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경제협력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지역경제협력의 의미와 현황
1. 지역경제협력의 의미와 종류
2. 지역경제협력체의 체결추세

Ⅲ. 동북아 경제협력 현황
1. 동북아 경제협력의 지리적 범위
2. 동북아 경제협력에 관한 기존의 논의
3. 동북아 경제협력의 잠재력 및 저해요인

Ⅳ. 동북아 경제협력증진을 위한 방안
1. 동북아 경제협력체제의 성격
2. 동북아경제협력의 구체적 방안

Ⅴ. 결 론

본문내용

것보다는 중앙정부 차원의 보다 포괄적인 형태로 나타나야 할 것이다.
물론, 동북아 지역에는 아직도 역내국간의 경제협력을 저해하는 요인들이 상당부분 상존해 있으며, 경제협력에 의한 이해관계가 단기적으로 극명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단기간에 역내국간의 경제협력체를 구성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따라서, 동북아 지역의 경제협력의 형태는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먼저 경제협의체를 구성하여 경제협력 저해요인들을 하나 둘씩 해소해나가는 느슨한 경제 블록화를 추구한후, 이러한 장애요인을 극복하면서 단계적으로 역내 경제통합을 달성할 수 있는 장기적 전략의 수립이 요구된다. 이제 지역주의에 참여하는 것은 선택사항이 아니라 살아남기 위한 필수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역주의의 확대 및 심화라는 세계경제의 큰 흐름에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국가들도 이제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21세기에는 세계경제의 주변인이 아닌 중심축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하여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1. 강호경. "동북아 경제협력방안과 두만강 개발전략". 「국제상학」, 한국국제상학회, 제8권, 1993.
2. 권태한, 배용호, 동아시아경제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3. 김성훈, 김태홍, 심의섭, 「동북아 경제권 : 21세기 국가경영전략」, 비봉출판사, 1992.
4. 김원배, 김영봉, 「동북아 산업협력과 지역개발 전략구상」, 국토개발연구원, 1996.
5. 김창남, 「동북아지역의 경제협력 구도와 전망」, 삶과 꿈, 1998.
6. 김화섭, 「동북아시아 중화경제권과 한국경제」, 산업연구원, 1997.
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동북아 경제협력의 여건과 전망」, 1991.12.
8. 박번순, "뉴라운드 출범의 의의", 삼성경제연구소, 2001.11.
9. 박번순·전영재, "세계화와 지역화", 삼성경제연구소, 2001.6.
10. 박의범·김영식, "한국과 러시아 극동지역(연해주를중심으로)간의 경제협력과 개발 전략", 산업과 경제, 제8집 제2호, 1998.
11. 박의범·김영식, "Korean Business Strategy for Far East Russia", 박대위교수 회갑논문집 「무역보국의 길」, 법문사, 1996.
12. 박월라, 최의현, "중국의 WTO 가입 의미와 경제구조조정 - 중국내 각계 전문가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오늘의 세계경제」, KIEP, 2001.11.27.
13. 손병해, 「경제통합론 : 이론과 실제」, 법문사, 1992.
14. 심상목, "동북아지역에서의 경제협력 방안", 「경영논집」제11집, 관동대학교 기업경영연구소, 1992. 3.
15. 안충영, "자유무역협정·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성의 시작과 한국의 전략",「국제통상연구」제5권 제2호, 한국국제통상학회, 2000.12.
16. 유장희, 「APEC과 신국제질서」, 나남신서, 1995.
17. 이재열,「세계무역의 구조변화와 우리의 대응과제」, 연구자료 99-14, 한국은행 1999.
18. 이창재·정인교·이성봉·왕윤종·유관영, 「동북아 경제협력 전략연구 <총괄편>」, 정책연구 99-07, KIEP, 1999.12.
19. 이창재·정인교·이성봉·왕윤종·유관영, "21세기 동북아 경제협력의 전망과 한국의 대응전략", KIEP, 1994.
20. 이창재·정인교·이성봉·왕윤종·유관영, "21세기를 향한 한·중·일 경제협력의 새로운 모색", KIEP, 1998.
21. 이창재·정인교·이성봉·왕윤종·유관영·전재욱·조현준, "중국경제의 부상과 한국의 대응", KIEP, 1997.
22. 이창재·정인교·이성봉·왕윤종·유관영·홍익표, "동북아 경제협력의 새로운 방향 모색", KIEP, 1999. 10.
23. 정영록, "동북아지역 무역구조와 역내수출경쟁력 비교", KIEP, 1992.
24. 정인교, "한·칠레 FTA의 경제적 효과 및 의의", 「대외경제 정책연구」, KIEP, 1999년 겨울호, 2000.
25. 정인교, "동북아 경제협력, 관세, 통상등 지역경제협력", KIEP, 1999.
26. 정인교, "우리나라의 중장기 FTA 추진전략", KIEP, 2001.
27. 정인교, "FTA시대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KIEP, 2001.11.
28. 정인교, 이경희, 박영호, 채욱, 서창배, 「동북아 경제협력: 관세, 통상 등 지역경제협력」, KIEP, 1999.12.
29. 최낙균, 「세계무역환경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 KIET 현안브리핑, 2001. 4.
30. Arvind Panagariya, "The Regionalism Debate: An Overview." The World Economy. Vol.22, No. 4. 1999.
31. A. Vamvakidis, "Regional Trade Agreements or Broad Liberalization: Which Path Leads to Faster Growth?" IMF Staff Papers. Vol. 46. No. 1, March 1999.
32. Burnham O. Campbell·, "The Potential for Economic Integration in Northeast Asia," A Background Paper for the Second Conference on Econom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Northeast Asia in Changchun, China August 1991.
33. M. Schiff and L. A. Winters, "Regional Integration as Diplomacy," The World Bank Economic Review, Vol. 12, No. 2, May 1988.
34. P. Krugman, "Is Bilateralism Bad?" in E. Helpman & A. Razin (eds). International Trade and Trade Policy. The MIT Press. 1991.
35. IMF, Direction of Trade, 각년도
36. http://www.kiep.go.kr
37. http://seriecon.seri21.org/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3.02.26
  • 저작시기2003.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2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