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관리]재고 및 안전재고의 개념(정의), 재고관리모형, 재주문점결정, 최적사이클서비스 수준의 결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고관리]재고 및 안전재고의 개념(정의), 재고관리모형, 재주문점결정, 최적사이클서비스 수준의 결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재고관리

Ⅰ. 재고 및 안전재고의 개념

Ⅱ. 재고관리 모형

1. 수요가 안정적인 경우의 재고관리 모형
2. 수요가 확률적인 경우의 재고관리 모형

Ⅲ. 재주문점의 결정

1. 안전재고수준 결정의 기준
2. 연속적 조사시스템에서의 사이클서비스 수준이 정해졌을 경우의 안전재고의 결정
3. 정기적 조사시스템에서의 사이클서비스 수준이 정해졌을 경우의 안전재고의 결정

Ⅳ. 최적 사이클서비스 수준의 결정

본문내용

이다.
연속적 조사시스템에는 (s, Q)모형과 (s, S)모형이 있다. 각 모형의 장단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s, Q)모형은 위의 그림과 같이 재고수준이 s(재주문점)가 되면 일정한 Q(EOQ)양을 주문하는 모형이다. 이 모형의 장점은 일정한 양을 주문하므로 실수의 가능성이 적다는 것이고, 또한 공급자의 경우 생산량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단점은 지속적으로 재고수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므로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과, Q를 주문해도 s수준보다 낮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인데 이 경우 Q의 정수배를 주문하는 것이 보통이다.
* (s, S)모형은 위의 그림과 같이 재고수준이 s(재주문점)가 되면 재고수준이 S(목표재고수준)가 되도록 주문량을 결정하는 모형이다. 이 모형의 장점은 잘만 되면 (s, Q)시스템보다 비용이 절감된다는 것이고 단점은 S값을 찾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며 또한 주문량이 달라짐으로 실수의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정기적 조사시스템에는 (R, S)모형과 (R, s, S)모형이 있다. 각 모형의 장단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R, S)모형은 위의 그림과 같이 R시간마다 재고조사를 하여 재고수준이 S(목표재고수준)가 되도록 주문량을 결정하는 모형이다. 이 모형의 장점은 관리가 쉽고 S의 조정이 R시간마다 가능하다는 점이고, 단점은 재고유지비용이 연속적 조사시스템보다 많이 든다는 것이다.
* (R, s, S)모형은 R시간마다 재고조사를 하여, 재고수준이 s(재주문점) 이하이면 S가 되도록 주문량을 결정하고 만일 재고수준이 s 이상이면 다음 시간까지 주문을 보류한다. 이 모형의 장점은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며 단점은 재고수준이 S와 매우 근접한 경우의 의사결정이 어렵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재고수준이 S+1인 경우 과연 다음 시간까지 주문을 보류할 것인지 혹은 주문을 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이 어렵다는 것이다.
III. 재주문점의 결정
재주문점은 '조달기간 동안의 평균수요+ 안전재고'로 계산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안전재고(safety stock)란 실제수요가 예측수요보다 많아질 경우를 대비하여 보유하는 재고를 말한다. 안전재고수준과 관련하여 두 가지의 위험이 있다.
안전재고수준이 높으면 재고부족 확률은 낮아지나 재고과잉의 확률은 높아지고 반대로 안전재고수준이 낮으면 재고과잉의 확률은 낮아지지만 재고부족의 확률은 높아진다.
1) 안전재고수준 결정의 기준
안전재고수준은 다음의 두 가지 요인에 의하여 결정된다.
* 수요와 공급의 불확실성: 수요와 공급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 필요한 안전재고의 수준도 높아진다.
* 최적 제품 가용성(product availability)수준: 최적 제품 가용성수준이 높아지면 안전재고수준이 높아진다.
수요의 불확실성은 수요의 표준편차로 측정된다. 여기에서는 수요가 정규분포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수요의 표준편차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만일 주문리드타임(L) 동안의 수요가 독립적이고, 단위시간당 평괌수요가 D, 단위시간당 수요의 표준편차가 D인 정규분포를 가진다고 했을 경우에,
공급의 불확실성은 두 가지 요인으로 발생하는데, 하나는 공급량이 불확실한 경우이며, 다른 하나는 주문리드타임이 불확실한 경우이다. 이 중에서 주로 주문리드타임의 불확실성으로 공급의 불확실성을 측정한다. 따라서 평균 주문리드타임을 L, 주문리드타임의 표준편차를 이라고 하면, 수요가 불확실하고, 주문리드타양도 동시에 불확실한 경우에,
제품 가용성은 크게 두 가지로 측정한다. 하나는 수요충족률(fill rate)이며, 다른 하나는 사이클서비스 수준(cycle service level)이다. 수요충족률이란 보유한 재고로 수요를 충족시키는 비율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10개의 주문이 있었는데 9개의 주문을 보유재고로 충족시켰다면 수요충족률은 90%가 된다. 사이클서비스 수준이란 전체주문횟수 중에서 주문리드타임 동안 재고부족이 발생하지 않은 횟수의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10번의 주문이 있었고, 그 중에서 8번의 경우 주문리드타임 동안 재고부족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사이클서비스 수준은 80%이다.
2) 연속적 조사시스템에서의 사이클서비스 수준이 정해졌을 경우의 안전재고의 결정
주문리드타임 동안의 수요(x)가 재주문점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 재고부족
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사이클서비스 수준은 주문리드타임 동안의 수요가 재주
문점보다 작거나 같을 확률을 말한다. 앞에서와 도출한 것과 같이 주문리드타임
동안의 평균수요는 DL=L * D이고 주문리드타임 동안의 수요의 표준편차는
SS=DL+kD이다. 여기서 k는 안전요인이라는 것으로 아래의 그래프에서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즉, 정규분포에서 수요가 DL+kD이상이면 재고부족이 발생하게 된다. k의 결정은 재고부족이 발생하는 확률을 어느 정도로 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사이클서비스 수준은
인데, 거꾸로 사이클서비스 수준이 정해질 경우의 k값은 표준정규분포의 오른 쪽 끝의 면적이 (1-사이클서비스 수준)이 되는 Z값이 된다.
3) 정기적 조사시스템에서의 사이클서비스 수준이 정해졌을 경우의 안전재고의 결정
(R, S) 모형에서의 R과 S의 결정은 (s, Q)시스템을 다음과 같이 변형하면 된다. 즉
거꾸로 사이클서비스 수준이 정해질 경우의 k값은 표준정규분포 그림에서 오른 쪽 끝의 면적이 (1-사이클서비스 수준)이 되는 Z값이 된다.
IV. 최적 사이클서비스 수준의 결정
제품 가용성을 고객서비스 수준이라고도 하는데 제품 가용성이 높으면 대용성이 향상되며 고객을 끌어들일 수 있다. 하지만 제품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고를 많이 보유해야 하며, 이는 비용증가로 이어진다. 따라서 가용성 증가와 비용증가의 균형을 유지해야 하며 이는 기업의 수익성을 최대로 하는 방향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재고과잉으로 인한 손실과 재고부족으로 인한 손실이다.
* C0: 재고과잉으로 인한 단위당 손실=구입비용 -잔존가치
. CU '.재고부족으로 인한 단위당 손실=판매가격 -구입비용
* SL: 사이클서비스 수준
* H: 연간 단위당 재고유지비용
* Q: 주문량
* D: 단위시간당 수요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6.15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33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