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포맷 비즈니스의 현황과 문제점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 제기

2. 프로그램 포맷의 정의와 가능성

3. 국내 프로그램 포맷 비즈니스 현황

4. 국내 프로그램 포맷 비즈니스의 특징과 문제점

5.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전개함으로써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뉴미디어의 확산과 도입이 다른 어떤 나라보다 빠른 국내 미디어 시장의 특성을 감안하여, 뉴미디어에 적용될 수 있는 상호작용적인 프로그램 포맷의 개발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면 한다.
이미 국내에는 휴대폰이나 DMB, IPTV 등 새로운 매체에서 새로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포맷의 적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짧은 시간동안 수용이 가능한 포맷, 이동하면서 수용하기에 적절한 포맷, 작은 화면을 통해서 수용하기에 포맷, 상호작용성의 장점을 극대화한 포맷 등 이미 적용된 새로운 콘텐츠 포맷도 다수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들 가운에 그 가능성이 발견된 포맷 사례를 선정하고, 이들에 대한 포맷화를 시도해볼 것을 제안한다. 뉴미디어의 도입과 확산이 우리나라보다 뒤진 국가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뉴미디어 포맷을 판매한다면, 높은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좀 더 먼 미래를 바라보고 기획되는 이러한 투자들은 장기적으로 국내 프로그램 포맷 시장의 수출 확대에 중요한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7) 대상국 관리
프로그램 콘텐츠는 일반적으로 시장규모가 큰 국가에서 작은 국가로 유통되는 속성을 갖는다. 일반적인 프로그램 유통에서와 마찬가지로 국내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포맷은 미국이나 유럽보다는 동남아권에서 더 많이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류 열풍과 맞물려서 이러한 프로그램 포맷 판매 대상국을 지속적으로 잘 관리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일본, 중국, 대만, 필리핀, 베트남 등의 국가들과 그 밖의 가능성 있는 국가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할 수 있다. 또 하나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는 중국과 같이 불법 모방의 무법지대에서도 국내 프로그램 포맷이 권리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관리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국내의 프로그램들이 중국 등에서 불법 도용되는 사례가 다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로그램 포맷 권리에 대한 상대국의 인식을 전화시키고 제도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앞서 언급했듯이 프로그램 포맷 자체의 상품 가치를 높이는데 더욱 주력하여 동남아권 국가들의 판매 욕구를 높이려는 노력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8) 포맷 권리 보호
프로그램 포맷 거래를 활성화하고 방송사가 포맷 판매를 통해서 추가 이익을 거둘 수 있는 시장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법적 제도적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프로그램 포맷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며, 특히 어디부터 어디까지를 아이디어로 볼 것이며 어떤 내용이 담겨 있을 때 구체적인 방식과 노하우로 보고 보호할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법적 제도적 정비가 선행될 때 미디어 기업들은 좀 더 안정적인 환경에서 프로그램 포맷 개발에 투자를 할 수 있을 것이다.
9) 제휴 및 공동 개발 활성화
국내 기업이 프로그램 포맷의 개발과 유통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해외의 전문 기업과 제휴하거나 공동 개발을 활성화하여 구체적인 노하우를 배우고 전수받는 것도 바람직한 전략이다. 제휴를 통해서는 파견 근무 등을 통해 국내 전문 인력을 육성할 수 있으며, 해외 유수 기업에게 국내에서 크게 성공한 프로그램의 공동 포맷화를 제안하여 구체적인 포맷 개발 및 유통의 노하우를 전수할 수 있을 것이다. 어느 한 기업에게만 이익이 간다면 제휴나 공동 개발이 쉽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포맷 관련 지식을 전수받는 대신 상대 기업에게 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깊이 고민하고 적극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프로그램 포맷 시장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해 보았다. 어떤 제안은 매우 구체적인 수준에서 방송사가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인지에 관한 것이며, 또 다른 제안은 좀 더 거시적인 차원에서 정책 당국이 함께 노력해야할 내용이다. 또한 이들 제언들은 프로그램 포맷 시장의 미래가 불투명하며 관련 연구나 자료가 매우 미흡한 상황에서 제시된 아이디어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더 많은 논의와 검증이 요구된다. 향후 이에 대한 분석과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져서, 정책 대안과 방송사의 전략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제안이 제시되고 논의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방송위원회 (2004).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설정 기준에 관한 연구.
배진아 (2005). 국내 프로그램 포맷 시장 현황. 방송문화 2005년 5월호.
안종배 (2005). 디지털방송시대 프로그램의 포맷. 방송문화 2005년 5월호.
정용준 (2003). 떠오르는 아시아의 프로그램 포맷시장. 방송문화 2003년 1월호.
하윤금 (2005). 왜 프로그램 포맷을 이야기 하는가. 방송문화 2005년 5월호.
김형준 (2008). 커피프린스1호점주인들, 스타벅스 본점을 방문하다. KBI웹진 2008. 4. 1.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1998). 일본 영상 소프트웨어 해외서 호평. 동향과 분석 통권 66호.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6). Format 연구 보고서.
이만제 (2006). 뉴미디어 콘텐츠 포맷 연구. KBI 연구보고서 2006-17.
은혜정 (2008). 세계 방송포맷개발 현황 및 향후 발전방안. KBI 포커스 08-06(통권 48호).
윤재식 (2007). 2007 상반기 한류 현황 분석. KBI 포커스 07-13(통권 32호).
홍원식, 성영준 (2007). 방송 콘텐츠 포맷 유통에 관한 탐색적 연구: 포맷 유통 실무진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19(2), 151-179.
Huang, J. (2005). How do formats tralvel and which ones tralvel best?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n program format, Seoul, November 17.
Moran, A. (1998). Copycat TV: Globalisation, program formatsand cultural identity. Bedfordshire, UK: Univ. of Luton Press.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1.04.18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81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