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강의 자료 매체관련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온라인 강의 자료 매체관련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노출매체 결정의 의미
2.매체 유형의 선택
2.1TV의 장단점
2.2라디오의 장단점
2.3신문의 장단점
2.4잡지의 장단점
2.5옥외매체의 장단점
2.6교통매체의 장단점
2.7DM의 장단점
2.8인터넷의 장단점

3.매체 믹스
3.1상표재인형(brand recognition)
3.2상표상기형(brand recall)
3.3저관여/정보제공형(low involvement/informational)
3.4저관여/감정이입형(low involvement/transformational)
3.5고관여/정보제공형(high involvement/informational)
3.6고관여/감정이입형(high involvement/transformational)

4.매체 비히클의 선정
4.1효율성(efficiency)과 효과(effectiveness)
4.2정성적 기준과 기타 요인

5.매체별 광고주목도
5.1잡지
5.2신문
5.3TV
5.4라디오

본문내용

100
27.5
100
7단
50.8
171
22.7
89
25.7
98
27.2
99
8단
51.0
172
33.1
130
34.1
131
33.7
123
10단
59.0
199
48.2
189
36.1
138
37.9
138
15단
58.6
197
47.8
187
45.9
176
47.1
171
양면
57.1
192
55.8
219
58.7
225
56.3
205
변형
광고
9단 21
50.3
169
39.1
153
35.0
134
34.0
124
15단 1/2
60.0
202
31.1
122
29.6
113
28.7
104
합 계
44.2
34.4
33.9
34.8
주목지수base : 해당 타겟의 정규광고 5단 기준
⑪ 신문 종류별 크기별 광고 주목효과
광고
구분
크기
일간지
경제지
스포츠지
광고접촉률
(%)
주목
지수
광고접촉률
(%)
주목
지수
광고접촉률
(%)
주목
지수
정규
광고
5단
25.2
100
25.7
100
31.5
100
7단
21.2
83
27.3
106
49.7
158
8단
32.4
127
28.9
113
50.1
159
10단
36.6
143
37.6
146
54.2
172
15단
45.4
178
43.5
169
57.2
181
양면
56.7
222
60.0
233
58.6
186
변형
광고
9단 21
33.4
131
33.8
131
50.6
160
15단 1/2
26.5
104
35.9
140
48.8
155
합 계
33.0
30.3
44.5
주목지수base : 해당 신문 종류의 정규광고 5단 기준
⑫ 성별 색상별 광고 주목효과
색상
남자
여자
전체
광고접촉률
(%)
주목
지수
광고접촉률
(%)
주목
지수
광고접촉률
(%)
주목
지수
흑백
23
100
28
100
26
100
컬러
38
165
45
160
41
170
주목지수base : 해당 타겟의 흑백 기준
⑬ 성별 본지섹션 면별 광고 주목효과
게재면
남자
여자
전체
광고접촉률
(%)
주목
지수
광고접촉률
(%)
주목
지수
광고접촉률
(%)
주목
지수
본지1면
41
131
48
126
44
128
본지내면
31
100
38
100
35
100
본지백면
46
149
51
135
49
141
섹션1면
30
96
37
97
33
96
섹션내면
25
80
29
76
27
78
섹션백면
38
123
44
115
41
119
주목지수base : 해당 타겟의 본지내면 기준
한편, LG전자도 1996년 4월에 서울지역 125명을 대상으로 신문광고의 주목률을 조사한 바 있는데 그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⑭ 색도별 크기별 상기도
구 분
C/L
B/W
비보조상기도
총상기도
비보조상기도
총상기도
면구분
전면광고
22.0
61.2
13.0
41.3
부분광고
13.4
41.8
9.2
34.2
면크기
8단
14.6
44.5
14.2
43.1
5단
13.5
41.3
7.7
30.7
평 균
20.0
49.3
9.8
35.3
⑮ 크기별 상기도
구 분
비보조상기도
총상기도
면구분
전면광고
22.0
51.6
부분광고
10.2
36.0
크 기
5단
8.9
33.0
7단
8.9
43.0
8단
14.3
43.5
10단
10.0
36.7
전면
22.0
51.6
위 치
뒷면
전 체
35.8
60.2
본지뒷면
42.2
67.2
별지뒷면
28.9
52.9
앞면
전 체
22.4
52.0
본지앞면
32.8
61.6
별지앞면
11.6
42.1
내지
1~8면
12.6
40.8
9~16면
15.2
42.0
17~24면
14.8
43.9
25~32면
12.1
39.9
33~40면
9.5
34.4
41~48면
14.1
37.4
본지와 별지간 상기도
구 분
비보조상기도
총상기도
전 체
본지광고
15.5
47.5
별지광고
9.9
37.0
C/L
본지광고
23.5
56.8
별지광고
15.4
44.1
B/W
본지광고
11.8
43.2
별지광고
7.5
35.2
전면광고
본지광고
25.6
60.0
별지광고
16.3
31.7
부분광고
본지광고
12.1
24.0
별지광고
8.3
24.3
외 지
본지광고
30.6
61.9
별지광고
20.2
47.5
내 지
본지광고
14.4
46.2
별지광고
7.3
35.4
5.3TV
우리나라에서는 TV광고의 주목도에 대한 연구결과가 아직 공개된 바 없고 다만 잡지광고 주목률지수에서 인용한 Leo Burnett사의 동일 자료에서는 TV부문의 상기도 지수(recall index)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① 시급기준
프라임 타임(Prime time)117
심야 변두리 시급(Late fringe)99
프라임 전후 시급(Prime access)97
낮 시간대(Daytime)92
아침 변두리 시급(Early fringe)54
② CM의 길이 기준
60초80
30초75
20초70
15초55
10초45
③ 프로그램 유형 기준
진기명기 프로그램115
시리즈물110
음악/버라이어티쇼90
스포츠80
뉴스75
기타100
그런데 M. Mord와 E. Gilson의 연구에 의하면 Mord, Marvin S. and Edith Gilson(1985), “Shorter Units : Risk-Responsibility-Reward,”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Vol. 25, No.4), pp.9~19.
15초 광고가 30초 광고의 80~90%까지 회상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5.4라디오
라디오의 경우에 우리나라의 사례는 아직 공개된 바 없고 Leo Burnett사가 1977년에 기존 업계자료를 취합하여 발표한 자료에서 시급을 기준으로 상기도 지수(recall index)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월~금 6:00 a.m.~10:00 a.m117
월~금 10:00 a.m.~3:00 p.m99
월~금 3:00 p.m.~7:00 p.m97
일요일 7:00 p.m.~12:00 p.m92
위의 자료에서 보면 매체별 광고주목지수라는 것은 조사되는 지역, 시점, 응답자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주목지수에 대해 광고주가 특히 관심을 가지는 것은 인쇄매체인 잡지와 신문이다. 이러한 매체에 대해 앞에서 제시된 자료들을 활용하면 매체비히클의 선정이나 도달률의 평가에 도움이 될 것이다.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11.08.29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83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