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고 제국의 형성과 유목민족 국가의 특성<몽골 초원에서 대륙으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몽고 제국의 형성과 유목민족 국가의 특성<몽골 초원에서 대륙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중국 유목민족 역사와 몽골의 유목적 특성
1. 유목민족의 역사
1) 흉노의 역사
2) 흉노 이후의 유목민족 (선비, 돌궐, 거란과 여진)
2. 몽골제국의 형성 및 의의
1) 유목 제국으로서의 몽골 제국
2) 몽골 제국의 세계사적 역할
3. 유목민족의 특성: 사람, 말, 땅
1) 사람: 유목민과 유목조직
2) 가축: 가변성과 취약요소
3) 유목지: 유목의 물리적 범위와 유목민의 정서

II. 원나라의 유목적 특징
1. 원나라의 형성
2. 몽골제국과 원의 유목적 유사성
1) 정치
2) 경제
3) 문화
3. 유목 국가로서의 원나라

III. 원대 사대부의 지위변화와 그에 따른 문학의 양상
1. 사대부 변화과정
1) 신분제
2) 과거제
2. 문학의 양상
1) 서회: 몰락에 대한 발로
2) 유호: 지배층의 한족문화 동화에 따른 필요
3. 맺음말

본문내용

혹은 편집하는 사람들로 ‘서회재인(書會才人)’이라 불리었다. 그 구성원은 대부분 원 과거시험의 폐지로 인해 방황하는 이들로 상당한 학문 소양을 갖춘 인물들이었다. 과거라는 출세의 통로가 있었던 남송 시기의 유생들은 서회선생으로 전업하는 이들의 숫자는 그리 많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과거가 폐지되고, 있다 하더라도 큰 차별을 받은 원대에 이들은 지향점을 잃음과 동시에 당장 생계의 장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는 운명에 처하게 된 것이다. 그 과정에서 이들이 그나마 실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공간은 바로 민간 연예인들의 주변이었으며 그 속에서 그들은 함께 화본 등을 편집하고 더 나아가 창작을 하는 단계까지 나아간다.
위의 내용을 취합해보자면 과거가 폐지되어 입신양명의 길이 막힌 유생들의 상당수가 서회선생으로 지향점을 전환하며 민간 속으로 들어가 자신들의 문학 재능을 발산하게 된다. 그리고 동시에 민간에서 통용되는 문학의 수준을 한껏 제고시켜 놓았다는 것이다. 이것은 중국서사문학의 구조에 획기적인 발전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원대 지배구조의 전환 가운데 기존 기득권층의 신분 몰락이 아이러니하게도 후대의 민간문학 발전에 좋은 계기가 된 것이다.
2) 유호: 지배층의 한족문화 동화에 따른 필요
주지하다시피 몽고족은 유목민족사회이다. 때문에 농경 중심의 정착생활을 영위하던 비교적 안정적인 생활을 이룩한 한족의 문화·문명은 이들에 비해 상대적인 우위를 점할 수밖에 없었다. 원대의 몽고 지배층은 구체적인 통치, 정치제도를 확립하고, 거대한 중원과 서역 등까지의 광활한 영토를 통치하기 위해서 이전 한족의 정치체계에 대한 이해가 불가분 하였으며 때문에 지배층은 소수 사대부의 도움으로 중국경전에 대해 공부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그 소수의 사대부는 위에서 언급하였던 ‘유호(儒戶)’였다. 이들은 특수한 기능인 지식의 공유를 통해 원조 권력층에게 한족문화를 받아들이는데 도움을 준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언어에 대한 극복이 필요하였다. 사실 원대는 이중의 언어를 향유함으로써 모순적인 언어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원대의 지배층은 한족들이 그대로 한어(漢語)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지배층은 몽고어를 사용하여 한족들이 몽고어를 배우는 데 제한을 둠으로써 지배, 피지배 관계를 확실히 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언어 환경의 바탕과 문명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몽고 지배층에게 중국의 복잡한 경전과 서적에 대해 알려주기 위해서는 그 내용들을 보다 간략화 시켜야만 했다. 즉 피지배층의 지식인(유호)들은 현 지배층이 문화, 문학에 대하여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이전 중원문화 지배층의 형식, 율격, 현학적 표현 등의 귀족적인 성격을 배재하고 내용전달을 중심으로 하는, 보다 언문일치에 가까운 성격으로 옮겨가야 했던 것이다.
