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전통 음악 - 시타르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인도 음악 전반의 특성
1.인도인의 음악관과 종교와의 연관성
2.정체성을 간직하는 인도 음악
3.인도음악의 교육방법


Ⅱ.남인도의 음악과 북인도의 음악
1.남인도의 음악
2.북인도의 음악

Ⅲ.인도 음악-다른 문화와의 만남(퓨전)
:인도 음악, 아시아를 벗어나다.
1.서양의 대중 음악계보다는 주로 서양 ‘순수 음악’과의 교류-
2. 비틀즈 시대(1960년대)에서부터 발전하기 시작

본문내용

ingh)-자키르 후세인이 아버지인 우스타드 알라 라하를 추모하는 음반「Tala Matrix」에 참여
ⅴ)스테이트 오브 벵골(State of Bengol) ; 이들 모두 힌두스탄 음악인들과 직·간접적으로 교류하고 있음
ⅵ)'퓨전' 인도 음악의 특징- 주로 '주류 음악과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중 음악과는 그 교류가 아직 미미하다.) :음악 장르의 속성의 차이와 동시에 '인도와 인도 문화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에서 기인한듯
인도 문화는 "그 자체가 '거대한 용광로'이다"라고 말할 수 있다. 인도 문화 본연의 정신을 잃지 않으면서 외부의 것을 폭 넓게 수용하며 그것마저도 인도의 색채로 뒤덮어 버리는 것이 인도 문화와 그 문화를 발전시키는 예술인들의 특성이자 경쟁력인 것이다. 세계적으로 인도 음악은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음악 엘리트들에게만 관심의 초점이 되던 과거에서 벗어나 이제는 대중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 (EX:"뚫흑송, 인도 음악 까페) 자신들의 전통성을 유지해 나가면서도 세계적인 보편성을 획득하려는 인도 음악의 발전이 계속 된다면, 대중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차원을 넘어, 당당히 세계속의 주류 음악으로 인도 음악이 자리잡는 날이 멀지 않으리라고 본다.
참고자료 :실크로드-길 위의 노래 (전인평, 소나무)
THE MUSIC OF INDIA
동양 음악(전인평)
http://www.india.or.kr/
http://www.indiascent.com/
http://www.himalaya.co.kr/music/india/classic_folk/musician/ravi_shankar.html
http://hometown.weppy.com/~teddyhye/music/ravi.htm
http://hometown.weppy.com/~teddyhye/music/ravi.htm
라가-라가는 인도의 클래식 음악이고, 정확히 말하면 힌두스탄 지역에 본거지를 두고 있어서 '힌두스탄 음악'이라는 말로도 불린다. 더 정확히 말하면 라가는 음악 장르라기보다는 힌두스탄 음악의 한 요소다. 비틀즈의 조지 해리슨(George Harrison)의 스승인 라비 샹카(Ravi Shankar)의 말을 빌리면 "(라가란) 단지 음계가 아니라 멜로디 형태"다. 좀 어려운 이야기지만 서양 음악처럼 화성이 변하면서 그 위에 멜로디가 얹히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 불가분한 최소 단위를 형성하는 멜로디 형식이 라가라는 이야기다. 라가는 시타(sitar), 사로드(sarod), 산트루(santoor) 같은 인도 고유의 여러 줄로 이루어진 현악기들로 연주된다.
서양음악의 전주곡에 해당하는 '무장단의 알랍(ALAP)으로 노래가 시작한다. 무장단의 알랍이란 음을 조율하는 것인데, 청중은 그 동안 마음을 정돈한다. 그리고 느린 빌람비트(VILAMBIT)-마디야(MADHYA)-드루타(DRUTA)로 이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 라가의 경우 빠르기가 점점 빨라지는 형식을 가지고 있는데, 빌람비트의 경우 1박이 4초이고 마디야는 1박이 2초이며 드루타는 1박이 1초이다. 점점 박자의 수가 1/2로 줄어들면서 속도는 배로 빨라지는 것이다)
한편 리듬은? 리듬은 탈라(tala)라는 단위로 구성된다. 이것 역시 서양 음악처럼 3박자, 4박자 등을 단위로 마디를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10비트, 13비트 같은 식으로 하나의 단위를 이룬다. 탈라는 보통 타블라라고 불리는 타악기에 의해 연주되는데, 타블라는 두 개의 북이 하나의 세트를 이룬다. 타블라는 다른 타악기들에 비해 음고가 명확한 편이라서 독주 악기로 사용될 때도 있다.
다스름-조음, 즉 음을 조율한다는 듯이며 알랍은 라가에서 다스름의 기교 방식을 일컫는 말임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5.28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90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