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세계대전과 도요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차세계대전과 도요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된다.
미츠비시
혼다
뿌리를 알면, 이해가 쉽다.
일본 정부는 항공기산업이 자동차·전자 산업에 이어 일본경제를 부양하는 데 제3의 첨단산업으로 보고 큰 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미쓰비시·도요타가 만드는 중형여객기에는 일본산 탄소섬유복합재가 대량 사용되며, 일본 자동차산업의 기계·전자제어 기술도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자동차회사의 항공산업 진출이 일본 제조업 역사를 볼 때 당연하다는 분석도 있다. 2차대전 때 항공기를 제작했던 회사 대부분이 전후(戰後) 자동차회사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도요타가 참여하는 분야는 70~90인승 중형여객기 'MRJ(Mitsubishi Regional Jet)' 개발사업이다. 미쓰비시중공업이 2003년 시작했으며, 총비용 1500억엔(약 1조5000억원) 중 500억엔(약 5000억원)을 정부가 부담한다. 2012년 취항 이후 10년간 1000대 판매를 계획하고 있다. 최근 비용조달에 어려움을 겪어왔으나, 영업이익만 연간 2조엔(20조원)이 넘는 도요타의 참여로 양산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선 MRJ급 중형여객기 수요가 20년간 5000대 이상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기름·원자재값 급등으로 항공기회사의 원가부담이 점점 심해지고 있어, 일본산 여객기의 수익성에 대해 비관적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 현재 도요타·미쓰비시가 개발할 중형 여객기는 캐나다의 봄바르디아와 브라질의 엠브라에르가 양분하고 있으나, 최근 중국·러시아에서도 시장참여를 밝혀 경쟁이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혼다의 7~8인승 비즈니스용제트기 '혼다제트(Honda Jet)'는 2010년에 첫 제품이 출하될 예정이다. 혼다는 민간기업은 물론 개인들의 소형 제트기 수요가 늘고 있어 사업전망은 밝다고 보고 있다. 혼다의 후쿠이 다케오 사장은 "혼다가 오토바이·자동차에 이어 항공기까지 포함하는 종합 모빌리티(mobility) 회사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도요타자동차(豊田自動車, Toyota Motor Corporation) 도요타 사키치에 의해 1937년 설립된 일본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자동차 제조회사이고, 아이치현 도요타시에 본사가 있습니다. 지금은 나고야시로 이전을 추진 중이고 거의 완성단계에 있죠. 1999년의 총자산은 1605억 72백만 달러, 매출액은 1156억 71백만 달러였습니다.
일본의 방직기 발명왕 도요타 사키치(豊田佐吉, 1867~1930)가 G형 자동방직기 특허권을 판 돈을 자산으로 삼아, 그의 아들 키이치로(喜一郞, 1894~1952)가 1933년 도요타자동직기제작소 내에 자동차부(部)를 설치하면서 출발하였습니다. 1937년 자동차제조회사로 독립하였죠. 원래 이름은 '도요다'였지만, 명료한 인상을 위해 곧 강한 발음인 '도요타'로 고쳐 읽었습니다. 1936년에 승용차 'AA'를 만들었으며 1938년부터는 훗날 도요타시(市)가 된 고로모에 공장을 짓고 주로 트럭을 생산하였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침체기에 들어섰다가 패전으로 타격을 입고 1950년 도산위기에 파업사태가 겹치며 키이치로 사장이 물러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법정관리에 들어간지 20일만에 6·25전쟁이 터지며 미군으로부터 트럭 1천대를 발주받아 다시 일어서게 되었습니다. 1953년부터 토요타생산방식(TPS, Toyota Production System)를 도입한 뒤, 1955년과 1957년에 개발한 승용차 '크라운'과 ' 코로나'로 성장할 수 있었는데, 두 모델은 60년대 중반 대우자동차의 전신인 신진자동차가 한국에 도입함으로써 한국기업과 인연을 맺기도 했습니다. 1959년에는 승용차 전문공장을 닛산보다 2년 반 먼저 건설하여 대량생산체제를 갖추었습니다.
1966년 발표한 소형차 '코롤라(Corolla)'로 닛산을 누르고 일본 제일의 업체로 발돋움했으며, 연비가 좋은 덕분에 1973년 오일쇼크 이후 각광받은 코롤라는 1983년 세계에서 세번째로 누적생산 1천만 대를 돌파하였습니다. 1989년에는 '렉서스(Lexus)'라는 차명으로 고급승용차를 출시하여 벤츠와 BMW를 넘어서는 성공을 거두었고, 실용차종의 강자에서 전(全)차종의 강자로 올라섰다. 세계 곳곳에서 2005년 현재 연간 800만 대 이상의 차량을 팔고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토요타의 최근 규모는(환율이 매년 바뀌기 때문에 편의상 100원을 10엔으로 환산) 2004년 3월기 연결매출액 172조 9470억원, 순이익 11조 6200억원입니다.
님의 질문을 고려해서 간단한 비교를 통해 토요타를 알려드리면, 우선 2004년 3월기 유동자산 중 쉽게 현금화할 수 있는 '현금 및 현금동등물'과 '수취어음 및 외상매출금'의 합계를 토요타의 가용자산으로 잡아보면 32조 6140억원이 됩니다. 비교를 위해 다른 회사의 자산을 모아 만든 표를 살펴보면 2004년 9월 24일 현재 토요타가 주식의 50%를 취득하고자 했을 때, 사지 못할 일본기업은 단 2개 회사(NTT도코모, NTT) 뿐입니다!
회사이름
주식시가총액(원)
NTT 도코모
99조3560억
NTT
69조1030억
미츠비시토쿄 파이낸셜 그룹
60조9230억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
57조7320억
닛산 자동차
54조3840억
혼다
51조6670억
캐논
45조190억
타케다 약품 공업
43조6630억
미츠이스미토모 파이낸셜 그룹
43조1780억
* 주식시가총액은 04년 9월 24일 현재
또한 토요타의 매출액을 세계각국의 국내총생산과 비교해보면 세계 28위의 국가와 필적할 정도이고, 최근 4년간 원가절감의 누적효과(9조 8000억원)만 해도 일본기업 카오(花王)의 한해 매출액(9조 260억원, 04년 3월기)을 웃돌 정도입니다.
순위
나라이름
명목 국내총생산(억달러)
1
미국
10조8816
2
일본
4조3264
3
독일
2조4006
---
26
사우디아라비아
1884
27
그리스
1730
*
토요타
1636
28
핀란드
1615
29
남아프리카
1598
*각국수치는 세계은행 2003년 통계, 토요타수치는 1달러=105.69엔 환산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4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