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음식문화 특징과 식사예절 및 대표음식 소개와 일본 음식문화 한국음식문화 비교분석 및 나의의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 음식문화 특징과 식사예절 및 대표음식 소개와 일본 음식문화 한국음식문화 비교분석 및 나의의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서론)

2. 일본 음식문화의 특징

3. 일본인의 식습관

4. 일본음식의 유형

5. 일본의 대표음식 소개
(1) 스시
(2) 사시미
(3) 오니기리
(4) 우메보시
(5) 낫토
(6) 소바
(7) 라멘
(8) 돈부리
(9) 오코노미야키

6. 일본의 식사예절

7. 한국,일본 음식문화 비교분석
(1) 공통점
(2) 차이점

8. 결론 및 나의의견

<참고자료>

본문내용

7) 라멘
일본의 라면은 튀기지않은 생면을 이용하지만 한국은 대부분 기름에 튀겨서 사용한다
- 간장소스나 된장으로 양념한 국물에 말아먹는다
- 돼지고기나 닭고기 또는 해산물을 곁들어 먹기도 한다
(8) 돈부리
일본 서민이 자주 먹는 점심 메뉴로 ‘돈부리’라고 부르는 ‘덮밥’이 있다.
덮밥은 흰 밥 위에 각종 육류나 야채류를 요리해서 놓고 진한 국물을 얹어서 먹는 일품요리다. 값이 싸고 간편할 뿐 아니라 맛도 있어서 주머니 사정이 별로 좋지 않거나 바쁜 시간을 쪼개야 하는 사람들이 특히 애용한다.
수많은 종류의 덮밥만 전문적으로 파는 돈부리 전문점 또한 어느 곳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데, 이는 돈부리점이든 규동이라고 불리는 쇠고기 덮밥이 가장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런데 일본에서는 음식을 섞어 먹는 문화가 없다. 따라서 돈부리를 먹을 때 한국사람들은 당연히 숟가락으로 열심히 섞어 먹는데 반해 일본인들은 젓가락으로 파먹듯이 먹는다. 일본요리는 그 모양을 중시하는 탓에 섞어 먹는 습관이 없는 것이다..
(9) 오코노미야키
오코노미야키는 한국의 부침개식으로 서민음식이고, 다코야키와도 비슷하며 여러 가지 야채나 소스로 부침개처럼 부쳐서 먹는것이다. 오코노미야키는 타코야키와 마찬가지로 오사카의 명물이다. 오코노미야키에는 돼지고기, 야키소바(볶은국수),파, 캬베츠, 달걀 등 10여가지 정도의 재료를 아래서 위로 차곡차곡 쌓아서 압축해서 부친 것으로 한국의 부침개식이지만 만드는 과정은 좀 다르고 오코노미야키가 더 복잡한거 같다. 완성된 오코노미야키의 소스는 자기가 원하는 재료를 뿌리거나 김가루, 마요네즈 등을 뿌려먹는다. 과자나 이런것들보다 애들 간식으로도 먹기 좋고 일본에서는 집에서도 엄마가 만들어 준다.
6. 일본의 식사예절
문과 반대되는 쪽이 상석이다. 주인은 주빈 반대쪽의 문쪽에 앉는다. 앉을 때는 주빈보다 다른 사람들이 먼저 앉으며, 일어설 때는 주빈이 먼저 일어선다. 윗어른이나 주인이 오기 전에 미리 자리에 앉아 있어야 하며, 일어날 때는 윗어른이나 주인이 일어난 후 뒤따라 일어난다. 식사 중에는 되도록 자리를 뜨지 않는 것이 좋다.
식사 때는 한 접시에 한 가지 요리만 담으며, 각자 개인접시에 덜어 먹는다. 젓가락은 받침대 위에 가지런히 놓는다. 사용할 때는 두 손으로 젓가락의 길이를 맞춰서 사용하고 다시 받침대에 올려둔다. 식사가 끝나면 젓가락은 처음에 젓가락을 넣었두었던 싸개에 다시 넣어둔다.
밥을 먹을 때는 두 손으로 밥공기를 들어올려 왼손에 밥공기를 든다. 젓가락으로 밥을 한 번 먹은 다음, 밥공기를 상 위에 놓고 국그릇을 들고 국을 한 모금 마신다. 숟가락은 쓰지 않으며 젓가락을 국그릇 안에 넣어 건더기가 입에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 밥을 먹을 때 다 먹지 않고 조금 남겨두면 밥을 더 먹고 싶다는 뜻이 된다. 젓가락에서 젓가락으로 음식을 옮기는 것은 삼간다. 식사 중 이야기하는 것은 괜찮으나 입 속의 음식물이 보이거나 나오면 안 된다.
