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P][전사적자원관리]ERP(전사적자원관리)의 도입배경, 특징과 ERP(전사적자원관리)의 구축기간, 구성모듈, 구축방법 및 ERP(전사적자원관리)의 기술발전 전망 분석(ERP(전사적자원관리)의 도입 사례 중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RP][전사적자원관리]ERP(전사적자원관리)의 도입배경, 특징과 ERP(전사적자원관리)의 구축기간, 구성모듈, 구축방법 및 ERP(전사적자원관리)의 기술발전 전망 분석(ERP(전사적자원관리)의 도입 사례 중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ERP(전사적자원관리)의 도입 배경

Ⅲ. ERP(전사적자원관리)의 특징
1. 다국적, 다통화, 다언어(GLOBAL 대응)
2. 통합업무시스템
3. 비지니스 프로세스 모델에 위한 리엔지니어링(BPR)의 지원
4. 원장형 통합 데이터베이스
5. 파라미터 설정에 의한 단기간의 도입과 개발
6. 오픈, 멀티벤더

Ⅳ. ERP(전사적자원관리)의 구축 기간

Ⅴ. ERP(전사적자원관리)의 구성 모듈
1. 재무관련 모듈
1) 재무회계 모듈(Financial Accounting: FI)
2) 관리회계 모듈(Controlling: CO)
3) 자금관리 모듈(Treasury: TR)
4) 고정자산관리 모듈(Asset Management: AM)
2. 물류관련 모듈
1) 영업관리 모듈(Sales & Distribution: SD)
2) 자재관리 모듈(Material Management: MM)
3) 생산관리 모듈(Production Planning: PP)
4) 품질관리(Quality Management: QM)
5) 공장관리(Plant Management: PM)
6) 프로젝트 관리(Project System: PS)
3. 기타의 모듈
1) 인사관리 모듈(Human Resources: HR)
2) 사무자동화 모듈(Office & Communication: OC)

Ⅵ. ERP(전사적자원관리)의 구축 방법
1. 분석(Analysis)
2. 설계(Design)
3. 구축(Constuction)
4. 구현(Implementation)

Ⅶ. ERP(전사적자원관리)와 경영혁신의 관계

Ⅷ. ERP(전사적자원관리)의 도입 사례
1. 회사소개
2. 대교의 직원구성
3. 지점내 조직원의 구성과 주요업무
4. 대교 ERP도입의 과정
5. ERP도입 배경의 회사 측 주장
6. ERP도입후의 업무 변화
7. 노동조합의 대응

