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 초코파이의 중국진출 성공 (국제경영학)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오리온 초코파이의 중국진출 성공 (국제경영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동양제과(초코파이) 소개
초코파이 성장 과정

3. 동양제과 SWOT 분석

4. 동양제과의 글로벌 정책
4-1. 글로벌화 정책
4-2. 해외산업 현황

5. 중국 시장 현황
5-1. 중국의 제과시장
5-2. 대중국 브랜드 전략

6. 중국 진출
6-1. 중국 진출 과정
6-2. 초기 중국 시장 진출에서의 어려움 및 문제점
6-3. 중국 진출을 위한 동양제과의 전략 (마케팅, 유통)
6-4. 해외 글로벌 정책의 성공 요인

7. 끝맺음 (보도자료, 참고 문헌, 그 외 자료첨부)

본문내용

해 95년 2월 중국 톈안먼 광장에 초코파이 대형 입간판을 설치했다. 95년 4월엔 베트남 호치민에서 개최된 '95 세계국제박람회'에 50여종의 제품을 전시한 후인도네시아, 미얀마 등지로 확대하면서 잇따라 제품전시회 및 시식회를 가졌다. ◇현지화 정책=오리온은 수출강화를 위한 현지화 전략의 일환으로 현지사무소와 생산공장 건설에 박차를 가했다. 지난 90년 4월 일본 도쿄사무소 설립을 시작으로 93년 2월 중국 베이징사무소를 개설하며 현지시장 조사를 통한 수출강화 전략을 추진했다. 95년 12월 중국 허베이성 랑방경제기술개발구에 초코파이 현지생산공장을 건설, 현지법인인 '오리온식품유한공사'를 설립했다. 지난 96년 들어서면서 오리온은 회사의 모든 역량을 동원 국제화 전략을 더욱 강화했다. 초기 조직개편을 통해 기존 수출부를 해외사업본부로 개편하고 내부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수출거점 확보를 위한 해외사무소 설립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이에 따라 지난96년 8월 상하이사무소, 11월에는 모스크바 사무소를 개설했으며 97년 3월에는 베트남의 호치민 사무소를 개설했다. 또한 현지 생산공장 건설에도 역량을 집중, 97년 5월 중국 베이징 인근의 랑팡경제기술개발구에 초코파이 공장을 준공했다. 지난 97년 8월에는 상하이시 청포공업원구에 '오리온식품상해유한공사'를 설립하고 초코파이, 카스타드 등 케이크류와 스낵 반제품을 생산하는 현지공장을 건설했다. 99년에는 중국 광저우 사무소, 2001년에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사무소를 개설했다. 현재 오리온의 현지 공장은 중국 화베이 권역의 랑팡공장, 화중 권역의 상하이 공장이 있다. 오리온의 장기적 전략은 이 두 곳을 통해 중국 경제인구가 집중해 있는 중동부 연안을 연결하는 거대 생산거점을 확보함으로써 제품, 원·부재료, 기술, 인력 등에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는 것이다. 현재 오리온은 제2, 제3의 초코파이를 꿈꾸며 다른타 제품도 조심스럽게 시장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명품 오리온 초코파이=지난 2002년 1월 중국 런민르바오와 CCTV가 공동으로 조사한 '전중국 주요도시 소비자조사'에 따르면 오리온초코파이가 중국시장내 파이류 중시장점유율 63%로 1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브랜드지명도, 인지도,구매율, 충성도 등전 부문에서 지난 98년부터 4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또 2003년 7월 코트라가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중국 3대 도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 상품 브랜드 인지도 조사에서 중국 소비자 가운데 55%가 오리온초코파이를 알고 있다고 대답했다. 