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국 국제항로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군산-대중국 국제여객선 운항 연혁

2. 주요 운항 선박 및 운항 경과

3. 군산 - 청도간 국제 여객선 운항 현황

4. 한일, 한중 여객선 운항 현황

5. 대중국 국제여객선 활성화의 과제 및 전망

[자료 1] 국제항로 운영지원 제안 관련 자료

[자료 2] 목포의 중국 상하이 뱃길 재개 노력

[자료 3] 해상여행의 제형태와 크루즈사업

본문내용

여 여행할 수 있으며 경관이 아름다운 섬들은 순회하며 섬에 있는 호텔에서 숙식을 하고 주요 활동으로는 해변일주, 수상스키, 낚시 등을 즐길 수 있다.
(3) 파티 유람선(Party Cruise) : 일종의 전세 선박으로 각 단체의 요구사항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되며 소형선박은 50-70명, 중형선박은 100-150명, 대형인 경우에는 500-600이상의 인원까지 탑승.
(4) 레스토랑 유람선(Restaurant Cruise) : 점심 또는 저녁식사를 주로 하는 가족 친구 등의 만남의 시간을 마련하는 것으로 음악, 영화 등이 곁들여 있다. 파티유람선과 비슷한 점이 있으나 단체 등에 의한 전세형식이 아니라 유람선이 계획한 항로, 서비스 등 프로그램에 따라 개인적으로 표를 사서 타게되는 점이 다르다. 실제 운영에 있어서는 하나의 유람선이 파티유람형과 레스토랑 유람형을 겸용하는 것이 일반적
(5) 장거리 유람선(Leisure Cruise) : 대형선박을 보유한 유람관광 회사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선상쇼핑, 각종 파티의 매력 등으로 그 이용객이 많아 미국 및 유럽 전역과 중남미 등의 선진국에서 상당히 호황을 누리고 있는데 주된 매력으로 빙하, 유빙, 자연생태와 내륙 및 해안선 등의 경관감상 등을 들 수 있다.
(6) 외항유람선(Ocean Cruise) : 대서양과 같은 대양을 건너는 외항 여객선이 오랜 항해기간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마련한 오락시설과 행사, 이벤트 등이 발전하여 선상활동과 중간 기착지의 풍물 관광을 주목적으로 운항하는 관광유람선. 세계적인 호화 크루즈선들은 모두 이 유형에 속함
5. 크루즈사업의 발전요인
1) 새로운 상품개발에 의한 적극적인 고객유치로 이용 대중화 실현
2) 크루즈 여행 일수의 다양화
3) 포괄여행상품으로의 판매
4) 쾌적성, 안락성 향상을 도모한 선박건조 기술의 발달
5) 고객욕구 만족도 제고를 위한 시설확대
6) 계절에 맞추어 세계각국의 유명관광지를 순항하는 부정기적인 유람선의 운영으로 가동률을 높여 채산성을 크게 제고시키는 한편, 이용의 변화를 도모
7) 특별한 목적이나 주제별 크루즈여행의 형성
(theme cruise/special interest cruise)
6. 크루즈사업의 현황과 전망
1) 현재 세계의 크루즈 산업의 규모는 연간 120억 달러이며 이중 세계시장의 약 54%인 65억 달러의 규모가 미국 내에서 발생
2) 걸프전 이후 성장률이 다소 둔화되긴 했으나 매년 10%이상의 고속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산업의 고용기회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어 직접 고용인원으로 선원 5만 명과 각 도시의 사무직원 만이천명 정도가 크루즈 산업에 관련된 선박대리점, 조선사, 전기, 기계, 식음료 공급업체 등임 있다.
3) 크루즈산업은 선박이 기항하는 세계의 항구도시의 항공사, 철도, 내륙 운송업계, 숙박업계 및 관광지 등의 관광관련업계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
4) 크루즈 여행의 주요항해 지역으로는 바하마 인근해, 카리브해, 미국 캐나다의 서부해안, 지중해, 멕시코인근해, 알래스카 인근해, 발트해, 남미국가의 북부해안지역, 동남아시아 등을 들 수 있으나 세계적으로 카리브해와 지중해가 중심권역이 되고 있는 실정임
5) 최근에는 그 외에도 남태평양의섬 극동아시아 지역, 남미국가 및 동부, 서부의 프리카지역이 새로운 크루즈지역으로 개발되고 있음. 이러한 크루즈 산업은 현재 미국, 유럽의 기업 혹은 다국적기업들에 의해 선도되고 있는 실정임
6) 아시아지역의 크루즈 사업의 현황을 보면 1980년대말에 들어서면서 아시아 지역을 항해하는 서구의 크루즈 선박이 증가하였으나 미스비시중공업에 의해 건조된 크리스탈(Crystl Harmony : 49.400grt)호등 소수의 일본선박을 제외한 대부분의 승객이 서구인으로 마케팅활동은 주로 서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음
7) 그러나 최근에는 싱가폴과 홍콩 등 입출항 시설 및 각종절차가 편리한 아시아의 국제적인 항구를 중심으로 스타 아쿠아리스(Star Aquarius호 : 40.000grt)호 및 스타 피스(Star Pisces : 40.000grt)호등 아시아지역 국가 소유의 선박이 등장하면서 아시아 지역에서도 서구의 승객을 위한 서비스로 구성된 크루즈상품이 아닌 아시아인을 위해 설계된 크루즈상품의 판매 및 각종 마케팅 활동이 진행되고 있음
8) 또한 아시아국가 소유의 크루즈선박뿐 아니라, 1994년 후반에 들어서면서 로얄 캐리비언 및 시번 크루즈 라인(Seabourn curise line)등 서구의 대형선사들도 자사소유선박의 아시아 지역의 영구적 혹은 단기적인 운항계획을 발표하였는데 이러한 동향은 서구의 크루즈선사들이 향후 짧은 기간내에 아시아지역에 크루즈상품의 시장노출을 위한 기초활동으로 이해되어짐
9) 일본을 시작으로 아시아 지역에 생성되기 시작한 크루즈선박의 출현은 아시아 지역국가의 여행시장에 새로운 여행시장에서 새로운 여행형태의 하나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지며, 우리나라에서도 국민의 여가 활동시간의 증가와 함께 시장도입기의 신상품 선도집단에 의하여 구매가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됨
10) 그리고 홍콩과 싱가폴을 중심으로 3, 4, 5박의 크루즈업이 성행하고 있고 중국에서는 도박 전용선(Gambling Shop)을 만들어 도박만을 위한 선박을 만들어 운행하고 있지만 싱가폴과 우리나라는 입항을 금지
11) 현대그룹은 카니발사와 합작하여 이미 크루즈사를 설립하려다가 현재는 독자적으로 임대선박을 이용하여 금강산 노선에서 크루즈사업을 실시
12) 삼성그룹은 이미 크루즈를 구입하였으나 우리나라의 홍보미흡으로 현재 호주에서 운행되고 있는 실정
13) 한라중공업도 크루즈 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노력중
14) 크루즈에 대한 선입견을 바꾸는데에는 보통의 홍보비로는 어렵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우 시장의 포커스는 노년층을 겨냥하고 있음
15) 현대그룹이 출시예정인 상품은 40만원대의 4박 5일, 일본과 대만을 경유하면서 마켓시장을 30-40대에 겨냥.
16) 하지만 잠재수요들이 실제 구매수요를 나타내면서 시장이 넓게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고, 업계에서는 약 5년 후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일반화 뒬 것으로 추측
  • 가격3,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11.04.18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81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