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시설보호의 개념(정의)과 경향, 보호시설의 목적, 보호의 원리, 유형, 특성(장단점)과 문제점 및 방안(과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시설보호의 개념(정의)과 경향, 보호시설의 목적, 보호의 원리, 유형, 특성(장단점)과 문제점 및 방안(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아동시설보호의 개념과 경향

2. 시설보호의 목적과 보호의 원리

1) 시설보호의 목적
2) 시설보호의 원리

3. 시설보호의 유형

4. 시설보호의 특성

1) 시설보호의 장점
2) 시설보호의 단점
3) 시설보호가 필요한 아동

5. 외국의 아동시설보호

1) 영국의 아동시설보호
2) 미국의 아동시설보호
3) 일본의 아동시설보호

6. 시설보호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1) 시설의 기능화와 현대화
2) 시설의 보부모제도 도입
3) 가족보존사업의 강화
4) 시설보호의 전문화 및 정상화
5) 퇴소 후 적응을 위한 지원 확대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보호시설은 그 역사가 오래된 만큼 시설의 노후도 심각하다. 과거의 대
규모 집단 수용하던 시대에는 숙식, 보호가 주목적이었다. 그러한 용도로 지어진 시설로 현
대사회의 다양한 아동의 욕구를 충족시키기는 역부족이다. 많은 시설들이 부분적으로 기능
보강을 하였지만 대부분이 노후되고 기능적이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아동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아동의 사생활을 최대한 보장하는 현대화된 숙소의 구조가 필요하다.
그리고 기능적 휴게시설, 프로그램실, 학습실, 컴퓨터실, 놀이시설을 갖추어 시설이 단순한
수용보호에서 벗어나 아동의 창조력과 잠재력을 개발할 뿐만 아니라 여가시설로서의 기능도
갖추어야 한다. 또한 보호 대상 아동이 절대적으로 감소했으며 시설보호의 방향이 소규모화
로 나아가고 있으므로 시설의 규모를 소숙사 형태로 변경하고 또한 공동생활가정제도를 활
성화시켜 아동에게 최대한 가정적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2)시설의 보부모제도 도입
시설보호는 소숙사제도를 지향하고 있는 것은 전세계적으로 공통적 시설보호서비스의
방향이다. 기존 시설보호에서는 어머니의 역할을 담당하는 보모가 있어 아동의 양육을 담
당하고 있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시설에서 아동과 함께 보내야 하므로 개인 생활
의 제약을 많이 받고 있다. 그러다 보니 자연히 독신 여성이 보모 일을 하게 되었다. 아동
은 가정생활을 통해 부모의 역할 모델을 배우게 되고 가족 속에서의 자신의 역할 정체성도
갖게 되는데 시설보호아동에게는 이런 기회가주어지지 않는다. 그리하여 성인이 된 후 역
할 혼란으로 인하여 가정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으므로 소숙사제도에 일반적 결혼
생활을 영위하는 부부를 보부모로 둔다면 부모 역할자의 양육 아래 가족의 역동성을 경험
하고 역할 모델을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3) 가족보존사업의 강화
시설보호는 가정이 아동의 양육 기능을 상실했을 때 요하는 대리양육제도이다. 아동에게
는 무엇보다도 가정에서의 양육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동을 원가족으로 분리하여 시설에
입소시키기 전에 최대한 예방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족상담서비스를 확대
하여 문제가 있는 가정이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차선책으로 아동을 원가족으
로부터 분리하여 시설보호를 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지속적 가족상담을 실시하고 가정이 아
동보호 기능을 회복하여 아동과 가족이 재결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시설보호가 영
구보호가 되어 가정해체를 공고히 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4) 시설보호의 전문화 및 정상화
현대사회의 시설보호는 기존의 숙식보호와 수용의 형태에서 벗어나 아동의 욕구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시설에 입소하는 아
동은 과거와 같이 부모가 없는 단순 고아가 아니고 여러 가지 가정의 문제로 인해 정서적
상처를 입고 입소하는 경우와 아동이 가진 문제로 인하여 가정양육이 불가능한 경우가 대
부분이다. 이러한 아동의 건전한 성장과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욕구에 맞게 다
양하게 분화되고 치료 전문성을 띤 시설로의 변화가 요구된다. 아동의 복지 측면에서는 프
로그램 운영비가 비교적 소액으로 시설 설비비에 비해 크나큰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리고 더 이상 시설병이라는 폐쇄성이 시설보호아동에게 있어서는 안 된다. 아동이 정
상인으로서 사회통합을 이루려면 시설을 개방하고 시설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역사회와
공유하면서 지역사회의 핵심적 복지자원이 되어야 한다. 다음의 사례는 아동양육시설에서
시설의 정상화와 지역사회통합화를 위해 공동모금회의 지원을 받아 실시한 지역사회의 아
동과 시설보호아동이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5) 퇴소 후 적응을 위한 지원 확대
시설보호아동의 회소 후에 겪는 어려움 중에 많은 부분이 취업과 자립 그리고 대인관계
의 어려움 등이다. 아동의 자립을 위한 장기적 계획은 아동이 고등학생이 되는 만 16세가
되기 전에 시작하여야 하며 자립을 위한 과정은 빠르면 빠를수록 그 결과는 효과적이다(배
태순,1996;공계순,2003계인용). 아동의 자립과 관련된 취업 준비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기업 및 관공서와 연계하여 실질적 취업 준비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그리고 희소아동을 위
한 자립지원시설이 각 시 도 1개소 이상씩 있지만 운영 내용이 빈약하고 시설이 취약하여
활용도가 저조하다. 자립지원시설의 지원을 확대하여 활성화시키거나 정책의 대폭적 수용
이 요구된다. 또한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자립지원금의 현실화가 필요하다.
신혜령(2001)과 신은주(1995)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시설 입소 아동의 부모의석 관계 및
배치 횟수가 퇴소 후 자립과 영향이 있으므로 퇴소할 때까지 부모와의 연계를 계속하고 사
회적 적응을 위해서는 자신의 일상생활을 관리하고 대인관계를 유지하는 자기관리기술에
대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다음에 제시한 프로그램은 시설 퇴소를 앞둔 시설보호 청소년
의 자립 능력 향상을 위한 것이다.
Ⅲ. 참고문헌
-구자헌. 1968. “아동복지”. 서울: 한국사회복지연구소.
-구자헌. 1991. “한국사회복지사”. 서울 : 홍익재.
-김만두,한혜경. 1998. “현대사회복지개론”. 서울 : 홍익재.
-박정란,서홍란. 2001. \'\'아동복지론“. 서울: 양서원.
-표갑수. 2000. “아동 청소년 복지론”. 서울: 나남출판사.
-하상락. 1989. “한국사회복지사”. 서울: 박영사.
-Kadushin, A. 1980, Child Welfare Services(3rd ed.). New York : Macmillan Publishing Co., Inc.
-Downs, 8. W. et al. 1996. Child Welfare and Family Services policies and practice(5fh ed.). Longman USA.
-Pecora, Peter, James Whittaker, Anthony Maluccio, & Richard Barth. 2002. The Child Welfare Challenge :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N.Y. : Aldine de Gruyter.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 가격3,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03.09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48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