Ⅸ. ERP(전사적자원관리)의 기술발전 전망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PDM시스템에 집중되기 시작했다. 생산을 위한 부품조달과 설계, 그리고 이를 제품에 적용시키고 유통까지 연관시키려는 PDM과 ERP는 어찌 보면 가장 비슷한 사고의 맥락에서 상호 보완하는 기능을 가진 시스템 구축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PDM기술과의 접목을 위한 세계적 ERP개발회사들의 연구개발은 대체로 ERP업체들의 자체 애플리케이션들과 타사 PDM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방식을 취하거나 직접 자사의 ERP패키지에 시스템을 내장해 이를 기반으로 한 ERP-PDM 통합연계시스템 구축을 모색하고 있다. 올 들어 1년도 안되는 짧은 기간에 주요 ERP패키지 개발사들은 고객들에게 두 가지 시스템구축 패키지를 연계하는 통일된 아키텍처를 제공할 수 있다는 매력적인 인식을 심어주기 시작했다. 한 조사보고서는 ERP업체들이 당장은 전문화된 PDM솔루션을 내놓고 있는 IBM·HP·SDRC 등의 기업들에 비해 약한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보이지만 향후 2년 안에 ERP와 PDM의 연계를 더욱 능숙하게 이뤄낼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까지 내놓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의 PDM과 ERP의 연계노력이 급진전되는 것은 디지털형태의 정보에 의한 효과적인 시스템 통합이 가능하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 때문이다. 즉 자동화 설계도구, 엔지니어링 DB, 전자적 문서공유 등을 포괄적으로 관리해 실시간 프로세스를 가능토록 하는 도구로서의 PDM기술이 중시되고 있는 것이다. 이 두 기술의 접목흐름을 해결하기 위해 SAP, 오라클 등의 업체는 인터페이스 모듈 개발에 노력을 집중하고 있으며 네덜란드 바안과 같은 회사는 지난해 PDM회사를 인수해 이 기술을 자사 ERP패키지에 흡수시키는 방법으로 이 분야에 대한 기술적 추세에 대비하고 있다. 기존 PDM시스템 구축방식은 동시병행설계(Concurrent Engineering)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ERP의 근본적인 요청과도 맞아 떨어지고 있다.
새로운 컴퓨팅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이 같은 기술적 흐름에 웹 컴퓨팅 환경과 연계된 EC 시스템과 ERP간의 연계 노력 역시 새로운 기술적 흐름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인터넷 확산에 따른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의 도래라는 전 세계적인 흐름을 반영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에서 45년 새 자연스레 받아들여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ERP업계는 프로세스의 일관화 제품정보의 효율적 관리가 시스템 구현의 핵심에 자리 잡고 있는 ERP시스템이야말로 최신 정보통신기술을 구현해 가면서 미래의 가상공간에서 EC를 지원할 수 있는 최적의 시스템이라고 보고 있다. 또 90년대 비즈니스의 특성으로 꼽히는 기업간 국제적 구매조달을 위한 협력 필요성도 꼽히고 있다.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기업간 제품조달을 위한 신속한 협력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는 것이다. 기업들도 더 이상 국지적인 상품 및 서비스의 조달체계만으로는 생존이 어렵다는 압박을 받게 됐다. 이러한 요인들은 점점 더 EC의 중요성을 강조시켜주고 있으며 국제 비즈니스에서의 필수불가결한 요소로서 등장하고 있다. ERP와 전자문서거래(EDI)·EC기술의 연계를 통해 경쟁기업의 구매·생산 및 유통기간이 더욱 짧아진다고 할 때 이를 구현하지 못하는 기업은 당연히 뒤처질 수밖에 없다. 국내외 ERP 관련업계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면서 최근 12년새 속속 인터넷기능을 갖춘 ERP솔루션을 내놓았거나 도입할 계획을 세우고 있어 향후 45년이면 이 분야에 대한 국내기업의 활용도 활성화될 전망이다. 올 초 발표된 가트너그룹의 보고서에 따르면 MRP나 ERP의 관점에서 볼 때 전체의 64%에 달하는 패키지 시장이 문제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적어도 내년부터는 문제해결에 나서야 하는 상황에서 상당수 ERP패키지 개발사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그렇지 못한 업체들도 적지 않다. IDC 등 유명 조사기관은 ERP시스템 구축에 관한한 격심해지는 기업의 자체 업무효율화 요구 및 국제적 무역환경 등에 따라 적어도 향후 수년간 연 30% 이상의 안정적이고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ERP업체들은 이러한 급변하는 컴퓨팅 기술 환경 변화와 기업 환경 변화 속에서 기업경영의 혁신방법을 둘러싼 창조적 고민을 새롭게 제품에 반영하기 위한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Ⅹ. 결론
정보시스템 시간선상에서 볼 때, ERP는 아직도 비교적 젊고, 구현(ERP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기업을 위해 ERP의 여러 모듈을 구성하는 일)에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CIO는 최종 단계에 대해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다. 그러나 부드럽게 운영되는 ERP 시스템의 약속된 땅에 도착하고 있는 정보기술 중역들은 일단 이 소프트웨어가 생명주기에 있어 가장 긴 시간, 즉 운영이란 측면에서 개선판 설치, 모듈 유지보수, 문제 해결, 플랫폼 방침 등을 위한 계획을 세우는데 있어 시기상조란 없다고 말한다. ERP 서비스 업체들은 이 새로운 잠재 시장에 대해 인식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ERP 외부위탁 시장이 미국의 경우만 연간 최대 8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시장조사 회사인 메타 그룹 사는 말한다. 따라서 아직 이런 외부위탁 업체가 접근하지 않았다면, 조만간 이들의 방문을 받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1. 남천현·곽수근(1998), ERP 연구의 현황과 회계학 연구의 방향, 한국경영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479-487
2. 오재인(1998), ERP를 통한 통합정보시스템의 구현 전략, 경영과학제15권 제2호) : 83-90
3. 유중호(2002), ERP의 품질확보를 위한 감리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서강대 대학원
4. 이상원(1997), ERP에 의한 자재재고관리 시스템 개선에 관한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경영대학원
5. 이석준(1999), 성공적인 ERP 구축을 위한 추진주체별 역할에 관한 연구, 국민대 대학원
6. 이석진(2002), ERP(Project)의 기술적 관점에서의 성공 요인 및 Task에 대한 연구 : ERP Project 도입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 경영대학원
7. 임춘성 외 4명(2000), ERP패키지 구축방법론 및 효과분석 방안연구, 국방부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4.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85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