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구비문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절 서 설
1.전언
2.개념

제2절 설 화
1.설화의 전반적 특징
1)설화의 개념
2)설화의 특징
3)설화의 분류와 상호 관계성

제3절 민요
1.민요의 전반적 특징
2.민요의 略史와 자료개관

제4절 무 가
1.무가의 전반적 특징
2.무가의 자료개관

본문내용

라는 특수한 부류의 전유물이며, 일반대중이 그 전승에 참여하지 못한다. 무가는 '巫'라는 전문직업인에 의하여, 巫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巫俗儀禮에서 歌詠되는 구비물인 것이다.
1)주술성: 무가는 巫가 司祭者로서의 神異性을 나타내는 수단
2)신성성: 무가는 신을 대상으로 인간이 歌詠하는 문학이며, 신성성의 문학이다.
3)제한된 전승: 무가는 대개 즉흥적 창작부분, 고정전승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것은 巫개인 의 개성과 巫風 등에 따라 그 전승과정에서 타협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보수적이다.
4)오락성: 무의 자체가 민중의 큰 구경거리 구실을 해왔으며, 굿놀이라고 하는 무가는 일종 의 희곡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재담, 익살 등의 요소가 풍부하게 삽입되어 흥미롭게 전개 된다.
5)율문 전승: 무가의 악곡은 대개 그 지방의 민요곡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서사무가의 내 용은 설화와 같으나, 설화는 산문전승이나 무가는 율문으로 구송되는 점에서 구별된다.
2.무가의 자료개관
1)<朝鮮神歌遺編>(1930)
2)<關北地方巫歌>(1965)
3)<關西地方巫歌>(1966)
4)<南國의 巫歌>(1968)
5)<濟州道무당굿놀이>(1965)
6)<韓國巫歌集>(1971) 등

키워드

구비문학,   설화,   민요,   무가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3.29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15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