이처럼 초코파이의 브랜드 인지도는 대단하다. 코리아를 몰라도 초코파이는 알 정도인 것. 특히 외상거래가 일반화된 중국에서 술, 담배 이외에 선금거래가 이뤄지는 제품은 오리온초코파이 뿐이라는 말이 있다. 이처럼 초코파이는 국내 브랜드가 아닌 세계적인 브랜드로 모든 사람으로부터 사랑받는 제품으로 성장하고 있다. 현재 중국내 주요 할인점, 백화점 등에 가보면 가장 눈에 잘 띄는 곳에 초코파이가 진열돼 있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찾는 인기상품이라는 것을 말해주는 셈이다.
/ shower@fnnews.com 이성재기자
파이낸셜 신문 2004.2.27 일자
[입맛대물림'장수식품'-동양제과초코파이]외국서도인기폭발
동양제과의오리온초코파이의탄생은우연한기회에이루어졌다.지난70년대초한국식품공업협회주관으로식품기술자3명과구미선진국을순회하던기술개발연구소소속한연구원이친구와들른카페에서우유와함께나온초컬릿코팅과자를맛보다얻은신제품아이디어가계기가됐다.2년여간에걸친실험과개발을통해수많은시제품을만들어실패를거듭한끝에74년4월오늘날과같은초코파이가개발됐다.오리온초코파이는출시이래지난해12월까지9600억여원,개수로는84억여개가판매됐다.이는우리나라인구를5000만명으로기준했을때한사람이168개의오리온초코파이를먹었다는계산이다.들어간초컬릿의양만해도8t트럭7125대분량인5700여만t에달하며,초코파이를한줄로이어놓으면지구를14바퀴나도는57만㎞에달한다.지금도오리온초코파이는연간8t트럭5000여대분량인5억여개가판매되고있다.이러한오리온초코파이의인기는해외에서도그대로이어졌다.러시아를비롯,동구,동남아등지에서인기인오리온초코파이는해외유사품에골머리를앓을정도다.현재초코파이가수출되고있는나라만도50여개국에달한다.
동양제과, 롯데 상표등록 취소 소송
대법 "창작명 희석화 보통명칭" 판결
“초코파이 상표는 아무나 사용할 수 있다”
`초코파이'라는 상표를 두고 원조격인 동양제과와 후발주자인 롯데제과간에 벌어진 상표등록 분쟁에서 법원이 `어느 회사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보통명칭'이라며 롯데제과의 손을 들어줬다.
대법원 1부(주심 유지담 대법관)는 20일 동양제과가 롯데제과의 초코파이 상표등록을 취소해달라며 낸 등록무효심판 청구소송 상고심에서 원고의 상고를 기각하고 롯데제과의 승소를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초코파이는 상표로서 인식되고 있다기보다는 원형의 작은 빵과자에 마쉬맬로우(marsh mallow)를 넣고 초콜릿을 바른 과자류를 지칭하는 명칭”이라며 “따라서 초코파이는 원고가 창작한 조어임에 상관없이 희석화돼 해당 상품의 보통명칭 내지는 관용표장이 되어 상품의 식별력을 상실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게다가 초코파이라는 명칭 앞에 제조회사 이름이 들어가는 만큼 두 상품이 공존해도 상품의 품질을 오인하고 소비자를 기만할 염려는 없다”고 말했다.
지난 74년 `초코파이'를 처음 출시하고 `오리온 초코파이'로 상표를 등록한 동양제과는 79년 롯데제과가 첫 글자만 바꾼 `롯데 쵸코파이' 상표로 등록하고 크라운제과, 해태제과 등이 잇따라 초코파이를 생산하자, 지난 97년 롯데제과의 상표등록을 취소해달라며 특허심판을 냈고 기각되자 소송을 냈다.
【자료출처, 참고 문헌】
▶http://www.orionworld.co.kr
오리온주식회사 홈페이지
▶동양제과 홍보팀, "세계에 심는 情" 「동양제과」1998.5
▶www.kbs.co.kr
신화창조의 비밀 2003.12.26일 방영분
▶http://www.imaeil.com
/ 매일 경제 신문
▶http://www.fnnews.com/파이낸셜 신문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4.11.14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33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