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타민 진생의 베트남 진출 성공 전략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홈타민 진생의 베트남 진출 성공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베트남 진출 결정의 배경 - 국내 제약시장 상황

Ⅲ. 왜 베트남 시장인가?

Ⅳ. 베트남 시장의 특징

Ⅴ. 베트남 진출 전략

Ⅵ. 성공 요인

Ⅶ. 향후방향

본문내용

더 빠르게 대처할 수가 있어 과감한 투자를 할 수가 있다.
4. THREATEN -
① Beohringer Ingellheim사, Norvatis사, Sanofi Vietnam Pharmaceuticals 등의 외국 기업들이 유사품을 만들어서 판매하고 있다. 영양 비타민제 시장에서는 아직 점유율 면에서 (주) 한국유나이티드 제약에 뒤쳐지고 있지만 계속 성장 중이며, 기타 항생제 와 같은 제약제품에 대해서는 앞서고 있는 상황이다.
② 베트남에 진출해 있는 한국제약기업들로부터도 경쟁적 위협을 받고 있다. 신풍제약이 현재 베트남에서 현지공장을 세워서 경쟁에 가담하고 있다.
③ 베트남에는 암시장이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다. 그래서 값싼 모조품들이 많이 등장하 게 되었는데, 이러한 제품들은 Low-end 시장의 소비자들을 모두 빼앗아 가버리게 된 다. 아직 저가 시장에서는 충분한 인지도를 형성하지 못한 (주) 한국유나이티드 제약 으로서는 크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제약 산업은 다른 산업과는 다른 특별한 중요성이 있다. 자국의 힘으로 약을 생산해 낼 힘이 없다는 것은 곧 세계적 다국적 기업의 식민지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아프리카 국민들은 유럽인들 보다 훨씬 비싼 돈을 주고 약을 구입하고 아시아의 몇몇 나라를 제외하고는 울며 겨자 먹기로 다국적 제약회사의 약을 거금을 들여 수입 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이런 점에 비춰볼 때, 처음부터 해외 수출을 목표로 또, 한국 최고의 다국적 제약회사가 되는 것을 목표로 쉼 없이 달려가고 있는 한국 유나이티드제약은 바람직한 제약회사의 모습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의 베트남에서의 성공은 가치가 있으며 충분히 인정할만한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앞으로 그리 만만치만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다. 우선 향후 기술경쟁력을 더욱 강화시키는데 투자를 많이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비록 매출액 대비 연구투자비는 국내 기업 중 최고지만 아직도 세계적 기업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있을 치열한 경쟁에 대비하기 위해선 자체 기술력 확보와 신약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홈타민 진생을 그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제품으로 지켜나가는 것이 베트남 시장을 지켜나가는 열쇠임은 분명하다. 또한 지금의 홈타민 진생을 아세안 다른 국가들 더 나아가 선진 국가들로의 수출로까지 확대시키는 것이 지금 유나이티드제약 경영진들의 목표라면 더더욱 기술력 확보는 시급한 문제이다.
그리고 비록 지금 해외 영업부에 있는 관계자들은 브랜드 가치에 문제 때문에 지금 현재 심각한 가격경쟁력 위기에도 불구하고 가격을 더 이상 내릴 수 없다고 하지만, 한 가지 간과하지 말아야 할 사실은 중국 제약회사들의 모방제품의 엄청난 공세가 아직 시작도 안했다는 사실이다. 물론 지금의 단계에는 아직 이르지만 비타민 자양강장제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고, 중국이 싼 인삼이나 홍삼으로 무차별 가격 싸움으로 나온다면, 가격을 낮추는 것도 상당히 효과적인 한 방법이 될 것이다. 제약 시장의 특성상 써오던 제품을 바꾸기란 쉽지 않다. 홈타민 진생의 효과를 인지하고 있는 소비자들이기에 가격을 조금만 낮추더라도 급격한 매출액의 증가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베트남 정부는 지방과 4대 중심 도시와의 격차를 좁히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강구 하고 있다. 이는 베트남의 높은 성장률과 맞물리면서 시장의 확대를 야기 할 수 있으며, 지금의 타겟층이 주로 중산층을 포함한 그 이상의 소비자들이었다면 이제는 다양한 층의 소비자들을 다 포함 시켜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지금의 촉진전략을 한류열풍에서 베트남 정서를 더욱더 나타내줄 수 있는 옮겨갈 수도 있는 것이다. 베트남 국가 내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베트남인들의 정서와 문화를 이해 할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보여줄 때만이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의 홈타민 진생이 베트남에서 더 나아가 아세안국가, 유럽, 미국 시장까지도 성공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인터뷰
Q: 베트남은 더운 나라여서 인삼과 같은 발열 식품은 피하고 싶어 하는 경향이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 홈타민 진생이 인삼이 첨가된 사실이 베트남인들에게 거부감은 없었는지?
있었다면, 향이 나 맛 등에서 베트남인들에 입맛에 맞도록 현지화 한 것이 있었나요?
즉, 제품 자체만을 고려했을 때 왜 베트남인들에 <홈타민 진생>을 좋아한다고 보십니까?
A: "베트남은 중국의 영향을 굉장히 많이 받았다고 합니다.
즉, 베트남인들도 한국의 인삼이 효능이 좋고 제일 좋은 제품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 거부감이라고는 찾기 힘드며, 그렇기 때문에 그들의 입맛에 맞게
제품의 맛을 변형 하지도 않았고, 그들이 <홈타민 진생>을 좋아한다고 자부합니다."
Q: 베트남 현지 공장으로 인하여 베트남 내의 제품 공급에 관한 많은 이점을 누릴 수 있을 듯합니다. 그렇다면, 공장 준공 이전에 초기 진입 당시 베트남 내의 유통망은 어떠했는지요? 그리고 현재 <홈타민 진생>은 어떠한 유통 경로를 거쳐 소비자에게 전해지는지요?
A: 그때 당시는 수출위주로 제품을 판매하였기 때문에 저희가 직접 판매하다기 보다는
IC Pharm과 계약을 맺고 판매를 시작하였습니다. 현재 약국이나 병원에서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Q: 베트남에서 <홈타민 진생>을 제외한 나머지 제품들은 성공적이라 할 수 있는지요?
아니라면 이유는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A: 아직은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성공인지 실패인지 단정하기가 힘듭니다.
<홈타민진생>이 먼저 진출했던 것은 항암제, 항생제 이러한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준비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니깐 <홈타민 진생>으로 베트남인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고 그리고 본격적으로 본 제품들을 판매하려던 계획입니다.
Q: 베트남 진출 당시 어려웠던 점이 있었다면 어떤 것이 있는지요?
A: 특별히 어려웠던 점은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Q: 향후 지속적인 시장의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향후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을 런지요?
A: 우선 지금의 좋은 이미지를 계속 심어주는 게 중요하고 그리고 베트남내의서의 꾸준한
로비 활동이 필요로 한다고 봅니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12.06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2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