생선회를 먹을 때는 작은 접시를 받치고 입으로 가져간다. 튀김을 먹을 때는 쓰게지루(양념장)를 상 위에 놓고 먹어도 되고 양념장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게 손에 들고 먹어도 된다. 식사 중에는 먹는 소리나 그릇 소리를 내지 않아야 하지만 메밀국수를 먹을 때는 예외로 한다. 스시를 먹을 때는 물수건으로 손을 깨끗이 닦고 손으로 먹는다.
후식으로 나오는 차를 마실 때는 두 손으로 찻잔을 들고 왼손으로 찻잔 밑을 받친 다음, 오른손으로 찻잔을 든다. 먼저 차의 향을 맡은 뒤, 천천히 소리내지 않고 차를 마신다. 차를 다 마신 후에는 뚜껑을 덮는다.
7. 한국,일본 음식문화 비교분석
(1) 공통점
두나라 모두 쌀과 잡곡을 주식으로 한다
한국과 일본은 농업국가로서 쌀을 주식으로 하되 여러 가지 종류의 잡곡을 많이 먹으며
쌀밥, 보리밥, 콩밥, 팥밥, 오곡밥이나 흰죽, 팥죽, 미음 등 주식의 형태가 무척이나 다양하다.
그리고 기후의 유사성과 비슷한 식품의 종류가 있다.
한국과 일본의 기후가 비슷하여 식품의 종류가 같은 것이 많으며 돼지고기,소고기, 생선, 닭고기를 즐기며 조미료는 간장, 된장, 식초가 기본이다.
(2) 차이점
한국은 식사를 할때 어른들부터 먹어야 밑에 사람들이 먹을 수 있지만 일본은 그렇지 않다. 누구든 먼저 식사를 해도 되는 게 일본의 가장 큰 식습관이다.
일본인들은 밥그릇을 손에 들고 젓가락으로만 밥을 퍼먹는다. 국을 먹을 때 는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는다. 건더기는 젓가락으로 집어먹고, 국은 그릇을 입에 대고 마신다. 한국인들처럼 그릇을 밥상에 놓아두고 고개를 숙여 떠먹는 것이 오히려 일본에서는 실례되는 행동이다. 또 일본사람들은 식당에서 식사 후 서로 자신이 내겠다고 하는 광경은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자기가 먹은 양은 자기가 내는 와리캉 문화가 정착되어 있다.
8. 결론 및 나의의견
일본의 음식들을 조사하면서 정말 일본에는 일본 음식은 물론이고 해외 각 나라의 음식들과 가게들이 줄지어 있으며, 일본인들은 가리는 것 없이 다 즐겨먹는 것을 보면 미식가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일본 유학 시절 처음 낫또를 먹고 버린 기억이 있는데, 그 문화에 적응하고 한두번 먹어보니 또 그 낫또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다. 그리고 일본인들이 소식을 한다고 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는다는 것도 알게되었다. 굉장히 먹는것을 좋아하며 즐기는 사람들이며, 그 속에서도 여유롭게 여가생활도 하는 모습을 보면서 한국과는 다른 느낌을 받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늘 맵고 짜고 자극적인 음식과 고기를 주로 먹었다면 일본에 있었을 때는 생선, 회, 초밥, 일본 반찬들을 먹다보니 자연스럽게 일본 음식이 입에 맞게 되었다. 그래서 낫또와 참치, 초밥이 너무나 그리워질 때가 많다. 나라가 달라 먹는 음식은 다르지만 그 나라만의 독특한 요리방법으로 한국에서도 세계에서도 사랑받고 있다는 것이 대단했고, 한국음식도 일본에 뒤지지 않게 인정받고 있다는 것도 굉장히 자랑스럽고 뿌듯하게 생각되고 있다. 다시 일본에 유학을 가게 된다면, 많이 먹어보지 못했던 일본 음식들을 다 먹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참고자료>
음식전쟁 문화전쟁. 주영하
음식문화비교론. 성태종
  • 가격3,9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1.11.11
  • 저작시기202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84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