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질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8.일축압축(Uniaxial Compression)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의 목적

2. 실험 장치 및 기구

3. 실험의 절차

4. 실험 결과 및 실험 데이터

5. 실험 결과 및 토의**

본문내용

13317.96
6
1858.32
8.89
6.18
0.86
21.55
17
8.5
43
13317.96
6.2
1920.26
9.44
6.14
0.89
21.68
18
9
43
13317.96
6.5
2013.18
10.00
6.10
0.92
21.82
19
9.5
43
13317.96
7
2168.04
10.56
6.07
0.99
21.95
20
10
42
13008.24
7
2168.04
11.11
5.89
0.98
22.09
21
10.5
41
12698.52
7.3
2260.96
11.67
5.71
1.02
22.23
22
11
41
12698.52
7.5
2322.90
12.22
5.68
1.04
22.37
23
11.5
40
12388.80
12.78
5.50
22.51
24
12
39
12079.08
13.33
5.33
22.66
- 응력 변형율 곡선
강도(t/m2) qu 6.59 qu' 1.04 예민비(St) 6.33
변형계수(E50) 4.7 t/m2 파괴면각(θ) 30.96°
강도정수 φ 10°(deg.), c 3.295 t/m2
파랑- 자연시료, 빨강- 재성형시료
5. 실험 결과 및 토의**
점토의 분류
일축압축강도[kN/m2]
일축압축강도[t/m2]
매우 연약
< 24
c < 2.45
연 약
24 ~ 48
2.45 ~ 4.89
중 간
48 ~ 96
4.89 ~ 9.79
강 함
96 ~ 192
9.79 ~ 19.57
매우 강함
192 ~ 383
19.57 ~ 39.04
딱딱한 점토
> 383
> 39.04
1) 이번 시험에선 일축압축강도와 그에 따른 cu를 구할 수 있었고 이를 이용하여 변형계수 E50도 구해보았다.
2) 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 값을 정리해 보자면 비교란 시료의 압축강도가 6.59로 교란시료의 압축강도 1.04 보다 6.33 배 크게 측정되었으며, 이러한 강도의 비를 예민비 St 라 부른다. 압축강도의 크기가 6.59 의 값을 갖는다는 것은 이 토질이 점토의 분류에서 중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파괴면의 각은 31 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다.
3) 앞의 배경지식부분의 불교란 시료와 재형성 시료의 일축압축강도시험 결과 그래프를 보면 비교란 시료는 응력-변형률 그래프에서 뚜렷한 첨두 강도가 나타난다. 그렇지만 우리의 시료는 첨두 강도가 뚜렷하지 못한 형태를 보인다. 시료 채취과정 또는 시료 운반 과정에서 교란이 상당히 되었거나 부정확한 실험으로 인한 결과라 생각되고 이러한 점이 이론에서 보인 첨두 강도를 보이는 그래프와의 오차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4) 실험 결과, 전단저항각이에 가깝고 균열이 없으며 거의 포화된 점성토에서 적당한 값을 얻을 수 있다. 일축압축시험은 실제 현장조건과 부합하지는 않지만, 시험방법이 간단하고 결과를 빨리 알 수 있는 장점이 있기때문에. 이 시험으로 얻은 전단강도는 사면이나 시공직후의 하부구조물의 안정계산이나 비배수 조건으로 기초의 지지력을 계산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 가격1,1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8.20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67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