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문서교환(EDI)의 개념(정의, 생성배경)과 발전과정, 특징, 종류, 도입효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전자문서교환(EDI)

Ⅰ. EDI의 개념

1. EDI의 정의
2. EDI의 생성배경

Ⅱ. EDI의 발전과정

Ⅲ. EDI의 특징

1. EDI와 E-Mail, On-line
2. EDI와 전자상거래

Ⅳ. EDI의 표준

1. 표준화의 필요성
2. 표준의 종류

Ⅴ. EDI의 종류

Ⅵ. EDI의 도입효과

본문내용

사 및 관련기업 간의 여계를 추진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유통업계를 보면 대한 상공회의소 주관 하에 P08와 연계를 추진하고 있고, 현대백화점에서 DACOM-EDI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고 13개 납품업체와의 EDI도 도입하고 있다. 롯데, 해태, 화승기업이 직영점 및 대리점과의 거래정보를 교화하는데 EDI를 도입하고 있으며, 기타 백화점에서도 VAN을 이용한 EDI를 추진 중에 있다. 유통업계는 KAN(Korean Article Number: 국내 상품코드)의 탄생으로 EDI 도입이 활발히 추진될 것으로 예상되며 성공적인 이용을 위하여 중소 규모 유통업체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제조업체를 보면, 철강 VAN이 POSCO-DACOM의 공동개발로 구축되어 있고 X.12를 이용한 철강업계의 EDI 표준이 추진 중에 있다. 자동차 VAN은 기아자동차와 DACOM의 공동개발로 지T 생산 및 재고관리를 지원하고 있으며, 쌍용, 아시아 자동차 VAN(many-to-many)은 표준마련에 실패한 경우이다. 이밖에 다른 제조업체도 추진 중에 있다. 금융업계에서는 CMA(Cash Management Service)와 같은 은행과 보험회사간의 무통장 입금내역의 전송을 위한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고, 적하보험 EDI는 삼성데이터가 제공하고 있는데 삼성화재와 삼성전자가 제조업체와 보험회사간의 선적서류 전송교환에 이용하고 있다. 이 업계에서는 SWIFT(국제금융전산망)에 가입하여 국내 EDI를 촉진하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증권전산에서는 STOCK-NET(증권종합정보망)과 EFTS(자금자동이체 시스템)의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2.27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03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