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허브]동북아시대 허브국가를 위한 정부역할 및 실천과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동북아시대 경제중심지 추진 배경

III. 동북아시대의 환경과 변화 가능성
1. 동북아시대의 배경과 환경
1) 산업경제의 소프트화 및 서비스화
2) 사회성원 의식의 다양화, 고도화
3) 사회제도 및 운영방식의 연성화
4) 정보기술의 적응적 확산
2. 동북아의 변화 가능성; 경쟁과 협력의 상황(Copetition)

IV. 동북아시대 허브국가를 위한 정부역할
1. 허브국가의 정부역할
2. 아시아 역내 허브국가의 사례분석: 정부역할에 관한 경험적 현상
3. 동북아 허브국가를 위한 정책과제

V. 허브국가가 되기 위한 지능적 정부의 원칙과 실천과제
1. 지능적 정부의 원칙
2. 지능적 정부의 실천과제
1) 행정조직의 유연, 지식화
2) 행정문화의 혁신
3) 정책기능 및 행정처리의 신속화
4) 정보네트워크의 활용 극대화

VI.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바뀌어야 한다. 셋째, 외부의 전문지식과 능력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춘 기관과 장기적 제휴관계를 유지하여 외부의 전문성을 내부화하는데 활용한다.
4) 정보네트워크의 활용 극대화
행정과정에서 요구되는 정보기반환경을 구축하여 전략, 정보, 자료 등의 활용을 최대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첫째, 행정에의 접근점을 확장해야 한다. 접근점 확장은 정보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추진되어야 할 서비스이다. 행정기관 또는 행정구역의 경계를 초월하여 광역권서비스 제공, 동일행정구역에서의 간단한 창구 증설, 기존 기관의 다목적 활용 등을 통하여 행정의 접근점을 확장해야 한다. 이를테면 1개 시·군·구 내에서 시민서비스센터, 공공도서관 등 공공시설에 단말기를 설치하고 민원행정서비스를 실시하는 것 등이다. 둘째, 행정서비스의 전달방법을 다양화하도록 한다. 정보제공 매체나 방법을 다양화시켜 전국, 어디서나 동질의 정보가 제공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정보전달의 전자화를 촉진하도록 한다. 민간에 부과하는 각종 신고, 신청, 보고 등의 전자화를 실행하고, 민간부문의 정보화 진전에 즉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통합적 정보관리체제를 구축하도록 한다. 조직·인사·재무·기획 등 제반 행정과정이 단절없는 유기적 연계성이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VI. 결 론
동북아 경제중심국가 건설은 정부의 강력한 의지만 갖고 성취되는 것이 아니다. 기업과 시민의 문제상황과 가치창출을 위해 얼마나 실천적인 지능수준을 갖추었느냐에 달려있다. 앞선 사례에서 보았듯이 네덜란드, 아일랜드, 싱가포르를 비롯하여 허브국가로 인식되는 선진국가들의 경우 그 주체는 다름 아닌 리더십을 갖춘 지능적 정부였음을 알 수 있다. 정부가 솔선수범하여 비전과 전략을 제시하면 민간이 따라가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또한 디지털 강국의 실현이라는 목표에 걸맞게 정보통신 분야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또한 물류·IT·금융허브가 별개로 이루어지면서 따로따로 정보수집·수익창출을 도모하는 것이 아니다. 3자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면서 상호보완적 추진이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능적 정부에 의해 통합된 정보유통과 타당성 분석, 위험관리가 하나의 서비스로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끝으로 지능적 정부는 변화흐름에 민감하게 대응하며 글로벌 스탠더드를 민감한 '사리에 맞는 정부(sensible government)'를 의미한다. 다만, 글로벌 스탠더드는 영·미식 문화와 환경에 잘 맞게 발달해온 모델로 통상 앵글로색슨 모델로 인식되므로 장기적으로 한국적 상황과 문제해결에 상응하는 모델의 가능성을 찾아내야 한다.
참고문헌
홍성범. 2003.『동북아 R&D 허브와 중국』.과학기술정책 연구원. 폴 케네디. 1989.「강대국의 흥망」.한국경제신문사.
김주환(2003), 동북아 경제 중심정책에 있어서의 정부간의 역할분담: 경기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동북아경제중심추진위원회(2003), 동북아경제중심실현의 기본방향, 국정과제회의자료(3차)
박세정(1996), 정부조직관리의 개혁.「한국행정연구」제5권 제2호. 한국행정연구원.
박우서(2003), 동북아경제 중심국가 건설의 정책방향, 한국행정학회 세미나.
서정환(1990). 한국행정문화의 특성에 관한 실증적 고찰.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송병락(1986), 정보화사회와 경제. 사회과학연구소편.「정보화사회」. 서울대학교출판부.
유병규(2003), 동북아경제허브를 위한 성공적 경제특구 추진전략, VIP Report. 현대경제연구원.
이창재(2002),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지화 구상 및 정책의 우선순위,「국토」, 국토연구원.
정성호(1991), 한국행정연구에 있어 문화심리적 접근의 평가.「한국행정학보」제25권 3호.
최병선(1995), 국제화와 정부역할의 재조정.「행정논총」제33권 제2호. 서울대행정대학원.
한국개발연구원(1987),「미래에의 도전-산업구조 변화와 정책대응-」.
한국은행(1993),「조사통계월보」.
Blacker, F and D, Oborne(1987). Management, Organizations and the New Technologies. F,Blacker and D,Oborne(eds.), The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Harvey, D(1989).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 An Enquiry into the Orgins of Cultural Change. Oxford, UK & Cambridge, USA: Blackwell. 구동회·박영민 역(1994).「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한울
Hirschman, A. O(1970). Exit, Voice and Loyalty: Response to Decline in Firms, Organizations and state, Oxford University Process, Oxford.
Piore, M and C. Sable(1984). The Second Industrial Divide. New York: Basic Books.
Rothwell,R and W.Zegveld(1981). Industrial Innovation and Public Policy, Greenwood Press Westport.
Robbins, Stephen. P(1990). Organization Theory: Structure Designs and Applications, 3rd ed., London: Prentice Hall International, Inc.
Smith, Merritt Roe(1994). "Technological Determinism in American Culture, Does Technology Drive History: The Dilemma of Technological Determinism eds., Leo Marx. Cambridge, MA: The MIT Press.
U. S. Department of Commerce(1998). The Emerging Digital Economy.
WEFA(1992). World Economic Outlook.
  • 가격2,9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09.23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06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