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력(Christian Year)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회력(Christian Year)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교회력과 성서일과
1) 교회력
2) 성서일과
3) 성서일과의 사용과 그 문제
4) 성서일과의 가치성
5) 축제적 교회력의 창조적인 활용
2. 교회력의 신학적 고찰
1) 구속사로서 교회력
2) 회상으로서 교회력
3) 신앙생활 시간표로서 교회력
3. 교회력의 구조
1) 週 주기 교회력(The Weekly Cycle)
2) 半年 주기 교회력
3) 年 주기(The Annual Cycle)
4. 교회력의 내용과 의미
1) 대림절(待臨節: Advent)
2) 성탄절(聖誕節: Christmas)
3) 주현절(主顯節: Epiphany)
4) 사순절(四旬節: Lent)
5) 부활절(復活節: Easter, Pascha)
6) 성령강림절(聖靈降臨節: Pentecost)
5. 교회력과 한국 교회의 절기
1) 3대 절기의 중요성
2) 추수감사절의 시기에 대한 문제
3) 교회력과 한국 사회의 기념일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리라 하신 그리스도의 약속이 성취되고 은사를 받게 되기 때문에 기쁨의 분위기를 갖게 된다. 그래서 325년 니케아 회의는 강림절에 무릎 꿇거나 금식하는 일을 금했다.
또한 성령강림절은 교회의 갱신과 부흥의 때이다. 성령 안에서 신자들은 새롭게 되며, 과거의 대사건을 단지 기념하는 것이 정도가 아니라 지금 이곳에서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때인 것이다.
5. 교회력과 한국 교회의 절기
한국 교회는 원래 구라파 구라파(歐羅巴) [명사] ‘유럽’의 한자음 표기
교회의 교회력을 전부 따르지 않고 그 중에 중요하게 여겨지는 성탄절과 부활절 그리고 추수감사절 등을 받아들여 지키고 있다. 그리고 오늘날에는 신년예배를 비롯하여 어린이주일, 어버이주일, 8ㆍ15와 같은 국경일을 더 중히 여기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초기에 선교사들이 필요한 대로 전해준 것이 그대로 전통이 된 것으로 판단되며, 그 후에 현실적으로 우리 사회 여러 행사들과 관련하여 필요성을 현실적으로 인정하여 교회의 절기 행사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1) 3대 절기의 중요성
기독교의 중요한 3대 절기는 성탄절과 부활절 그리고 성령강림절이다. 현재 한국 교회는 목회자의 교회력에 대한 가치 인식에 따라 이 세 절기가 지켜지지만 아직도 완전히 뿌리를 내리지 못한 형편이다. 성탄절과 부활절에 비하여 성령강림의 절기는 대체로 한국 교회의 예배에서 간과되고 있으며, 오히려 구약의 유대 종교의 절기로 이해된 맥추절(칠칠절)이 더 많이 강조되고 있는 것을 본다. 더욱이 맥추절의 기념도 성령강림절과는 무관하게 7월 둘째, 또는 셋째 주일에 지켜지고 있다.
또한 한국교회가 성령에 대하여 많은 가르침을 주며, 성령의 체험을 강조하면서도, 정작 성령이 임하신 역사적인 날에 대하여 잊고 있는 모습이다. 이것은 모순 된 일이 아니라 할 수 없다.
그리고 3대 절기를 말할 때에도 성탄절, 부활절, 추수감사절이라고 고집한다. 아마도 구약의 유대종교의 절기에 비교하여 유월절, 맥추절, 초막절 등으로 생각했던 데서 착오를 일으킨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2) 추수감사절의 시기에 대한 문제
한국의 추수감사절은 주로 미국 선교사들의 영향을 받았다. 미국에서는 원래 11월 셋째 주일이 지난 그 주간 목요일에 지키는 것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한국 교회는 11월 셋째 주일을 추수감사주일로 지킨다. 미국의 국가적인 행사를 굳이 한국 교회가 지켜야 하는 지에 대한 의문이 들며, 또한 감사의 절기가 한국의 시기에 적절하지 않다는 데 문제가 있다. 추수감사절은 글자 그대로 가을에 열매를 거두는 추수 절기에 있어야 하는 행사라는 것이다. 계절적으로 이미 겨울이 시작된 이후에 추수감사절이 지켜지기 때문에 한국의 절기에 맞지 않는 것이다.
