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증진론4B)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에서 금연사업의 세부영역 추진사업(예, 흡연예방사업, 흡연자 금연사업 등) 내용, 방법 등에 대하여 설명 (흡연,금연사업 목적,목표,추진방향,세부영역)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강증진론4B)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에서 금연사업의 세부영역 추진사업(예, 흡연예방사업, 흡연자 금연사업 등) 내용, 방법 등에 대하여 설명 (흡연,금연사업 목적,목표,추진방향,세부영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흡연의 정의
3.금연사업의 목적 및 추진방향
4.금연사업의 목표
5.금연사업의 세부영역 추진사업 내용, 방법
6.결론
7.참고자료

본문내용

년 5.0%로 감소시킨다.
금연구역을 확대한다.
완전금연구역으로 지정된 사업장의 분율을 2020년 95.0%까지 확대한다.
흡연의 예방과 흡연자의 금연,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금연 환경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있다.
첫째, 주기적으로 흡연과 관련된 자극을 통해 금연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책자를 배부한다.
2010년 6월판 USDHHS 가이드라인에 나와 있는 증거표에 따르면, 흡연자가 “스스로” 담배를 6개월간 끊을 확률은 대략 16%이다. 교육, 새로운 행동 기술, 지속적인 지원은 이러한 확률을 세배로 껑충 올릴 수 있다.
둘째, 정기적 검진에 대한 필요성을 교육한다.
금연요법 연구결과는 자신 앞에 놓인 도전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평가하는 척도로 활용할 수 있다. 2002년 미국 흡연자의 41.2%는 적어도 하루 동안 금연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불행히도, 20명 중 1명만이 1년 동안 지속적인 금연에 성공하였다. 그러므로 정기적 검진에 대한 필요성을 교육하여 금연을 성공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흡연 상황에 처했을 때 대처하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 전략 관련 책자를 배부한다.
금연클리닉이나 금연전화(1544-9030)에 도움을 구하여 구체적 전략 관련 책자를 구한다.
넷째, 금단증상을 극복하기 위한 대처법을 꾸준히 실행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의약 산업은 니코틴 대체 상품(NRT)을 사용할 때 성공 가능성에 대하여 흡연자들에게 완전 솔직하지는 않다. 2003년 3월의 연구(Hughes)에서 7가지 처방전 없이 살수 있는 니코틴 패치와 껌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 피실험자의 7%만이 6개월 뒤에도 여전히 흡연을 하고 있지 않았다.
다섯째, 금연 결과의 긍정적 경험을 가진 실제적 사례를 찾아 금연유지에 도움을 준다.
일년 동안 성공적으로 금연할 확률은 매우 낮기 때문에 당신과 동시에 금연을 한 금연 친구에게 지나치게 의존하지 말고 먼저 담배를 끊은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금연 단체 사이트를 방문한다.
여섯째, 금연 중 유혹을 경험한 사례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 금연을 유지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대처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니코틴의 반감기는 두 시간이다. 다시 채워지지 않으면 혈액 속에 남아있는 니코틴의 양은 두 시간마다 반으로 떨어진다. 갑작스레 금연했을 때, 니코틴의 100%와 대사산물 90%는 72시간 내에 몸 밖으로 나가게 된다. 그러면 뉴런의 감각 복귀(아세틸콜린에 대한)가 완전한 가동을 시작한다.
금단 증상은, 이성적인 범위 내에서, 금연 시작 3일 동안 대부분 느끼게 될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자신의 몸의 변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우려될만할 경우 의사를 찾도록 한다. 증상이 나타날 때마다 지속적으로 치유되고 있다는 좋은 징조로 보도록 한다.
일곱째, 금연을 이루게 된 후 여러 가지 장점들을 생각 하면서 금연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담배 한 모금에는 500여 가지의 가스와 2,500가지의 입자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3,000가지 이상의 화학 물질 중 하나 이상은 갑상선병(요오드), 천식(기관지확장제), 혹은 심지어 만성 구조적 우울(니코틴)과 같은 잠재적인 건강상의 문제를 감추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당신이 피우는 담배의 화학 성분들이 현재 복용 중인 약물과 상호 작용하여 조정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주의를 집중하고 있다가 조금이라도 걱정된다면 의사 혹은 약사를 찾아가 보도록 한다.
여덟째, 대체방법 중 행동요법인 운동이나 금연침 같은 경우는 금연클리닉 사회 지원을 통해 유지를 지지한다.
7. 참고자료
보건복지부(2010). 보건의료발전계획.
주영수 등저 / 식품과 건강정보, 동아대학교 출판부, 2011
류호영(2009). 한국 금연정책의 사회적 효과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Mendez D, Warner K (2008). Setting a challenging yet realistic smoking prevalence
충무시보건소 / 흡연예방 및 금연지도자 교육, 2011
target for healthy perople 2020: learning from the California experience. AJPH
98:3:556.
한국금연운동협의회 / 담배와 건강, 서울, 한국금연운동협회의, 2009
objectives: results from the SimSmoke tobacco control policy simulation model
(US).
  • 가격2,9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9.06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63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