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리더십개발 1학년) 1. 청소년 리더십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의 주요 발달적 특징인 이상주의(Idealism), 독립 추구(Quest for independence), 정체성 형성(Identity formation)에 대해 작성하고, 이에 대한 본인의 의견 혹은 경험을 작성하시오. (10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리더십개발 1학년) 1. 청소년 리더십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의 주요 발달적 특징인 이상주의(Idealism), 독립 추구(Quest for independence), 정체성 형성(Identity formation)에 대해 작성하고, 이에 대한 본인의 의견 혹은 경험을 작성하시오. (10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청소년 리더십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의 주요 발달적 특징인 이상주의(Idealism), 독립 추구(Quest for independence), 정체성 형성(Identity formation)에 대해 작성하고, 이에 대한 본인의 의견 혹은 경험을 작성하시오. (10점)
1) 이상주의(Idealism)
2) 독립 추구(Quest for independence)
3) 정체성 형성(Identity formation)
4) 본인의 의견 혹은 경험

2. 대체로 우리는 안전을 지향하는 삶을 살아갑니다. 그러나 특별한 순간 리더십의 근원적 상태에서 행동하기도 합니다. 리더십의 일반적인 상태와 근원적 상태를 구분하여 작성하고, 자신이 살아온 삶 속에서 ‘리더십의 근원적 상태’의 순간을 떠올려 보고, 그때 자신은 어떻게 행동했으며, 어떤 결과가 나타났는지 구체적으로 작성하시오. (20점)
1) 리더십의 일반적인 상태
(1) 자기중심적(Self-Focused)특징
(2) 외부 지향적(Externally Directed)특성
(3) 안전중심 지향적(Comfort-centered) 특성
(4) 폐쇄적(Internally – closed)특성

2) 리더십의 근원적 상태
(1) 타인 중심적(Other-Focused) 특성
(2) 외부 상황에 개방적(Externally open) 특성
(3) 내부 지향적(Internally Directed) 특성
(4) 목적 중심적(Purpose-Centered) 특성

