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축제의 서비스 질: 부안 해넘이 축제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지역축제의 의의와 서비스 질
2. 지역축제 방문객의 만족
3. 지역축제의 서비스 질 측정 - SERVQUAL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및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지역축제의 서비스 질은 축제만족에 결정적인 영향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이 나타났기 때문에 지역축제의 관리자나 기획자는 지역축제의 서비스 질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한계로는 먼저, 서비스 질의 연구들이 대부분 수행하고 있는 기대된 서비스의 질과 인지된 서비스의 질에 대한 비교 측정을 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또 다른 한계는 거주지에서 지역내(12.2%)와 지역외(87.8%)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인구적인 차이로 인해 연구결과에 잘못된 의견을 제시할 가능성이 높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특정지역의 지역축제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전체의 지역축제를 완전하게 대표했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다른 지역축제의 연구에 확대 해석하는데 있어 신중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형기. (1999). 지역축제, 어떻게 성공시킬 것인가. 「지방행정」, 29-36.
고숙희. (1999). 지방자치단체 문화행사의 경제적 효과-단양온달문화축제의 분석-. 「한국행정학보」, 33(2): 199-215.
김춘식. (1999). 지역개발전략으로서 전통문화의 관광상품화.「한국행정논집」, 11(1): 209-231.
김춘식. (2000). 지방도시에서의 축제를 통한 외국인관광객 유치사례연구-안동국제탈춤 페스티발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동계학술세미나,「지방정부의 개혁과 지방자치」, pp. 53-67.
문화관광부. (1997). 「한국의 지역축제」.
박철·손해식. (1998). 지역문화축제에 대한 의례분석적 접근과 관광상품화 전략. 「관광학연구」, 22(2): 43-56.
신종화. (1999). 행정서비스품질에 관한 고객욕구조사, 「한국행정학보」, 33(1):35∼46.
이유재·이준엽. (1997). 서비스 품질에 관한 종합적 고찰. 「경영논집」, 37: 20-36.
이장주. (1999). 세분시장별 축제 이미지의 차이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3(1): 228∼245.
이장주·박석희. (1999). 지역축제의 이미지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진도 영등축제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22(3): 243-261.
오순환.(1999a). 지역축제의 실제와 경제적 효과.「관광학연구」, 22(3): 202-221.
오순환.(1999b). 문화관광축제의 연상도 차이.「관광학연구」, 23(1): 212-227.
윤지환, 김수경, 이장문. (1999). 한국전통예술공연의 관광상품성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3(1): 154-169.
원석희. (1998). 「서비스 품질 경영」. 형설출판사.
조선배. (1995).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호텔서비스 환경의 영향. 「관광학연구」, 18(2): 89-104.
장대성·신충섭. (1999). SERVQUAL을 이용한 서울 특1급 호텔 서비스 평가 및 비교에 관한 연구. 「품질경영학회지」, 27(4): 191-215.
정강환. (1998). 문화관광축제로서의 금산인삼제 행사평가: 최근3년간의 비교분석. 「관광학연구」, 22(3): 30-46.
조광익. (1997). 국립공원 방문자의 관광이미지 구성요인. 「관광학연구」, 21(1): 231∼249.
Berry, L. L.& Parasuraman, A. (1991) Marketing service New York . The Free Press.
Bojanic, D. C. & Rosen, L. D. (1994). Measuring Service Quality in Restaurants: An Application of the SERVQUAL Instrument. Hospitality Research Journal, 18(1): 3-14.
Getty, J. M. & Thompson, K. N. (1994). A Procedure for Scaling Perceptions of Lodging Quality. Journal of Hospitality Research, 18(2): 75-96.
Gronroos, C. (1990). Service Management and Marketing: Managing the Moments of Truth in Service Competition. USA: Lexington Books.
Oh, H. & Parks, S. C. (1997). Customer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Hospitality Industry. Hospitality Research Journal, 20(3): 35-64.
Oliver, R. L. (1981).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Process in Retail Settings. Journal of Retailing, 57: 25-48.
Parasuraman, Berry A. leonard L. and Zeithamal, Valarie A.(1988). SERVQUAL: a Multiple 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1): 12-40.
Ryan, C. & Cliff, A. (1997). Do Travel Agencies Measure up to Customer Expectation?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ravel Agencies' Service Quality as measured by SERVQUAL Model. Journal of Travel and Tourism Marketing, 6(2): 1-31.
Saleh, F. & Ryan, C. (1991). Analysing Service Quality in the Hospitality Industry Using the SERVQUAL Model. The Service Industries Journal, 11: 324-343.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10.20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4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