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학과 형식주의 비평 방법 [정지용 향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문학과 형식주의 비평 방법 [정지용 향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지용의 <鄕愁(향수)>
  1) 시각과 균형의 조화
  2) 의미의 구조
  3) 비유
  4) 통일성

 2. 황동규의 <즐거운 편지>
  1) 의지의 아이러니
  2) 사소함의 아이러니
  3) 표현의 아이러니

 3. 정지용의 <길>
  1) ‘길’과 ‘주머니’의 대조성
  2)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공간과 의식의 변화
  3) “부끄럽게 푸릅니다”의 패러독스
  4) 돌, 돌담, 쇠문과 긴 그림자의 상징성
  5) 강조의 표현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변화가 없다. 하지만 "돌과 돌과 돌이" 라고 표현함으로 리듬감을 주고 있다. 이것은 화자가 한발 한발 발걸음을 옮겨도 계속해서 돌이 있음을 보여줌과 동시에, 화자 주위에 많은 돌이 있음을 강조해 준다.
"아침에서 저녁으로 저녁에서 아침으로"는 단순한 시간의 흐름만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반복을 통해 리듬감을 주어 화자의 걸음을 표현 했고 그 걸음이 오랜 시간 계속 되어 왔음을 암시한다.
"내가 사는 것은, 다만, 잃은 것을 찾는 까닭입니다" 이 부분에서는 '다만'의 위치에 주목해 본다. '다만'을 문장 처음에 배치하여 '다만 내가 사는 것은 잃은 것을 찾는 까닭입니다'라고 표현한다면 잃은 것을 찾는 것보다 내가 사는 것을 더 강조 하게 된다. 하지만 다만을 "잃은 것을 찾는" 앞에 배치하면서 화자는 삶 보다 잃은 것 찾기를 강조하며, 살기 위해 찾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잃은 것을 찾기 위해 사는 것임을 표현했다.
Ⅲ. 결론
가령 우리가 한 편의 시를 읽었을 때 다른 경위로부터 알지 않는다면, 우리는 아직도 작가의 이름과 국적 혹은 쓰인 시대를 알지 못한다. 우리는 화자가 누구인지, 화자가 남성인지 여성인지조차 모른다. 우리는 이 시가 실제 삶의 상황에 관계되는지 전적으로 허구인지 알지 못한다. 19세기에 형식주의의 출현 이전에도 문학 비평은 문학 작품과 작가의 생애의 관계를 밝히거나 문학 작품 속에 나오는 작중 인물들의 심리를 분석하거나 그 인물들의 심리를 통해 인간의 심리에 대한 작가의 태도를 알아내는 등의 여러 과학적인 방법이 존재해 왔다. 하지만 문학 연구에 있어서의 과학화는 문학의 외적 조건들에 의한 접근으로써 부분적으로 가능하기는 하겠지만 그것이 곧 문학 작품의 본질을 완전히 밝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는 없을 뿐만 아니라 객관성을 완벽하게 유지하고 있다고도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문학의 외적 조건들을 분석한다고 하는 것이 문학 자체의 분석을 의미하지 않기 때문이다. 츠베탕 토도로프, 김치수(역),『러시아 형식주의 문학의 이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1, pp.7-8.
따라서 형식주의 비평은 문학 작품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만을 분석함으로써 <문학>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의 정지용의 <향수>, 황동규의 <즐거운 편지>, 윤동주의 <길> 또한 그 목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한 정지용의 <향수>는 일본 유학시절 고향을 그리는 절절한 마음을 탁월하게 형상화한 작품으로 언어의 뛰어난 조탁과 절묘한 이미지 구사, 그리고 음악적 율조미 등으로 인하여 독자로 하여금 자기도 모르게 향수에 젖어들게 만드는 마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매연에 반복되는 후렴구 등의 다양한 언어들이 어우러져 시적 효과를 드높이고 있다.
황동규의 <즐거운 편지>에 일관되게 흐르는 주제는 사랑의 불변성, 영원성에 대한 호소다. 사랑하는 사람을 향해 영원한 사랑을 호소하는 것은, 설사 상대방이 내 마음을 알아주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그 자체로 즐거운 일이다. 그러한 마음을 전하는 편지니 '즐거운 편지'일 것이다.
윤동주 시의 분석은 윤동주가 시를 창작하던 당시 상황뿐만 아니라 독자가 시를 수용하는 시점에서 새롭게 해석되는 시의 현대적 의미까지를 포괄하는 다층위적 자기 해석의 과정이 되었다. 임현순, 앞의 책, pp.368-369.
※ 참고문헌
김시태, 『문학의 이해』, 태학사, 1999.
박철희·김시태, 『현대시의 이해』, 탑출판사, 1975.
박철희, 『한국 近代侍史 연구』, (주)일조각, 2007.
윌프레드 L.게린 외, 최재석 역, 『문학비평입문』, 한신출판사, 1994.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원본대조 윤동주 전집)』,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이숭원, 『정지용』, 문학세계사, 1996.
이숭원, 『원본 정지용 시집』, 깊은샘, 2003.
이승원, 『교과서 시 정본 해설』, Human&Books, 2008.
임현순, 『윤동주 詩의 상징과 자기의 해석학』, 지식산업사, 2009.
장도준, 『정지용 시 연구』, 태학사, 1994.
정지용, 『정지용시선』, 을유문화사, 1946.
최동호 외, 『서정시가 있는 21세기 문학강의실』, 청동거울, 2002.
츠베탕 토도로프, 김치수(역),『러시아 형식주의 문학의 이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1.
하응백, 『황동규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1998.
이광호, 「극적인 사랑의 담화―황동규 '사랑 노래'의 재인식」, 시와시학 1998년 가을호(통권 제31호), 1998.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6.02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1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