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카 연료 절감하는 방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하이브리드카 연료 절감하는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하이브리드카의 필요성

II. 본론
1. 정의
2. 개발배경
3. 원리 및 작동방법
4. 하이브리드카의 장 · 단점
5. 하이브리드카의 종류
6. 하이브리드 시스템
7. 연비 향상의 원리
8. 연비 향상의 실제
9. 연료 절감 방법

III. 결론
1. 하이브리드카 기술개발 동향
2. 하이브리드카 개발을 위한 개선과제
3. 하이브리카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닫고 배기가스를 배기관 둘레에 설치된 열교환기에 유도하여 엔진냉각수와 열교환을 한다.
4) 배기열 회수기의 효과
외기온도 5℃, 상온시동, 난방작동 조건에서 배기열 회수유무에 따라 시내 주행할 때 온도추이를 비교하면, 출발에서 500초 후, 배기열 회수기 장착에 의해 엔진냉각수 온도로 약 10℃, 히터 방열 온도 약 7℃의 효과가 있고, 엔진워밍업과 히터의 즉효성능이 향상되었다.
외기온도 5℃, 상온시동, 난방작동 조건에서 배기열 회수유무에 따라 시내 주행할 때 연비효과에서 배기열 회수기 장착에 의해 엔진 냉각수온이 빠르게 올라 엔진워밍업과 히터의 즉효성능이 향상되므로 엔진 정지의 타이밍을 앞당길 수 있게 되었다. 이때 연비효과는 8%이었다.
III. 결론
1. 하이브리드카 기술개발 동향
’08년 전 세계 하이브리드카는 약 51만 2,000대로 ’07년 대비 2.3% 증가했으며, 세계적인 자동차 판매 감소를 고려하면 선전한 것이다. 미국시장에서 세계시장의 61%인 31만 3,000대가 판매되었고, 일본은 9만 4,000대로 ’07년 대비 36.6% 증가되어 내수시장 확대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
도요타는 하이브리드카의 대표기업으로 ’07년 세계시장의 86%, 미국시장의 86%를 점유하여 ’08년 6월까지 총 150만대를 판매하였다. 하이브리드카의 주요 기술에 대한 다수의 특허로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였고, ’09년에 3세대 프리우스를 60만대, ’10년에는 100만대 판매할 계획이다. ’06년 렉서스 GS 450h, 캠리 하이브리드, 프리미엄 모델인 LS 600h 등 기존 자동차 모델의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분야 2위인 혼다는 ’10년 세계 판매 50만대를 목표하고 있으며, ’09년에 2세대 인사이트(Insight)를 출시하여 도요타와 치열한 경쟁으로 하이브리드차 보급 확대가 전망된다. ’10년에 소형 하이브리드 스포츠카, FIT 하이브리드를 시장에 투입할 예정이다. 혼다 2세대 인사이트는 189만엔 판매가격에 연비가 30km/ℓ이며, 도요타 3세대 프리우스는 가격 205만엔에 연비 38km/ℓ로 서로 경쟁중이다.
GM은 ’06년 시보레 말리부 등 3종, ’07년 타호 등 2종을 출시하였으며, 포드는 ’09년 퓨전(Fusion), 밀란(Milan) 하이브리드를 출시하고, 이스케이프, 마리너 하이브리드 생산량을 확대 예정이다. 포드 퓨전은 연비가 41mpg9)로 도요타 캠리 하이브리드보다 8mpg가 높다.
르노-닛산은 독자 개발한 하이브리드차를 출시할 계획이며, ’08년 파리 모터쇼에서 디젤 하이브리드 컨셉카 Ondelios를 발표했다.
유럽 업체인 푸조, 볼보, 다임러 등은 가솔린 대비 우수한 연비 때문에 디젤 하이브리드 개발에 보다 주력했다. 푸조는 ’11년에 308과 C4 하이브리드카 출시 계획이며, CO2 규제 대응을 위해 고급차 및 SUV에 디젤 하이브리드를 탑재할 계획이다. 볼보는 ’12년 디젤 하이브리드카 출시 예정이고, 다임러는 ’09년에 가솔린 하이브리드카를 출시하고, ’10년 이후부터는 디젤 하이브리드차를 출시 예정이다. MIT 발표에 의하면 디젤 하이브리드는 가솔린 하이브리드에 비해 비용이 높으나 10% 이상 우수한 연비로 인해 향후 보급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2. 하이브리드카 개발을 위한 개선과제
국내 하이브리드카는 강점보다는 약점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나, 그린카 시장이 성숙되기 전이어서 기회요인이 많은 것이 희망적으로 보인다. 그린카 산업은 높은 개발비용, 투자 리스크, 국민경제 파급효과 등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산업이다. 하이브리드카의 강점으로는 우수한 내연기관 및 배터리 기술 등이며, 약점으로는 열세인 전장 및 재료기술과 정부의 투자 부족, 부품업체의 기술 열세 등이 분석된다. 기회요인으로는 고유가 및 환경을 중시하는 사회분위기와 고학력 인적 자원이 풍부하며 세계시장의 그린카 시장 확대 및 진출 가능성이 크다는 점과 위험요인은 선진국의 기술 장벽 및 높은 개발 비용 및 시장의 불확실성 등이 존재한다.
3. 하이브리드카 전망
현재의 하이브리드 관련 기술은 엔진, 모터 배터리의 동력원 용량 매칭을 포함한 각 구성 요소들의 조합을 최적화, 최적화된 주행제어 전략으로 기존의 내연기관과 비교해 연료소비와 배기가스 저감의 목적 달성을 위해 개발되고 있다. 미래의 고유가 시대와 점점 심화되는 배기가스 규제에 대비해 순수 연료 전지자동차 및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자동차와 같은 대체 기술 개발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참고 문헌>
http://blog.naver.com/bemylove0609?Redirect=Log&logNo=110050299795
http://carlog.enclean.com/main/log.do?clgId=27&logId=1240
http://www.aboutcar.co.kr/1119
http://ko.wikipedia.org/wiki/%ED%9A%8C%EC%83%9D_%EC%A0%9C%EB%8F%99 위키백과
[뉴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010534 http://stock.mt.co.kr/view/mtview.php?no=2009062414383856347&type=1
http://www.hankyung.com/board/view.php?id=cartech119&no=66&ch=auto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3&aid=0002300750&
[PDF문서]
첨단기술정보분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유철로 논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제어”
모니터링분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송희국 논문 “연비향상을 위한 배기열 재순환”
자동차경제(잡지) 집중분석 “자동차 연비 규제 강화와 하이브리드차 경쟁”
FKT 전략산업리포트 “자동차산업의 미래 : 그린카 현황 및 전망”
[PPT]
하이브리드자동차에 대해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12.11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64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