추수감사절은 자연과 농사에 축복하신 하나님의 은혜를 감사하는 것이 정신이요, 의의라고 한다면 그 일정에 있어서는 한국 사회에 알맞게 그 일자를 조정해 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독일 교회는 10월 첫 주일에, 영국교회와 캐나다의 교회들은 모두 10월 중의 행사로 지키고 있다면, 나라마다도 그 시기가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한국의 계절 감각으로도 10월 중에 행하는 것이 더 바람직스럽지 않을까하며, 더욱이 한국의 민속절인 추석을 관련지어 생각해 볼 때도 나쁘지 않을 것으로 여겨진다.
3) 교회력과 한국 사회의 기념일
한국 교회의 교회력에는 선교 초기부터 우리 국가와 사회적으로 지키는 행사들을 기독교적으로 수용하여 지키는 것이 생겨났다. 추수감사절기가 그러하며, 어린이주일과 어버이주일 등의 기념일이 모두 이런 범주에 속한다. 물론 어린이주일과 어버이주일은 역사적으로는 세계 교회들의 영향이기도 하지만 오히려 우리 사회ㆍ문화적인 전통과 연관을 가지고 있다 하겠다. 이러한 절기들이 우리 사회적인 행사와 함께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회에 기여하는 의미도 지니게 되는 것이다. 그 외에도 8ㆍ15광복절이나 3ㆍ1절 기념은 의식 있는 목회자들에 따라 교회의 축제일로 지키고 있다. 그러나 필자의 생각은 역시 어린이 주일이나 어버이주일처럼 이런 기념일을 교회가 기념할 수 있는 뜻있는 날로 지낼 수 있다면 좋을 것으로 여겨진다. 정일웅, 260-262.
Ⅲ. 결 론
교회의 교회력은 인간의 노력이 보잘 것 없음과 우리를 위한 하나님의 승리를 보여준다, 간단히 말해서 교회력이란 인간이 자신의 힘으로 만들 수는 없고 오직 받아들이기만 할 수 있는 하나님의 은총을 계속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것이다. 그래서 피어스 파쉬(Pius Parsch)는 그것을 ‘은총의 교회력’이라 불렀다. 또한 교회력은 우리가 최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인지 우리 스스로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절기를 지키는 것도 자칫하면 우상 숭배의 눈속임이 될 수도 있다. 단지 예배에 치장을 하여 멋지게 보이도록 하는데 시간을 쓰기가 쉽다. 잘못된 동기를 위해서 절기를 지키는 것은 안 지키는 것 보다 못하다. 우리가 하나님께 더 가까이 가도록 시간의 구조를 이용할 때 절기에 따라 하는 행사가 복음전체를 만나도록 하는 목적을 잘 이루어낼 수 있다. 제임스 F. 화이트, 정장복ㆍ조기연옮김,「기독교예배학 입문」(서울: 예배와 설교아카데미, 2000), 78-79
따라서 예배를 인도하고 하나님의 은총의 말씀을 성도들에게 전해야 하는 책임 있는 자로서 교회력에 대한 충분한 연구를 통하여 우리의 문화적 상황 및 개 교회에 적합한 교회력의 재조정과 그에 따라 창출된 성서일과를 도입한다면 이 겨레의 가슴속에 기독교신앙을 심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릴 수 있다고 확신한다.
Ⅳ. 참고문헌
1. 국내도서
김종렬 외 51인, 「교회력에 따른 예배와 강단」,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3.
민장배, 「예배학」, 대전: 세화출판사.
박근원, 「오늘의 예배론」, 서울: 대한기독서회, 1992.
정일웅,「개혁교회 예배와 예전학」, 범지출판사, 2008.
정장복, 「교회력과 성서일과」, 서울: 대한기독서회, 1996.
______, 「예배학 개론」, 서울: 예배와 설교아카데미, 2008.
2. 국외도서
제임스 F. 화이트, 정장복ㆍ조기연옮김,「기독교예배학 입문」,서울: 예배와 설교아카데미, 2000.
  • 가격2,4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9.02.02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97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