3) 자신이 살아온 삶 속에서 ‘리더십의 근원적 상태’의 순간
(1) 타인 중심적 리더십
(2) 외부 상황에 개방적 리더십
(3) 내부 지향적 리더십
(4) 목적 중심적 리더십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 동아리는 정해진 규칙과 서면화한 회칙을 갖고 있다. 연령대는 10대에서 60대로 연령 폭이 크며 회비나 활동비는 모임이 있을 때 활동비를 납부하고 있다. 주요활동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동아리가 독서와 독서 토론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부모교육, 자녀교육 및 인문학교육 등에 관한 학습을 하거나, 자기계발과 성장을 위한 학습과 전시회나 외부 체험활동을 병행하는 동아리이다. 봉사활동은 책 읽어주기 봉사활동이나 어린이집이나 자원봉사센터 등에서 다양한 봉사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나는 동아리의 리더로서 나의 ‘리더십의 근원적 상태’의 순간은 다음과 같다.
(1) 타인 중심적 리더십
봉사나 재능기부 활동을 하면 이제 보람 같은 게 있잖아요. 그런 보람을 공유하면서 서로 재능을 보고 배우게 되니까 갈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거 같아요. ‘아 저 회원님은 저런 것도 또 열심히 노력해 할 수 있구나’ 라는 어떤 그 존중하는 마음이 생기게 되거든요. 그래서 서로 신뢰감이나 존중하는 마음이 생기기 때문에 갈등 해결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요. 특히 봉사활동 같은 경우는 저희 회원님들이 적극 참여 해 주시고 하기 때문에 보람이 굉장히 큰 거 같아요.
(2) 외부 상황에 개방적 리더십
활동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구성원들 간에 속도 차이가 있거든요. 그런 속도차이로 갈등이 몇 차례 생겼는데요. 지금 하려고 하던 일을 보류하고 있어서 갈등이 없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그 일이 다시 진행되면 갈등이 다시 생길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고 있어요. 하지만 심한 갈등은 없었어요. 그리고 저희동아리가 갖는 문제점이라면 각자 책임감이 다르다는 거예요. 역할 수행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본인의 책임을 회피하게 되거나, 안 하는 횟수가 잦아지게 됐을 때 문제가 크게 발생할 거라고 생각은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어디든 마찬가지지만 공동체의 리더 역할은 전체를 아우를 수 있어야 되고, 전체를 보는 시선이나 포용할 수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다행히 저희동아리의 리더 인 저는 그런 점에서 역할을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3) 내부 지향적 리더십
“회원들 간에... 사람마다 성향이 다르니까 그중에 특별히 튀는 사람이 있잖아요. 그런 사람이 자기 주관이 강하다보니까 모든 게 자기 의사대로 안 되면 싫어하는 거예요. 자기중심적인 사람... 그런 사람들 때문에 조금 힘들었지요... 보이지 않는 갈등 그런 갈등도 있고, 또 회원들에게 노골적으로 자기주장만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그런 게 조금 힘들었어요... 회원들 간에 갈등이 생겨서 결국 탈퇴한 회원이 있었어요. 갈등이 생겼을 때 회원 몇 명이 찾아가서 갈등이 있는 당사자들끼리 서로 사과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려고 했죠. 그런데 갈등을 일으킨 당사자는 안 나가고, 갈등 때문에 힘들어했던 다른 사람이 탈퇴했어요. 그래서 제가 일일이 연락해서 당사자들에게 상황설명을 모두 해 가면서 갈등을 해결해 나갔어요. 물론 설득이 되지 않는 분들은 탈퇴를 하셨고, 우리 모임의 리더로서 저도 더 이상 잡지 않았어요. 대신에 그 일로 인해서 갈등을 일으킨 사람은 지금은 좀 많이 달라졌어요. 이제는 다른 회원들 의견도 듣고, 좀 자기주장도 예전보다는 강하게 안 해요.
(4) 목적 중심적 리더십
저희가 원래 학습 동아리를 만든 목적이 부모교육이나 자기계발, 자녀진로 이런 부분에 대해서 공부 하고 서로 발전해 가자고 한 건데, 벼룩시장에 참여하게 되면서 판매할 물품이 필요하면서 만들기 활동을 많이 하게 되고, 학습활동은 못 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어요. 어쨌든 처음 취지와 다르게 약간 상업적으로 돈을 벌려는 욕심이 생기면서 학습위주로 하자는 분들과 돈을 버는 만들기 활동을 하자는 분들로 나뉘면서 갈등이 생겼었어요. 그래서 이러다가는 동아리가 와해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리더(저를) 중심으로 자주 회의를 가졌어요. 거기서 의견을 모으게 되면서 갈등이 없어졌어요. 갈등으로 탈퇴한 회원은 없었어요. 그런데 갈등이 생겼을 때는 좀 시간이 걸렸어요. 어쨌든 그런 갈등이 생길 때는... 뭐 어렵긴 하지만 허심탄회하게 솔직하게 얘기를 하고, 싫으면 싫다고 얘기를 했기 때문에 그 부분을 해결할 수 있었던 거지 싫다고 속으로만 생각했으면 결국은 멀어졌을 텐데... 모임 외에도 사적으로 더 자주 만나면서 서로 관심도 가져주고, 배려해주고, 양보도해 주고 하면서 서로가 다르다는 걸 인정을 해 준 거 같아요.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1. 청소년 리더십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의 주요 발달적 특징인, 2. 리더십의 일반적인 상태와 근원적 상태를 구분하여 작성해 보았다. 청소년들이 살아가는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그에 따른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교육도 변하게 마련이다. 그러나 우리의 청소년들에게 가장 큰 병폐로 지적되어온 주입식 지식위주의 입시교육은 폭넓은 사회생활에서 청소년들의 삶의 기초가 되기에 부족함이 많았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학교를 벗어나 사회에서 실제 사회생활을 할 때 지식 외에 다른 부분에 적응하면서 사는 필요한 생활기술은 매우 중요하고 인간관계에서 필요한 구성원으로서, 리더로서 생활기술로서 리더십을 길러주어야 한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향후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필요한 자기관리 기술과 창의적인 능력을 풍부하게 기를 수 있도록 지원하고 조직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생활기술로서 리더십 개발을 위한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허혜경. 『청년발달심리학』. 서울:학지사, 2002.
고현숙. 「결정적 순간의 리더십」. 파주: 쌤앤파커스, 2017.
강기영장유미 (2013).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노희숙 외(2017). 학습동아리 운영 매뉴얼.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권일남 등. 청소년활동지도론. 서울:학지사, 2008.
최성훈. 「리더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6.
김규태 (2017). 학생리더십 연구동향 분석. 교육문화연구.
김은경(2005). 청소년의 리더십 생활기술과 학교적응 유연성과의 관계 분석.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길순 (2015).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전남대학교박사학위논문.
  • 가격6,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3.04.05
  • 저작시기202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27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