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방송정책기구의 역할 및 바람직한 운용방안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I. 방송환경의 패러다임 변화

Ⅱ. 주요 국가들의 방송관련 법제와 방송정책기구 역할
1. 독일
(1) 서설
(2) 방송 관련 법제
(3) 정책기구의 종류와 권한
2. 프랑스
3. 영국
4. 미국

Ⅲ. 우리나라 방송정책기구 현황 및 역할
1. 서설
2. 현행법상 방송위원회의 위상 및 역할
(1) 구성
(2) 권한
(3) 방송위원회의 문제점
3. 한국 방송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

Ⅳ. 결론: 바람직한 방송정책기구의 기능과 운용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는 측면에서도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관련법제의 개정은 물론 매체기본법의 제정이 선행되어야 하며, 명칭도 매체위원회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매체위원회를 미국의 FCC처럼 국회소관으로 이관하는 것이 좋으며, 위원 중 3명은 대법원장의 추천을 받아 선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위원회의 직무효율성을 위해 9인 중 1/3은 법률전문가로 구성하여야 한다.
나아가 직무상의 독립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각 기관과의 협의·합의·의견청취 등을 대폭 줄여야 한다.
한편, 디지털화를 앞두고 방송정책이 정보제공자가 아닌, 정보수용자측의 복지를 개선하기 위한 획기적인 정책이 개발·시행되어야 한다. 특히 매체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유해정보에 노출되는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어린이와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해서 각종 매체의 컨텐츠와 프로그램 등에 대한 지침(guideline)과 강령(code) 등을 마련하는 일이 시급하며, 등급표시제도 지금과 같이 형식적이고 비효율적인 방법에서 탈피하여 보다 진지하고 강제력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하는바, 그에 대하여는 EU의 방송지침과 프랑스의 통합방송법이 우리에게 상당한 시사점을 던져 주리라 생각한다. 끝으로 디지털방송시대에 있어서의 수용자복지 문제는 미국의 고어보고서(Report of Gore)를 많이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시급한 일은 급격하게 변화하는 매체환경에 부응할 수 있는 매체법(방송·통신·인쇄매체의 종합통합법)의 제정이 필요하며, 그에 걸맞는 상위개념의 매체위원회가 결성·조직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권영설 (1999), 미국헌법의 사상적 및 역사적 기초, 미국헌법연구, 제7호.
권영성 (2001), 헌법학원론, 법문사.
나미수 (2000), 영국의 방송산업과 방송법제, 세계언론법제동향, 한국언론재단.
박태순 (2000), 자유시대의 프랑스방송법제, 세계언론법제동향, 한국언론재단.
심영섭 (2000), 독일의 연방방송협정과 방송법규, 세계언론법제동향, 2000-상.
안경환 (1999), 미국혁명의 이데올로기적 기능, 헌법학연구, 제5집 제1호.
이상식 (2001), 방송통신융합과 규제기구, 급변하는 방송환경과 대응전략, 방송위원회 창립 1주년 기념세미나.
최양수 (2001), 디지털방송과 수용자복지, 급변하는 방송환경과 대응전략, 방송위원회 창립 1주년 기념세미나.
에른스트 볼프강 뵈켄회르데, 김효전 역 (1996), "기본법 제정 40주년에 따른 기본권 해석의 상태, 동아법학, 제21호.
방송위원회 (2000), 독일방송법, 방송자료 2000-2.
Benton C. (2000), Charting America's Digital Broadcasting Future.
Branscomb, A. W. (1995), Anonymity, Autonomy and Accountability,104 Y.L.J. 1639.
Carter, T. B., Franklin, M. A., Wright, J. B. (2001), The First Amendment and the Fourth Estate, 5th. ed., Foundation Press.
Cavazos, E.A. $ Morin, G. (1996), Cyberspace and the Law, the MIT Press.
Derieux, E. (1999), Droit de la Communication, 3e ed., L.G.D.J..
Dolzer D. (1995), Kommentar zum Bonner Grundgesetz.
Elliott, C. & Quinn, F. (2000), English Legal System, Longman.
Hesse, C. (1995), Gundz?e des Verfassungsrechts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20. Aufl.
Hoffmann-Riem, W., Schulz, W., Held, T. (2000), Konvergenz und Regulierung, Nomos Verlagsgesellschaft, Baden-Baden.
Jowell, J. & Oliver, Dawn, ed. (2000), The Changing Constitution, 4th ed., Oxford Uni. Press.
Lessig, L. (1996), The Path of Cyber Law, 104 Y.L.J. 1743.
Lillich, R. (1990),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3 Harvard Human Rights Law Journal.
Maunz-D?ig, Grundgesetz Kommentar, Verlag C. H. Beck.
Oxman, Jason (1999), The FCC and the Unregulation of the internet, OPP Working Paper, No. 31.
Scholz, R. (1981), Pressefreiheit und Preesserechtliche Selbstkontrolle, in Festschrift f? Theodor Maunz zum 80. Geb.
Schulz, W., Seufert, W., Holznagel, B. (1999), Digitales Fernsehen, LfR.
Slapper, Gary & Kelly, David, (2000), English Law, Cavendish Pu.
Theis, H. E. (1997), Die Multimedia Gesetz, Luchterhand.
Winn, D. B. (1995), European Community and International Media Law, Graham & Trotman/Martinus Nijhoff.
http://www.cnil.fr.
http://www.culture.gov.uk.
http://www.fcc.gov/Report/fcc21.html.
http://www.fcc.gov/Bureaus/OPP/News_Release/1999/nrop9004.html.
  • 가격2,8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9.01.28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62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