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기업조직 변화과정 분석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1969~1979, 전자사업에 미래를 걸다
1. 조직의 환경
2. 조직의 기술과 조직구조
3. 조직의 세계화와 조직구조 변화
4. 조직의 변신

Ⅲ. 1980~1988, 국내 정상의 종합전자회사로

Ⅳ. 1989~1992, 제2의 창업, 통합 삼성전자 출범
1. 조직 환경과 그에 대한 대처 방안
2. 조직의 문화
3. 조직의 기술과 조직 구조
4. 조직의 혁신 및 변화
5. 조직의 학습
6. 조직의 세계화

Ⅴ. 1993~1996, 신 경영을 통한 성장

Ⅵ. 1997~1999, 미래를 위한 대개혁

Ⅶ. 2000~현재, 그리고 향후의 과제
1. 2002년 1월, 4대 사업총괄명 변경 및 조직개편 단행
2. 2003년 3월, 조직개편 단행
3. 삼성전자의 비전과 미션 - digital 비전

Ⅷ. 마치면서...

※ 참고 자료

본문내용

것은 서로 비슷한 상품들 간의 기술적인 측면, 마케팅적 측면에서 시너지효과를 거두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종래의 각 부문 종합연구소 기능과 그룹기술원 관련기능을 이관 받아 삼성전자의 연구개발을 종합 관리하는 기술총괄제도를 도입, 전사적으로 연구개발 인력 및 기술의 집중화를 도모하였다.
3. 삼성전자의 비전과 미션 - digital 비전
※ 비전과 미션
- 삼성전자의 비전은 ‘디지털 컨버전스 혁명을 주도하는 기업’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삼성전자의 미션은 ‘Digital-ε Company’임
- “Digital-ε Company”란 혁신적인 디지털 제품과 ε - 프로세스를 통해 디지털 컨버전스 혁명을 주도하는 기업을 말함
- “Digital”은 사업구조 개편을 통해 기술과 제품, 사업을 융복합화, 네트워크화 하며, 디자인력을 강화하여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에 맞는 제품 혁신을 이루는 것을 의미
- “ε”는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통해 Simple하고 Speedy한 경영체제를 구축함으로써 리드타임 단축과 경영 스피드를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
삼성전자는 향후 메모리와 System-LSI 반도체, LCD 등의 핵심부품과 A/V, 컴퓨터, 통신, 생활가전 등의 단품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Total Solution을 제공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이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홈, 모바일, 오피스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제품들을 지원할 수 있는 핵심부품을 4대 전략 사업군으로 선정, 육성해 나가고 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통신, 가전제품에서 여러 선도 제품군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세계 어느 기업보다 강한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Total Solution Provider(종합 솔루션 제공자)가 될 것이다.
※ 4대 전략 사업군
▶ 삼성전자는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승자가 되기 위해 현재 Home, Mobile, Office 네트워크 및 핵심부품을 중심으로 한 4대 전략사업을 펼치고 있음(세계최고의 종합전자업체인 삼성전자만의 차별화된 역량과 부문간 시너지를 최대화하는 전략을 통해 이들 4대사업을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경쟁력 있는 핵심 사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 홈 네트웍 사업군은 미래 성장사업인 디지털TV를 중심으로 Home Server와 Home Gateway사업 등에 집중
- 모바일 네트웍 사업군은 기존 1위 제품인 휴대폰 사업을 근간으로 PDA와 노트북PC등과 같은 모바일 사업군을 확대함과 동시에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0 시스템 구축
- 오피스 네트웍 사업군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사업과 함께 프린터, IP Terminal, 인포모바일 등을 집중 육성할 계획임(컨텐츠와 서비스부문은 해당분야 선두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강화)
삼성전자는 4대 전략 사업군의 중심축인 메모리 반도체, TFT-LCD, 휴대폰, 디스플레이 등 현재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제품을 4개나 보유하고 있다. 이 밖에 디지털 TV, IMT-2000, PC 주변기기 등을 추가하여 7대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제품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4대 전략 사업군을 강화시키고, 안정적인 성장기반을 확보해 나갈 전망이다. 이와 더불어 핵심 R&D 기술과 ε-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제품에 필요한 핵심부품 사업도 강화할 예정이다.
<7대1위 제품>
Ⅷ. 마치면서...
지금까지 삼성이 전자사업에 진출하면서 설립한 삼성전자에 대해 조직분석학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창립부터 현재까지 나타나는 조직구조의 주요 특성과 변화, 그리고 삼성전자란 조직의 경쟁력에 대한 사항들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고, 또한 이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결론적으로, 삼성전자는 불확실하고 급변하는 무한경쟁의 환경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조직의 외적 구조변화나 개혁만을 도모하지 않고, 이를 조직 내에 체화시킬 수 있는 내적인 변화(기술개발, 기업문화 등)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왔음을 알 수 있다. 초기 사업 확장으로 조직규모가 비대해짐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업부제를 도입하여 권한을 위임하는 등 탄력적으로 조직을 개편한 것, 이후 분산된 사업구조를 통합하고 점차 전략적 사업구조로 조직의 핵심 역량을 집중하는 방향으로 진행된 개혁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삼성전자에서는 카멜레온처럼 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해 나가려는 조직의 생명력을 느낄 수 있다. 이런 조직구조의 특성은 앞서 살펴본 경쟁력과 성공요인의 기반임에 틀림없다. 또한 이러한 특성은 반도체, 정보통신, 가전제품 등 여러 선도 제품군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삼성전자가 세계 어느 기업보다 강한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Total Solution Provider가 될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는 것이다.
※ 참고 자료
김인수, 거시조직이론, 무역경영사, 1999
삼성전자, 삼성전자 30년사, 서울, 1999
한국경제신문특별취재팀, 삼성전자 왜 강한가, 한국경제신문, 2002
이찬석, 한국 기업문화 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원대 경영대학원, 2000
이병선, 한국기업의 해외사업 조직구조에 관한 연구, 연세대 대학원, 1996
이성래, 기업의 세계화와 조직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 경영대학원, 1999
삼성전자 홈페이지(http://www.sec.co.kr)
*목 차
Ⅰ. 들어가면서...
Ⅱ. 1969~1979, 전자사업에 미래를 걸다
1. 조직의 환경
2. 조직의 기술과 조직구조
3. 조직의 세계화와 조직구조 변화
4. 조직의 변신
Ⅲ. 1980~1988, 국내 정상의 종합전자회사로
Ⅳ. 1989~1992, 제2의 창업, 통합 삼성전자 출범
1. 조직 환경과 그에 대한 대처 방안
2. 조직의 문화
3. 조직의 기술과 조직 구조
4. 조직의 혁신 및 변화
5. 조직의 학습
6. 조직의 세계화
Ⅴ. 1993~1996, 신 경영을 통한 성장
Ⅵ. 1997~1999, 미래를 위한 대개혁
Ⅶ. 2000~현재, 그리고 향후의 과제
1. 2002년 1월, 4대 사업총괄명 변경 및 조직개편 단행
2. 2003년 3월, 조직개편 단행
3. 삼성전자의 비전과 미션 - digital 비전
Ⅷ. 마치면서...
※ 참고 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6.06.20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60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