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의 설비배치]설비배치전략과 설비배치의 형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비스업의 설비배치]설비배치전략과 설비배치의 형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비스업의 설비배치

Ⅰ. 설비배치전략

1. 제품중심의 설비배치
2. 프로세스중심의 설비배치

Ⅱ. 설비배치의 형태

1. 사무실 설비배치
2. 소매점 설비배치
3. 창고 설비배치

본문내용

있으면 많은 제품이 노출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점포에서 고객의 흐름 패턴을 결정해야 하며, 다음으로 제품별로 공간을 할당해야 한다. 점포의 설비배치에 도움이 되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우유 등과 같이 사람을 많이 모이게 하는 품목은 점포의 외곽에 배치한다.
* 첫 복도나 마지막 복도에는 충동구매품이면서 마진이 큰 제품을 배치한다.
* 선반의 길이와 폭을 일정하게 하고 고객이 복도를 마음대로 넘나들 수 없도록 배치하여 많은 제품이 노출되도록 한다.
* 고객에게 중요한 품목은 한 곳에만 집중하지 말고 분산시켜서 다른 품목이
고객에게 많이 노출되도록 한다.
* 노출이 많은 곳으로 복도의 끝을 이용한다.
* 앞에 내세울 제품을 신중하게 선정하여 원하는 점포의 이미지를 전달한다.
3) 창고 설비배치
창고 설비배치에는 자재취급비용과 공간을 고려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자재취급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전체공간의 이용률을 최대로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자재취급비용은 자재의 입고, 출고, 보관과 관련된 비용을 의미하며 보험, 감가상각, 손상, 수축, 구식화, 감독, 설비 등과 관련된 비용 등이 포함된다. 자재를 찾고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자원을 최소화해야 하며 자재 자체의 손상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설비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창고의 밀도와 자재취급비음과는 정의 관계가 있다. 즉 창고에 많은 물건을 저장하게 되면 자재취급비용은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창고의 밀도와 자재저장비용은 부의 관계가 있다.
즉 밀도가 높다는 것은 저장을 많이 한다는 의미이므로 저장비용은 감소하게 된다.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6.15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33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