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시에서 본 윤리학(불교중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시에서 본 윤리학(불교중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현대사회와 윤리적 문제
① 윤리의 장 ‘가족’의 붕괴 (미자와 손자의 관계)
② 타인과의 관계 상실 (미자와 간병받는 할아버지의 관계)
③ 자기 상실의 문제
Ⅲ. 문제의 본질
① 불이(不二)사상
② 공(空) 사상
Ⅳ. 문제의 해결
Ⅴ. 결론

본문내용

회의 문제의 본질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한 불이, 연기, 공 사상은 인간에게 선한 가치관을 형성시켜주고, 그에 따라 긍정적인 세계관을 갖게 해줄 것이다.
영화 마지막 부분에 미자가 자작한 시를 보면서 이 부분에서 깊은 감명을 받았고, 우리가 도덕, 윤리라고 부르는 것이 이것들이 아닐까 싶다.
나는 당신을 축복합니다.
검은 강물을 건너기전에
내영혼의 마지막 숨을 다해
나는 꿈꾸기 시작합니다.
이 것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결국 도덕은 나와 당신을 포괄한 우리의 개념에 적용되는 가치이다. 죽음(검은 강물)에 임박하여서도 나는 꿈을 꿀 것이며, 그 꿈이 당신을 축복하는 꿈이라는 것. 가슴 뭉클한 구절이다. 이 사회에서 가장 빛나는 것은 돈도, 명예도, 화려한 차나 가방도 아니다. 이 것은 일시적인 것, 즉 공(空)한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 사람들은 그러하지 못하다. 마치 이러한 가치들이 최고 선 인 양 우리 모두에게 이러한 가치를 지녀야 행복한 인생임을 강요한다. 결국 우리는 오히려 윤리성을 망각하고, 그 본질에 어긋나는 행동을 보이며 진실로부터 도망치려고만 한다. 마치 그러한 인간의 욕심이 ‘어쩔 수 없는 존재’인 마냥 미화되어 버린다. 하지만 현재 존재하기 때문에 그것이 있어야 할 당위는 없다. 다만 그러한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 어려울 뿐이다. 하지만 우리는 불교의 法을 알고 있다. 무엇이 진정한 선이며, 그것이 지금까지와는 다른 긍정적인 가치관을 갖게 해주리라 확신한다. 인간의 삶에서의 선과 행복이 무엇인지, 그리고 행복에 도달할 수 있는 윤리적임이 무엇인지를 재성찰하고 자각할 필요가 있고 하겠다.

키워드

영화시,   윤리,   불교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6.18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49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