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콤의 6시그마 사례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 데이콤 소개
1.연혁
2.사업부문의 구분
3.시장상황(경쟁 요소)

제2장 데이콤의 6시그마 도입 배경(도입 전 상황)

제3장 데이콤의 6시그마 추진내용
1.6시그마의 비전
2.6시그마 추진 전략
3.경영자의 리더십
4.6시그마 추진조직체계
5.벨트제도의 운영
6.프로젝트의 수행 및 관리체계
7.평가와 보상

제4장 데이콤의 6시그마 추진실적분석 및 평가
1.추진실적분석
2.6시그마 활동의 평가

제5장 결론

-출처와 참고문헌

본문내용

음으로 매출 1조원을 돌파하고, 5년 만에 흑자전환 하였다. 매출 1조581억 원은 2001년 대비 6% 증가한 것으로, 회사의 주력 사업인 인터넷사업은 물론 e-Biz사업 및 전화사업 등 천리안사업을 제외한 전 사업의 호조에 힘입은 것이다. 이와 같은 실적 호전은 2001년 4월부터 실시한 경영혁신 및 사업구조조정과 6시그마, 장애와의 전쟁 등 전사적인 품질경영과 원가혁신을 위한 노력이 주요 요인인 것이다.
영업이익 역시 전년도와 비교해 10%(872억 원→961억 원) 증가했으며, 당기순이익은 2001년도 688억 원 적자에서 926억 원이 개선된 238억 원 흑자를 기록,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이로써 데이콤은 창사 21년 만에 매출 1조원 시대를 열었으며, 2000년과 2001년에 각각 923억 원과 688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당기손익 적자에서 5년 만에 흑자 기업으로 거듭났던 것이다.
다른 예로 데이콤은 지난 2001년 통신서비스 장애율 '제로(zero)'에 도전하는 '통신장애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이를 위해 고객별로 전담요원을 배치하고 장애발생에 즉각 대응하는 별동대 조직까지 구성하는 등 장애처리토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장애개통 실명제(장애 티켓 오너제)' 실시, 고객서비스 개념을 애프터서비스(A/S)에서 고객 불만 사전 예방 체제(B/S)로 전환, 통신서비스에 6시그마도입 등과 같은 품질 경영의 결과로 데이콤의 통신망 장애율은 2001년 12월 6.7%, 2002년 1.7%, 2003년 12월 1.1%에서 2004년 12월에는 0.8%로 떨어져 ‘통신망 장애율 0%대 진입’이라는 업적을 실현해 내기도 했다. 이에 대해 데이콤은 "파워콤 인수 후 양사 공동으로 네트워크 구조개선 및 첨단 정보통신 장비 개선에 집중했고, 고장, 장애와의 전쟁, 6시그마 경영혁신 활동 등을 통해 통신망 안정화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데이콤은 지금까지 179개 프로젝트, 681개의 워크아웃 프로젝트 등 860개의 경영혁신 과제 수행을 통해 총 700억 원의 성과를 올렸다.
2. 6시그마 활동의 평가
-지속적인 인력 양성 측면에서는 한계를 드러냄 -> 현장리더(GB)양성에 주력 중임.
-데이콤만의 6시그마 기법은 미개발 -> 각각의 프로젝트에 맞는 기법을 적용하고 있음.
제 5 장 결론
21세기는 “글로벌 무한 경쟁의 시대”이다. 특히 통신 서비스 사업의 경우, 미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국가 기간산업으로 간주하여 정부가 독점적으로 운영하여 왔으나, 1980년대 이후 선진 각국에서 기술향상과 운영효율 제고를 위해 경쟁을 도입하기 시작하여 급속히 민영화와 개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시장개방에 대비한 경쟁력 강화정책의 일환으로 1990년부터 순차적으로 국제전화 사업, 사회전화사업, PCS, 무선 데이터 통신 등에 신규 사업자를 선정하는 등 통신사업은 모든 통신 역무에 걸쳐 무한 경쟁의 시도로 접어들었다.
데이콤의 경우도 자사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무한 경쟁 시대의 생존 전략의 일환으로 2001년 6시그마 경영을 도입하였다. 기간 통신 역무를 서비스하는 업종에 적용되는 사례는 데이콤이 최초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간 통신 역무를 제공하는 서비스 기업의 사례활동에 대하여 6시그마의 성공 요소들을 기준으로 회사의 6시그마 활동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파악해서 향후 6시그마 활동의 추진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아무리 좋고 입증된 경영혁신 프로그램이라도 단순한 모방을 통해서는 진정한 자기 것이 될 수 없다. 새로운 기법을 도입할 때 자사의 기업문화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고 거기에 맞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6시그마의 성공요소들을 자사의 문화와 특성에 맞게 개발하고 제도화 시켜야 하고 끊임없는 개선을 통해서 자사의 고유한 활동으로 정책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새로운 기법을 도입하게 되면 항상 조직에 저항이 발생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그래서 기업은 이 저항들을 잘 다루어야 하고 최고 경영자는 변화관리를 잘해야 한다. 변화를 관리하는 데 있어서 최고 경영자들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였다. - 현재 상황을 평가한다. 확실한 미래의 비전을 제시한다. 조직의 구조와 책임을 분명히 규정한다. 완벽한 의사소통 계획을 수립한다. 진척사항을 공정하게 측정한다. 6시그마 프로젝트에 대한 높은 우선권을 준다. 경영능력을 확실하게 평가한다. 프로젝트를 잘 달성한 사람에게 상징적인 상을 수여한다.
6시그마가 혁신적이고 비용절감 효과가 큰 경영기법임에 틀림이 없으나 그 실행에 있어서의 중심은 바로 사람이다. 사람이 바뀌지 않는다면 아무리 좋은 기법도 실패하기 마련이다. CEO를 비롯한 임원진의 확고한 리더십과 지원, 중간 관리층, 팀원에 이르기까지 전 임직원의 혁신의지가 있어야 진정한 6시그마 성공을 이룰 수 있다.
데이콤은 올해 데이콤 혁신학교를 설립해 운영 중이다. 데이콤을 비롯한 자매회사(파워콤, KIDC, CICK등)의 임원, 팀장, 팀원에 이르기까지 전 임직원의 혁신마인드 고취를 위해 모두 수료하도록 하고 있다.
-출처와 참고문헌
“D사의 6시그마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 이준서, 2004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데이콤 경영혁신팀 담당자 인터뷰내용
데이콤 홈페이지 http://www.dacom.net
금융감독원 공시자료 http://dart.fss.or.kr
네모시그마그룹 부설 한국시그마경영연구소 http://ns.ksim.co.kr/
기타 전자신문, 디지털타임스, 아이뉴스, 경영인신문,파이낸셜뉴스, 이데일리 등 신문기사 참고
*목 차
제1장 데이콤 소개
1.연혁
2.사업부문의 구분
3.시장상황(경쟁 요소)
제2장 데이콤의 6시그마 도입 배경(도입 전 상황)
제3장 데이콤의 6시그마 추진내용
1.6시그마의 비전
2.6시그마 추진 전략
3.경영자의 리더십
4.6시그마 추진조직체계
5.벨트제도의 운영
6.프로젝트의 수행 및 관리체계
7.평가와 보상
제4장 데이콤의 6시그마 추진실적분석 및 평가
1.추진실적분석
2.6시그마 활동의 평가
제5장 결론
-출처와 참고문헌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5.12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91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