위와 같이 상호간의 필요에 의해 양 문화는 접점으로 나아가며 이전의 귀족적 성격이 강한 시가를 중심으로 하는 문학은 더 이상 발전할 수 없는 구조로 퇴보되었다. 대신 지배층의 몽고족에게도 이해가 쉬운, 보다 통속적인 언문일치의 성격을 지닌 백화소설이 급속도로 발전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는 지배층뿐만 아니라 민중들도 쉽고 빠르게 받아들일 수 있었으므로 백화소설은 위, 아래의 모든 계층에 동시다발적으로 성행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최초로 유목민의 문화가 중원에 들어옴으로써 중국사회는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 필연적이었고, 시 중심이 아닌 산문 중심으로 문학이 발전하게 된 것 또한 이러한 유기적 관계 속에서 일어난 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3) 맺음말
지배계층인 몽고족의 점진적인 한화 과정과 문화적으로는 상대적 우위에 있었지만 가장 열악한 신분 구조에 처해 있었던 이전 송대 사대부들이 원 제국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문화접변적인 현상 가운데 ‘잡극’과 ‘소설’을 대표로 하는 서사문학의 통속화는 향후 중국문학 방향의 전환점이 돼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당시에 크게 성행한 문학작품의 예로는 지금까지도 원대문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4대 기서로 꼽히는 서상기(琵琶記), 비파기(琵琶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수호전(水湖傳)이 있다. 서상기는 원대 초 왕실보의 작품이다. 원곡의 대표적 작품으로 북곡(北曲)으로서는 이례적인 장편이다. 내용은 당대의 소설 앵앵전(鶯鶯傳)에 바탕을 둔 것인데 장생과 최씨가문의 딸 앵앵과의 사랑 이야기이다. 비파기는 원말 명초 고명의 작품이다. 남곡(南曲) 중의 으뜸으로 일컬어진다. 남송의 연극이나 고자사에 나오는 채중랑과 조오랑의 고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희곡이다.
** 참고문헌
조혜민(2011), 「유목 세계를 고려한 동아시아사 교육 방안
유원수(2012), 「몽골 고원의 유목 전통과 현실, 인문논총 제67집 (2012), pp. 349∼380
김호동(2002), 「몽골제국 군주들의 량도순행과 유목적 습속, 중앙아시아학회, <중앙아시아연구> 7권0호, pp.1-25
데이비드 O. 모건 , 「몽골족의 역사, 모노그래프(2012)
야오따리,「천추흥망,이지은, 따뜻한손(2010)
패트리샤 버클리 에브리,「케임브리지 중국사,이동진, 시공사(2010)
스기야마 마사아키, 「유목민의 눈으로 본 세계사,이경덕, 시루(2013)
설배환(2004), 「원대 해상 무역의 실태와 그 특징: 쿠빌라이 카안 이후 남해를 중심으로, 서울대동양사학과논집 제28집(2004) pp139-170
이정재(2009), 「원대 문학 환경의 변화와 문학활동의 분화
김석근(2014), 「샤머니즘, 라마불교, 그리고 사회주의
이상오(2010), 「중국 북방 유목민족 음식문화의 주요 특징
이금순(2011), 「원대 혼례문화 고찰
전영섭(2011) 「10세기 전후 동아시아 교역체제의 변동과 내륙도시 장안
원등융준(2003) 「북송사대부의 일상생활과 종족
육정임(2006) 「宋元代_族譜修撰과_그_社會史的_意義
이시찬(2008) 「원대(元代)_문화구조와_서사문학의_변천관계
배숙희(2008) 「元代_科擧制와_高麗進士의_應擧_및_授官
오만종(2006) 「중국_사대부의_정치적_역할과_시경해석
한승연(2012) 「중국사공무원
오김성(2010) 「중국의 과거제
  • 가격2,5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21.03.30
  • 저작시기201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72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