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폐암 케이스 간호진단 15개 간호과정2개 +이론적근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폐암 케이스 간호진단 15개 간호과정2개 +이론적근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관찰했던 수술 : lobectomy 폐엽절제술
Ⅱ. 임상관찰 및 간호사정
Ⅲ. 간호과정
Ⅳ. 출처

본문내용

.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2. 반좌위(30~45)°를 취하게 한다. (독)
3. 의식이 회복될 때까지 수술 부위 반대쪽으로 측위를 취해준다. (독)
4. 수술부위로 눕는 것을 피하도록 교육한다. (독)
5. 폐절제술 후 완전한 측위는 피하도록 교육한다. (독)
6. 금기가 아니라면 1-2시간마다 체위 변경을 실시한다. (독)
7. 체위 변경 시 흉관을 잡아당기지 않도록 한다. 관이 꼬이거나 눌리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독)
8. 의사에 처방에 따라 규칙적인 보행을 권장한다. (의존)
9. 의사에 처방에 따라 운동하기 30~40분 전 진통제를 투여한다. (의)
10. 마취에서 회복된 4시간 후부터 환측 팔과 어깨의 수동적인 ROM을 시작한다. 수술 후 첫 24시간 동안은 4-6시간마다 2회씩 시행하며 점차 2시간마다 10-20회로 증가시킨다. (의존)
11. 능동적 ROM은 대상자의 상태가 가능할 때 시작한다. (보통 수술 2일 후) (의존)
12. 일상생활에서 활동 시 수술한 쪽 팔을 최대한 사용하도록 권장하며 퇴원 후에도 지속적으로 팔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교육한다. (독)
13. 활동 후 환자의 반응을 주의 깊게 사정하며, 활동 사이에 적절한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독)
2. 앉은 자세는 폐확장을 증가시키고 흉곽 배액을 촉진한다.
3,4. 환측으로 누우면 남아 있는 폐 조직의 확장을 방해하고 환기가 저하되며 조직의 관류가 두드러져 정상적인 가스교환이 방해된다.
5. 폐절제술 후에는 종격동이 더 이상 양쪽 폐에 의해 지탱되지 않기 때문에 과도한 체위 변경은 종격동 변위와 남아 있는 폐의 억압을 유발한다.
6. 체위 변경은 움직임을 촉진하며 흉막강 내의 공기와 액체가 배액되도록 한다. 돌아누우면 순환이 증진되고, 폐의 환기가 촉진된다.
7. 흉관이 밀봉배액병과 분리된 경우 흉강 내로 공기가 빠르게 축적되어 긴장성기흉을 유발 할 수 있으며, 배액이 되지 않으며 허파의 재팽창이 안될 수 있다.
8. 활동의 지속성이 증가 되어 더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
9. 약간의 진통제를 투여하여 통증을 감소시키며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10. 수동적 ROM부터 시작하고 점차 횟수를 증가시켜 몸이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11. 자칫 무리하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시작한다.
12. 팔과 어깨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어깨가 강직되는 것을 예방 할 수 있다.
13. 폐절제술 후 폐활량 감소에 적응해야 하므로 환자의 활동 지속성이 증가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간호중재
1. 환자의 팔과 어깨 움직임이 어떤지 사정함. (RN)
2. 대상자를 반좌위(30~45)°를 취하게 함. (RN,SN)
의식이 회복될 때까지 수술 부위 반대쪽으로 측위를 취하게 함. (RN)
4. 수술부위로 눕는 것은 폐의 재팽창을 어렵게하므로 피하도록 교육함. (RN)
5. 완전한 측위는 폐의 억압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피하도록 교육함. (RN)
간호중재
6. 2시간마다 체위 변경을 실시함. (RN)
7. 체위 변경 시 흉관을 잡아당기지 않도록 하고, 관이 꼬이거나 눌리지 않았는지 확인함. (RN)
8. 의사에 처방에 따라 규칙적으로 보행 하도록 권장함. (RN)
9. 의사에 처방에 따라 운동하기 30~40분 전 진통제인 Mypol을 투여함. (RN)
10. 마취에서 회복 된 4시간 후, 환측 팔과 어깨의 수동적인 ROM을 실시함. (RN)
11. 수술 후 2일 뒤 능동적 ROM을 실시함. (RN)
12. 일상생활에서 활동 시 수술한 쪽 팔을 최대한 사용하도록 권장하며 퇴원 후에도 지속적으로 팔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교육함. (RN)
13. 활동 후 환자의 반응을 주의 깊게 사정하며, 활동 사이에 적절한 휴식을 취하도록 교육함. (RN)
(모든 간호 중재 수행하지 못함)
간호평가
단기목표
1. 3일 내에 능동적 ROM을 실시하며 규칙적으로 하루에 5회 이상 실시 할 수 있다. :목표 달성함.
2. 5일내에 팔과 어깨의 기능이 회복되어 일상활동이 가능하다. :목표 달성함.
장기목표
1. 퇴원시 까지 부동의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는다. (피부 병변, 어깨 강직, 혈전 정맥염, 변비) :목표 달성하지 못함.
Ⅳ. 출처
√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2018), p.504~535,606~617
√ 박은영 외 공역,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2015), p.76~90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18) p.102~110
  • 가격4,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10.20
  • 저작시기201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56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