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한자교육 찬반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학교 한자교육 찬반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1. 문자 교육의 변천사

2. 한자 교육의 실태

3. 한자교육에 대한 찬성의 입장

4. 한자교육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

5. 나오며...

✱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문제점
✱ 한자 교육의 다양한 교수 방법과 수업예시

본문내용

있다.
◎ 호짓기, 빙고게임 끝말잇기, 수수께끼 한자 퍼즐
한자 파자, 명언명구, 고사성어로 꾸며 실생활에 필요한 한자, 한자어를 아이들의 감각에 맞게 꾸며 아이들의 관심을 한자에 끌 수 있도록 한다
‘100 - 1 = 99’에서 99를 뜻하는 한자가 뭐냐는 질문을 툭 던지고 아이들의 답을 기다리면 아이들은 저마다 답을 만들어 내느라 옥편을 들고 생각나는 글자를 확인하기도 하면서 한마디씩 한다. 그러면서 “百 - 一 = 白”정답인 白자나오고 자연스레 학습이 가능하며 한자 학습에 대한 인식도 바뀔수 있다
또한 신문을 활용하여 한자어를 찾아오기, 한자 퍼즐 풀어오기로 구성이 되어 있는 과제 학습지를 제시하여 교과서에 나오는 한자만을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직접 생활에서 한자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 글쓰기를 통한 한문 교육
1. 한자어 넣어서 문장 만들기
2. 특정한 주제를 아이들에게 제시하고 그에 맞는 내용의 글 쓰기
글쓰기 주제 : 孟母의 교육열과 지금 우리나라 어머니들의 교육열 비교
① 孟母三遷之敎와 孟母斷幾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② 지금의 어머니들의 교육열과 비교해 보는 3가지 방식을 소개하고 한 모둠에 하나를 선택해 작성하게 한다.
㉠ 지금 우리나라 어머니들의 교육열에 대한 비판
㉡‘나는 우리 엄마가 이럴 때 좋다. 베스트 10’'나는 우리 엄마가 이럴 때 싫다. 베스트 10’
㉢ 우리 집에서 나의 교육에 관해 있었던 일을 촌극 대본으로 쓰기
③ 20분 정도 작성할 시간을 준 뒤 발표한다(촌극 발표도 가능함).
3. 고사성어를 이용한 글쓰기
제목 : 백설공주
태고적에 태산만한 성이 있었는데 賢母良妻인 왕비와 博學多識한 왕이 있었어. 그 부부는 내외지간에 금슬이 좋았는데 八方美人으로 소문난 딸까지 두었지. 그런데 이 딸을 낳고서 그만 왕비가 요절을 하고 말았어.
딸의 이름은 백설공주였는데 寤寐不忘 어머니를 생각하며 항상 슬퍼했지. 그후 새엄마가 들어왔는데, 사람이란 一長一短이 있어서 그녀의 얼굴은 예뻤지만 성품은 포악했어. 그리하여 百折不屈의 의지력을 가지고 있었던 백설공주도 새엄마의 계략으로 독이 든 사과를 먹고 幾死之境이 되었지. 그러나 일곱 난쟁이의 도움으로 九死一生으로 살아나게 된 백설공주는 自給自足하는 난쟁이들과 함께 살게 되었어. 일곱 난쟁이들은 광부였으므로 晝耕夜讀하며 살았는데 백설공주가 만들어 주는 膏梁珍味를 맛볼 수 있어서 굉장히 행복했어.
그 후로도 공주는 왕비의 계략으로 많은 역경을 겪었는데 왕자와 일곱 난쟁이의 도움으로 행복해질 수 있었어. 왕자와 백설공주는 오랜 기간 說往說來하다가 마침내 결혼하게 되었는데 피로연을 珍羞盛饌으로 차려 백성들을 즐겁게 해 주었어.
◎ 인터넷을 이용한 성씨와 본관 유래 찾기
인터넷으로 자신의 성씨와 본관 유래를 찾아 성씨와 본관 등을 찾았으면 자신의 이름을 한자로 써서 발표하게 한다.
“제 이름은 전재훈(全財訓)입니다. 족보를 찾아보니 전씨의 시조는 백제 개국공신 전섭이라고 합니다. 전섭은 고구려 동명왕의 셋째 아들로 온조(溫祚)가 부여에 도읍을 정하고 백제를 건국할 때 오간(烏干), 을음(乙音) 등과 함께 온조를 도운 열 명의 공신중 한사람입니다. 전씨 문중은 정선, 천안, 성산 등 18본으로 분관되지만 모든 전씨는 전섭을 시조로 합니다.”
“저는 권지희(權智熙)예요. 제 시조는 권행(權幸)인데 신라 왕실의 후예로 본명은 김행이라고 합니다. 권행은 신라가 극도로 부패해 지자 태조를 도와 고창군에서 견훤을 토벌해 병산대첩의 전공을 이루었습니다. 태조가 매우 기뻐하며 ‘능히 기미에 밝고 권도에 통달하였다(能炳機達權)’하여 권씨 성을 내렸다고 합니다.”
◎ 호짓기, 빙고게임 끝말잇기, 수수께끼 한자 퍼즐
자신의 이름을 그림과 글 등으로 풀이를 하거나 여자 이름에 많이 쓰이는 한자, 남자 이름에 많이 쓰이는 한자를 best 형식으로 뽑아서 왜 여자용, 남자용 한자가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 어떤 이유인지를 함께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호도 짓게 하여 왜 옛날엔 자가 있고, 호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생각을 해 보게 하며 한문으로 100 빙고도 하고, 한자성어 퍼즐도 할 수 있다. 또한 교과서 진도에서는 신습 한자를 그림으로 표현하게 하여 아이들은 그러한 과정을 통해서 평생 동안 잊지 않는 자신의 한자가 생기게 하고 그리고 한시를 가르칠 때에는 운자를 설명하기 위해서 랩을 가르칠 수 있다. 랩에도 똑같은 글자가 일정한 곳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7.04
  • 저작시기200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76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