAKS, HAZZYS 본연의 브랜드아이덴티티를 잃지 않되 마켓 커버리지를 늘리고. 이 영향력을 일관되게 뿌리내리는 작업이 요구된다.
(3) 해외진출전략
적극적인 해외출점을 통해 해외시장에서 제일모직에게 열등한 시장위치를 일정수준 이상으로 끌어올려야 한다. 엘지패션은 내수시장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수로 수입브랜드를
국내에 론칭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비록지금 해지스 매장을 중국에 160개 이상 개점하고 있으나, 이것으론 제일모직과 경쟁이 되지 못한다. 적극적 해외출점을 통해 더 큰 시장으로, 더 다양한 소비자에게 다가가야 한다.
(4) SPA브랜드의 성장에 대응전략
zara. mango. h&m, uniqlo, gap, forever21. 모두 SPA(제조소매업) 브랜드이다.
현재 의류시장에는 급변하는 소비자욕구를 정확히 캐치하여 빠르게 상품으로 생산에 공급하는 SPA 시스템이 급성장 하고 있다. 통합적인 물류시스템과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간파고 있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이 SPA의 강점이다. 이것은 기존 라이센스 브랜드를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LG패션과에게 위협이자 도전이다.
물론 SPA보다 질적인 측면에서 만족은 높겠지만, 높은 가격대와 상대적으로 적은구매율과 상품회전율로 인해 자칫 시장입지를 빼앗길 수 있다. 따라서 LG패션은 SPA에 준하는 신속한 물류처리와 생산기능과 판매기능의 접점이 기동력있게 운영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신속하고 정확한 상품생산이 가능해지고, 적시성과 시의성의 차원에서 SPA에 대응할 수 있다.
(5) 수익성높은 브랜드에 집중
LG패션은 모두 충성도 높은 브랜드와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는게 시장의 평가다. LG패션이 오랜 기간 심혈을 기울여 다져온 브랜드는 높은 충성도를 기반으로 수익성을 높이는 첨병 역할을 하고 있다.
LG패션의 상징적 브랜드인 닥스와 마에스트로는 론칭한지 20년이 넘었지만, 지속적인리뉴얼을 통해 시장에서 꾸준함적인 재무구조를 갖출 수 있었다.
브랜드 매니지먼트의 성향을 보면 LG패션은 대중적 라인의 브랜드를 들여오고 있다. 시장은 이러한 구조가 서로를 상호보완적으로 이끌어 가는 긍정적인 구도라고 평가한다. LG 패션은 자신들의 캐쉬카우 브랜드이자 중점브랜드인 닥스. 마에스트로. 해지스. TNGT를 대중성있게 라이센싱하는데 강점을 가졌다.
LG패션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경쟁사에 비교해서 더 큰 역량을 갖추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더 큰 역량이 반드시 더 많은 역량에서 시작하는 것은 아니다. 선택과 집중의 전략을 통해 현재 시장입지에서 무엇이 각 사에게 요구되고, 또 진정으로 필요한 것인지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냉철한 의사결정이 요구된다.

키워드

  • 가격3,9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8.11.29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4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